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1. 11. 7. 09:22 환동해문화권의 암각화

 

울산 대곡천변에 위치한 반구대 암각화에서는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흔적이 남아 있다. 특히 배 그림은 아마도 사람들이 바다로 나가서 낚시를 했던 증거로 볼 수 있다.

다만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에서는 마스크형 그림과 함께 발견되고, 울산에서는 고래와 함께 그려진다는 점은 차이가 있다.

 

그런데 같은 강에 위치하지만 천전리 암각화에는 많이 다른 양상이다. 선사시대만 국한되지 않고 통일신라시대 사람들의 글 까지 남아 있어서 제작연대도 차이가 있다. 왜 천전리에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흔적을 남겼는지 모르겠다.

 

또 수수께끼 같은 것은 이해하지 못할 동물문양이나 사람도 아닌 동물도 아닌 반인반수의 표현등 괴기한 문양 등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같은 주제이지만 반구대암각화에서는 볼 수 없는 형상으로 그려진 것이다.

 

그림 1. 동일주제이지만 반구대 암각화와 다른 표현의 천전리 암각화

 

필자는 천전리 암각화 중에 몸통이 선처럼 표현된 동물문양과 손을 말고 있는 사람은 시베리아 카라숙문화의 사슴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시베리아 카라숙 문화는 기원전 14~10세기에 존재했던 문화로 그 문화의 청동 유물은 연해주에서 발견된다. 연해주의 그 문화(시니가이 문화)는 한반도에서 발견된다. 한반도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카라숙문화의 흔적이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오쿠네보 문화의 그림도 있지만(그림 2) 오쿠네보 문화가 존재했던 시기는 카라숙 문화 보다 더 오래된 기원전 25~19세기로 이때 우리나라에는 신석기시대이다. 시대성을 떠나서도 우리나라에서는 오쿠네보 문화의 존재가 발견된 바 없다. 그래서 천전리 암각화에서 오쿠네보 문화의 그림은 어떻게 남는지 알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카라숙문화와의 직접적인 관련성도 좀 더 근거가 필요하다.

 

 

그림2. 천전리 암각화에서 발견된 시베리아 암각화의 요소

 

 

 

그럼 천전리의 그림은 누가 그린 것일까?

 

천전리 암각화를 그린 사람들은 대부분 영남에 살던 청동기시대 사람이었을 것이지만 어떻게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발견된 그림이 천전리에 남아 있는지 아직은 확언하기 힘들다. 누군가 보고 와서 머릿속에 남은 기억으로 그린 것인지, 그 누군가가 시베리아에서 온 사람인지 아니면, 영남에 살던 청동기시대 사람이 보고 들은 바를 그린 것인지 불분명하다. 앞으로의 연구성과를 기다려 볼 수 밖에 없다. 아직까지는.

 

필자는 울산 대곡천의 반구대와 천전리 암각화는 같은 강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지만 매우 성격이 다르다 라는 말을 하고 싶었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1, 「반구대암각화와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배 문양 암각화 비교검토」, 『인문사회과학연구』,제 22권 제 2호.

김재윤, 2021, 「시베리아 청동기시대와 천전리 암각화의 비교고찰-오쿠네보 문화와 카라숙문화 암각화를 중심으로」, 『고고학』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1. 3. 09:22 환동해문화권의 암각화

 

반구대 암각화에서 배 그림은 고래와 함께 그려진다. 그럼 배 그림은 고래와 같은 연대 일 수 있다. 그러나 그도 간단한 것이 아닌 것이 고래는 58마리나 등장하며, 다양한 종류의 고래가 그려졌다. 그 중에서 고래가 머리를 하늘로 향하고 있는 장면 및 고래가 수평으로 놓인 장면 에 나오는 고래는 종류가 다르다. 그래서 반드시 고래도 같은 시기에 그려졌다고 볼 수 없다. 앞의 것은 북방긴수염고래로 페그티멜 암각화에 등장하는데 기원전 10세기경에 그려진 것이다(김재윤 2017b). 그 외 배와 함께 그려진 고래는 귀신고래, 범 고래(그림 2)등인데 북방긴수염고래(그림 1-A)와는 다른 종류이고 그려진 방향도 달라서 그려진 시점도 따로 생각 해 볼 수 있다(김재윤 2021).

