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답은 영남이 환동해문화권의 교류지역임을 입증한다는 것이다. 

이미 필자가 연구한 바를 토대로 환동해문화권의 범위와 그 교류지역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선사시대 환동해문화권의 교류는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를 중심으로 연해주와 우리나라 강원도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2,3). 


표2. 환동해문화권의 동심원문암각화와 극동전신상토우(김재윤 2018)



3. 시간에 따른 환동해문화권의 범위와 교류권(김재윤 2018)



연해주와 동해안의 교류는 신석기시대 루드나야 문화의 세르게예프카 유형과 오산리 유적의 A,B지구 및 오산리 C지구의 III~V층에서 확인되는 오산리식토기와 융기문토기를 근거로 논의 되었고, 그 시점은 6000~5800년 전이다[각주:1](김재윤 2015, 2017). 이후부터 강원도에는 첨저토기가 출토되는 5100년 전[각주:2] 동안은 동해안에 유적이 확인된 적이 없다. 만약 동해안에서 유적이 확인된다면, 연해주와의 문화권은연대가 좀 더 길어질 수 있다.

  즉 5800~5100년 전 환동해문화권의 범위는 불투명하며, 5100년 전께는 연해주와 강원도의 생업권은 끊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점은 자이사노프카문화가 시작되는 시점과도 비슷하다(3, 김재윤 2017a).


   다시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흥성문화(김재윤 2004, 강인욱 2017) 및 시니가이문화가 강원도 영서지역을 통해서 진주 남강의 평거동 유적까지 내려온 흔적이 청동유물, 토기, 석기 등을 통해서 알 수 있었는데, 시니가이문화가 내려온 연대는 3100~2900년 전께이다(김재윤 2018a).

  그런데 연해주와 강원도의 신석기시대 문화권이 형성되기 이전에 아무르강 하류의 문화가 동해안까지 확인된 정황도 있다. 오산리C지구의 신석기시대 최하층인 VI층 및 문암리, 망상동 유적에서 확인되는 적색마연토기가 아무르강 하류의 말리셰보문화에서 전해졌고 관련이 있는 연대는 6500~6000년 전을 확인한 바 있다. 오산리C지구의 VI층은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유적으로, 토기 제작이 없었던 동해안에서 갑자기 적색마연토기가 확인되는 것은 이미 토기문화가 있던 곳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해서 아무르강 하류의 말리셰보문화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김재윤 2015, 2017).

  그런데 토기 뿐 만 아니라 아무르강 하류에서 출토되는 말리셰보 문화 및 보즈네세노프카 문화의 극동전신상토우를 근거로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아무르강 하류도 환동해문화권에 속할 가능성을 했는데 환동해문화권으로 생각했다(김재윤 2008).

 하지만 앞서 본고에서 고찰한 아무르강 하류의 동심원문암각화로 보아서 연해주와 아무르강 하류와의 문화권은 9000년 전 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 이 때부터 6000년 전까지는 아무르강 하류가 환동해문화권에 포함될 수 있으며, 북부지역일 수 있다.

  또한 9000년 전께는 쌍탑1기와 노보페트로프카 문화가 유사하기 때문에 아무르강 중류 및 눈강 유역도 환동해문화권의 북부지역인 아무르강 하류와 관련성이 있다(3). 그러나 아무르강 중류 및 눈강 유역은 환동해문화권에 속한다기 보다는 환동해문화권의 북부와 교류한 간접적인 영향권으로 볼 수 있다.

  6000~5800년 전 환동해문화권은 앞서 보았듯이 연해주와 강원도 오산리 부근이다. 그러나 오산리 유적 이남인 태백산맥이 끝나는 죽변유적의 토기는 오산리 및 한반도 남부지역과의 관련성이 더 크다[각주:3].

 

 따라서 영남 동심원문암각화의 유적은 남해안 신석기문화가 자리잡은 가운데(6910B.P. 이후, 3) 환동해문화권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연해주 및 아무르강과 관련 있는 6000~5800년 전이다. 이 지역은 환동해문화권의 간접영향권으로 교류했을 가능성이 있다.

 환동해문화권의 신석기시대는 9000~6000년 전에 아무르강 하류가 환동해문화권의 가장 북부지역에 속하며, 그 이후 6000~5800년 전 연해주와 동해안만이 문화권일 가능성이 있다(3). 5800년 전 이후로 동해안에서 유적이 확인된다면 이 시점은 더 지속적일 가능성이 있다.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환동해문화권은 두만강 유역의 흥성문화 및 연해주 시니가이문화가 연해주와 강원도가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이는데, 강원도 영서지역을 통해서 소백산맥이동의 진주 남강 유역에서 확인된다. 현재로서 확실한 연대는 시니가이문화의 이동성이 보이는 3100~2900년 전이다. 환동해문화권은 신석기시대와는 다른 경로인 강원도 영서지역으로 소백산맥 동쪽의 영남 남강 유역까지 환동해문화권과의 교류한 흔적이 남아 있다. 토기, 석기, 청동기 등 구체적인 양상이 확인되어서 신석기시대보다는 더 뚜렷한 관련성을 보인다. 하지만 진주 남강을 환동해문화권의 남부지역으로 결정하기에는 좀 더 확정적인 증거가 답보되어야 할 것이며, 현 상황에서는 간접적인 영향권으로 일단 두고자 한다[각주:4].

 따라서 3100~2900년 전 청동기시대에는 환동해문화권으로 한반도와 강원도 영서지역이 포함될 수 있다(3).

 

 신석기시대 환동해문화권의 형성배경은 태백산맥 및 시호테알린산맥과 태평양을 매개로 한 생업권이 문화권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본다. 필자가 생각하는 아무르강 하류 및 연해주와 강원도의 관련성은 생업권을 의미하며, 고고학적으로 문화권으로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김재윤 2017). 전파론적인 해석과는 차이가 있다. 신석기시대 여러 기간에 걸쳐서 아무르강 하류 오시포프카문화 및 말리셰보문화의 모습이나 연해주의 세르게예프카 문화양상 이 동해안에서 남아 있을 수 있었던 이유는 자연환경에 따른 생업권 때문이며, 동심원문 암각화가 태백산맥에서 분기된 소백산맥이동에서 주로 확인되는 것은 환동해문화권과의 교류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 지역이 산맥과 바다를 매개로 한 생업권임을 알 수 있는 것은 5000km [각주:5]이상 떨어진 곳 추코트카의 페그티멜 암각화에서 신석기시대 그려진 사슴문양과 청동기시대에 그려진 고래그림이 반구대암각화와 같은 방법으로 그려지고, 사카치알리안의 호랑이 문양은 반구대암각화와 비슷하게 그려졌다는 것은 같은 생업권을 의미하며, 반구대암각화도 환동해문화권의 영향이 일정부분 있다(김재윤 2017b, 2-12,18, 19,22).

  

https://eastsearoad.tistory.com/272?category=772722

https://eastsearoad.tistory.com/273?category=772722

https://eastsearoad.tistory.com/274?category=772722

https://eastsearoad.tistory.com/275?category=772722

https://eastsearoad.tistory.com/276

https://eastsearoad.tistory.com/277

https://eastsearoad.tistory.com/278?category=772722


*본고는 2018년 12월에 있었던 제 49회 한국상고사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필자가 발표한 내용입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1. 이 연대는 양 지역의 문화가 시작되는 시점이 아닌 서로 관련된 시점이다. [본문으로]
  2. 중동부지역 신석기문화는 오산리식토기 출토된 오산리C지구 3,4,5호 주거지(5750±15B.P.)(소상영 2016) 이후부터 첨저토기가 확인될 때까지 공백이 있다. 문암리의 중기유물층(5120±36B.P.)(소상영 2016의 표 13) [본문으로]
  3. 죽변 유적에서 확인되는 토기는 연해주 보다는 오산리와의 비교우위를 점한다(임상택 2012). [본문으로]
  4. 이는 청동기시대 형성배경은 신석기시대와는 다른 생업환경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별고로 고찰코자 한다. [본문으로]
  5. 이 경로는 야쿠티아지역을 통해서 아무르강 중류, 하류 및 동해안을 따라서 내려온 경로를 계산한 것이다. 만약 해안선만을 따라서 추정하면 10,500km가량이다. [본문으로]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