 

그림 1. 반구대 암각화의 북방긴수염고래

 

 

 

그림 2.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와 배

 

 

실제로 우리나라의 8000년 전 비봉리 유적에서는 배(그림 3)가 발견되었고, 동삼동 유적에도 배를 모방한 토기(그림 4)가 확인되어서, 신석기시대에 배는 존재했다. 그렇다면 반구대 암각화의 배도 신석기시대의 그림일 수 있다.

 

그림 3. 창녕 비봉리 유적

 

그림 4. 동삼동 유적에서 발견된 모형 배

 

 

다시 돌아가서 사카치 알리안의 호랑이와 사슴, 페그티멜 암각화의 사슴과 고래는 반구대에서 확인되는 같은 방법으로 그려진 문양이다. 여기에 환동해문화권의 배 그림도 그들이 이동한 바닷길을 말해주는 것 같다(김재윤 2021). 이렇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이유는 단순히 암각화가 발견된 것 만이 아니라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신석기문화가 남부지역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김재윤 2017a).

 

 

 

참고문헌

 

김재윤 2017a, 『접경의 아이덴테티: 동해와 신석기문화』, 서경출판사

김재윤, 2017b, 「반구대암각화의 비교고찰-부산경남의 선사시대 지역성」,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4호

김재윤, 2021, 「반구대암각화와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배 문양 암각화 비교검토」, 『인문사회과학연구』,제 22권 제 2호

posted by 김재윤23
2021. 11. 2. 09:22 환동해문화권의 암각화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암각화 유적에서는 여러 곳의 유적에서 배 그림이 발견된다. 아무르강 하류의 사카치 알리안 유적 및 우수리강변의 칼리노프카 유적, 세레미체보 유적 등에는 배 그림이 발견되었다. 특히 칼리노프카 유적에는 마스크형 암각화와 함께 그려져서 배 그림의 연대를 추정해 볼 수 있다.

 

필자는 아무르강 하류에서 마스크형 암각화(그림 1)가 그려지기 시작한 시점은 대략 9000년 전으로 판단했다. 그 이유는 중국의 쌍탑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 편에 똑같은 그림(그림 3)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림 1.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의 마스크

 

그림 2. 사차키 알리안 암각화

그림 3. 눈강 유역의 쌍탑 유적

 

마스크형 암각화는 동심원을 기반으로 한 그림이다. 그래서 동심원문양도 마스크형 그림과 동시기에 제작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두만강 유역에서 발견된 지초리 유적에서는 동심원문양만 잔뜩 그려져 있다.

 

그림 4. 세레미체보 유적

 

그림 5. 지초리 유적

 

우수리 강변의 세레미체보 유적에서도 마스크형 문양과 동심원문양이 함께 그려진 것이 발견되었다. 그런데, 세레미체보 유적이나 두만강 유역의 지초리 유적 등에서 발견된 동심원문양은 9000년 전까지 올려 보기 힘들다. 이 때의 신석기시대 유적 자료 특히 마을 유적이 발견된 예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칼리노프카 유적, 세레미체보 유적이나 지초리 유적은 연해주의 뚜렷한 신석기문화인 루드나야문화의 그림일 가능성이 크다(김재윤 2019). 배 그림도 이 시기에 그려졌을 수 있다. 대략 6500~6000년 전 이다(김재윤 2021).

 

 

 

참고문헌

 

김재윤, 2019, 「선사시대 동심원문 암각화를 통해서 살펴본 환동해문화권의 범위와 교류영역 - 고아시아족과 퉁구스족문제를 겸해서」, 『한국상고사학보』,제 104호

김재윤, 2021a, 「반구대암각화와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배 문양 암각화 비교검토」, 『인문사회과학연구』,제 22권 제 2호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1. 1. 09:22 환동해문화권의 암각화

 

아무르강 하류 사카치 알리안 유적의 배 그림은 그린 기법으로 신석기시대와 중세시대의 것이 있다. 신석기시대 배 그림(그림 1)은 16척이 6개의 바위에서 발견되었다. 배는 중앙이 둥글게 처리되어 휜 것이 있고, 편평하게 표현된 것이 있지만 대부분 호선을 이루는 형태가 많다. 모두 승선인원이 그려져 있는데, 가장 많은 인원이 탄 것은 18인이고, 15인승과 10인승, 9인승이 있으며 7인승이 4척으로 가장 많다. 3~4인승이 가장 작다. 10인승의 배를 그 뒤에 사슴으로 새로 고쳐서 그린 것도 있다. 암각화 그림 가운데는 개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알타이에서도 발견된다.

 

 

그림 1. 아무르강 하류의 사카치 알리안 배 그림(김재윤 2021a)

 

배 그림은 아무르강의 사카치 알리안 유적 외에도 칼리노프카(Калиновка, Kalinovka)(그림 2-3), 키야(Кия, Kiya) (그림 2-4)유적 등이 있고 아무르강의 지류인 우수리 강의 세레미체보(Шереметьево, Sheremetyevo)(그림 2-1, 2) 유적에서도 발견된다.

 

 

그림 2. 아무르강과 우수리강의 배 그림 암각화(김재윤 2021a)

 

칼리노프카 유적에는 바위 전체(130×96cm)에 사람의 얼굴을 닮은 마스크형과 배 12척(그림 2-3)이 그려져 있다. 마스크형에는 귀가 없고 사카치 알리안, 세레미체보 유적 등지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한 마스크형으로 볼 수 있다.

 

배 그림은 승선한 사람이 그려져 있는데, 5인부터 34인까지 다양하며, 배는 양쪽 끝이 약간 부채꼴처럼 구부러지게 표현되었다(그림 2-3).

 

 

세레미체보 유적(그림 2-1,2)은 아무르강의 지류인 우수리강의 강가에 위치하며, 마을보다 약간 하류에 위치한 절벽을 따라서 5개의 지점에 암각화가 남았다. 제 2지점에 2척의 배가 그려져 있는데, 중앙이 활처럼 휘도록 그린 것이고 19명과 20명의 사람이 탄 모습이 나란히 수평 방향으로 그려져 있다(그림 2-1). 3 지점에서는 마스크형 아래에 배가 그려져서 발견되어서 배와 함께 구성되었다(그림 2-2). 마스크형 암각화는 사카치 알라안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마스크형 암각화(그림 2-2).는 눈이 째진 모양이고 얼굴 주위로 방사선이 달린 채로 표현된 것인데, 사카치 알리안 유적과 세레미체보 유적에서 발견되는 암각화이다. 그렇다면 이 얼굴과 함께 그려진 배도 동 시기의 표현물로 볼 수 있다.

 

상기한 유적에서는 마스크형 암각화와 배가 함께 그려지는데, 배의 그림연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김재윤 2021).향토사학자인 졸로타레프는 암각화가 세워진 칼리노프카 마을은 울치족이 살던 지역이기 때문에 그들의 신화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했다. 사자의 영혼이 저승세계로 가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보았다(오클라드니코프 1971).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JEV8r-umyEoSl94ERNtzWwvr7cDReYf9&usp=sharing 

 

배그림 - Google 내 지도

배그림

www.google.com

 

참고문헌

김재윤, 2021a, 「반구대암각화와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배 문양 암각화 비교검토」, 『인문사회과학연구』,제 22권 제 2호

Окладников А.П., Петроглифы нижнго Амура,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Лениград, 1971, 333c.(오클라드니코프 , 『아무르강 하류의 암각화』, 1971.).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0. 31. 09:22 환동해문화권의 암각화

 

사카치 알리안 유적은 아무르강 하류에 위치하며, 동시에 시호테 알린 산맥의 서쪽 지역에 위치한다. 시호테 알린 산맥의 중부지역은 유네스코 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이 곳에는 시베리아 호랑이 즉 백두산 호랑이의 주요 서식지로 알려진 곳이다. 사카치 알리안 유적에서 반구대암각화에 그려진 방법과 같은 기법의 호랑이와 배 그림 등이 발견된다.

 

사카치 알리안 유적은 아무르강 하류의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매우 잘 알려진 곳이다. 사카치 알리안 마을에서부터 상류쪽으로 말리셰보 마을까지 아무르 강가의 5km 범위 내에 화산암 바위 위에 그림이 남겨져 있다. 아무르 강 하류에서 직선거리 560 km 가량 떨어진 곳으로 내만 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페그티멜 유적과 반구대가 절벽위에 그려져 있다면, 사카치 알리안은 강가에 바로 위치하고 있어서 접근성은 좋지만 유적파괴도 극심하다.

 

6지점에서 103개의 화산암 돌(그림 1)에서 1~12개의 표현물이 확인되었다(그림 1, 아래 사이트 참고). 암각화의 기법에 따라서 선쪼기 기법과 선 긋기(세선)로 구분되는데 각각 신석기시대와 중세시대에 그려졌다.

 

이곳의 바위그림은 인간의 얼굴 혹은 마스크를 쓴 얼굴, 뱀, 사람, 배, 사슴-배, 사공이 탄 배, 새, 원심원 및 동심원 문양 등 기하적인 것도 백 여점 이상으로 그려져 있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원형의 문양이나 동심원문인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있지만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것은 인간의 얼굴모양(그림 2-3~7)을 표현했다는 생각이다.

 

그림 1. 아무르강 하류의 사카치 알리안

 

그림 2. 사카치 알리안 암각화(김재윤 2021b)

 

동물문양 중 사슴은 대단히 다양한 표현방법이 있지만 그 중에서 사슴으로 추정되는 동물가운데, 몸통의 내면이 격자로 표현된 사슴(그림 2-2)과 호랑이(그림 2-3)표현은 반구대(그림 3-D,E)도 볼 수 있다(김재윤 2021b)

 

그림 3. 반구대 암각화(암각화보존연구소2020, 김재윤 2021b)

 

반구대 암각화에도 다양한 사슴표현이 있기 때문에 사카치 알리안과 다른 사슴표현도 많다. 그래서 더 눈이 가는 것은 ‘배(boat)’이다.

 

사카치 알리안의 암각화는 아래에 소개해 드린 사이트로 들어가면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영문도 있음). 강가의 큰 돌에 그림이 있어서 접근하기 쉽지만 그만큼 유실도 많다. 사이트에서 잘 찾아 들어가면 3D로 암각화가 있는 돌을 돌려 보면서 그림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Ласкин А.Р. ПЕТРОГЛИФЫ СИКАЧИ-АЛЯНА: ИСТОРИКО-КУЛЬТУРНЫЙ КОНТЕКСТ И СОСТОЯНИЕ СОХРАННОСТИ :Автореф. дис...канд.ист.нук., Москва, 2015 (라스킨, 『사카치 알리안 유적: 역사문화적 접촉과 보존상태』, 2015, 15면)

김재윤, 2021a, 「반구대암각화와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배 문양 암각화 비교검토」, 『인문사회과학연구』,제 22권 제 2호, 2021.

김재윤 2021b

울산대학교 반구대암각화유적보존연구소,『한국의 암각화』, 2020.

https://aurockart.ru/

 

Петроглифы Нижнего Амура и Уссури

Трехмерное моделирование петроглифо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aurockart.ru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