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코카서스 북쪽에 위치한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거울 중에는 원형맹수장식이 달려 있는 유물이 있다. 원형맹수장식은 켈레르메스 유적 발굴 전에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컬렉션 수집품 가운데서도 발견된 바 있어서 스키타이 문화의 상징으로 생각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우라루투의 남쪽에 위치한 현재 이란의 삭키즈(Saqqez) 부근의 마을에서 1947년 화려한 황금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은 별 다른 유구는 발견되지 않은 퇴장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 유적의 유물구성은 어떤 특정 지역의 것만 출토된 것이 아니다. 앗시리아, 우라르투, 초기 이란양식(고대 오리엔트 특징+유라시아 스텦지역 특징) 등이 복합되어서 많은 연구자들에게 회자되었다.

 

그림 1. 켈레르메스 유적의 청동거울

 

이 유적에서도 원형맹수장식이 발견되어서 스키타이 문화의 기원지라는 생각을 하게 된 연구자도 있다. 왜냐하면 기원전 9세기 유적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인데, 하지만 발굴품이 아니라 20세기 초반 유적들의 운명처럼 우연하게 발견된 것이었다. 전문적인 발굴이 아니라 농민들에 의해서 발견되었고 시장에서 구입해서 고고학자들이 입수한 것이다.

 

그림 2. 지비예 출토 원형맹수장식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지비예 유물을 처음 알린 것은 1948년에 프랑스 고고학자 앙드레 고다르인데, 유물을 판 두 사람에게 이야기를 듣고 약간의 유물을 박물관 카달로그에 게시했다.  농민들이  요새가 있는 높은 언덕의 큰 청동용기 안에서  금, 은, 청동, 상아 및 토기 등의 유물이 있었다고  고다르에게 전해 주었다. 그 다음해인 1949년에 유적의 위치가 지비예 마을인 것을 확인했고, 유물들은 ‘지비예 보물’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수십년 동안 지비예의 유물로 추정되는 것들이 이란의 상점에서 팔려나갔고, 미국, 유럽 및 기타 지역의 개인 수집가와 박물관 그리고 다수 특별 전시회에 전시되었다(Muscarella, 1977)

 

그런데  ‘지비예의 보물’이라고 주장하는 유물들이 엄청나게 늘어났다. 특히 프랑스고고학자인 Ghirshman는 지속적으로 이 유적의 유물이라고 주장하면서 30여개체나 늘여갔다.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의 근동 미술실에도 지비예 유물이 소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 유적의 유물을 최초로 알린 고다르는 1950년에 하나의 용기에서 유물이 뭉치로 출토되었다고 했지만, 1951년에는 이를 부정했다. 과연 하나의 용기에서 수백점에 달하는 유물이 전부 있을 수 있을까?

 

그래서 지비예의 보물이라고 알려진 유물 중에 아주 많은 양이 위조품일 가능성이 있다고 Muscarella는 생각한다. 그렇지만 한 유적에서 여러 나라의 유물 특징이 한꺼번에 위조되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인정된다.

 

참고문헌

O. W. Muscarella, “‘Ziwiye’ and Ziwiye: The Forgery of a Provenience,” Journal of Field Archaeology 4, 1977, pp. 197-219.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흑해지역의 코카서스 북쪽 스키타이 세계에서 가장 이른 유적인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에서는 코카서스 남쪽 우라루투에서 제작된 물건들이 발견되었다. 거울, 각배, 철제 검 등이 그곳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에서 각배는 거울과 같은 인물이 그려져서 두 유물이 같은 곳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성 외에도 온몸에 털이 나 있는 인물은 거울과 각배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각배의 인간은 하반신 부위에 맹수와 겹쳐그려져서 반인반수처럼 보이는데 각배가 잘 남아 있지 않아 분명하지 않다.

 

각배의 동체부는 둥글게 돌아가기 때문에 여러 방향으로 그림이 도안되어 있다. 가장 큰 중앙의 인간과 가지가 양쪽으로 벌어진 나무, 그 왼쪽에 그려진 사자와 싸우는 남성, 그 아래에는 기둥 2개가 방향이 달리 표현되어 있다. 2개의 기둥은 각배가 떨어져 나가면서 완전치 않지만 꼭대기가 불룩한 연꽃 형태인데, 우라루투의 테이시바이니 유적에서 발견된 식물 그림과 유사하다(그림 2).

 

그림 1. 스키타이 켈레르메스 유적 출토 각배의 상세

 

그림 2. 테이시바이니 유적에서 발견된 식물 그림

 

그림 3. 켈레르메스 유적의 거울

 

켈레르메스와 각배가 같은 곳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또 다른 근거는 각배와 거울 각 조각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는 눈김이 새겨진 띠이다. 거울의 문양판은 은제 거울 위에 붙인 금제풉인데, 각 조각은 중간에 눈김이 있는 띠를 매개로 붙인 것이다. 각배에서도 같은 띠가 새겨진 것이 발견되었다.

 

또 각배에서 반인반수가 발 밑에 두고 있는 꼬임문양은 거울에서도 반인반수 문양 아래서도 발견되었다.

 

그래서 두 유물은 같은 장소에서 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다.

 

참고문헌

Максимова М.И. 1956 : Ритон из Келермеса. // СА. XXV. 1956. С. 215-235.(막시모바 1956, 켈레르메스에서 출토된 리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드네프르 강 유역의 기원전 6세기 경 유적에서는 청동용기의 손잡이가 발견되었다. 날개가 달린 여성으로 날개를 양쪽으로 펴고 한 쪽 무릎은 세우고 다른 쪽 무릎은 굽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날개를 달고 무릎을 굽힌 여성은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의 각배에서 표현된 바 있다. 동물을 잡고 있었지만 이 유적의 유물은 동물은 없고 허리를 잡고 있다.

 

그림 1. 드네프르강 유역 채집, 청동용기의 손잡이

 

 

그림 2. 켈레르메스 유적의 각배 그림

 

손잡이가 달린 청동용기는 흑해 북안에서 출토되는 그리스 유물로 추정되는 것 중에서 매우 드문형태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 청동손잡이가 과연 그리스 유물일까?

 

청동용기에 날개달린 인간형상은 우라루투에서 태양의 신인 시비니의 아내인 투시푸에바가 아닐까? 혹은 시비니신과 투세푸에바가 함께 표현된 것은 아닐까?

 

시비니 신은 무릎을 굽히고 날개 달린 접시를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투시푸에바는 청동용기에 날개를 달고 표현되었다.

 

그림 3. 우라루투의 3신, 시비니신

 

그림 4. 시비니신의 아내 투시푸에바

 

 

참고문헌

 

Piotrovsky B., Galanina L., Grach N. 1986 : Scythian Art. The Legacy of the Scythian World: mid-7th to 3rd century B.C. Leningrad: Aurora Art Publishers. 1986. 184 p.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흑해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중에 가장 이른 켈레르메스 유적에는 당시에 인접한 지역의 유물들이 다 있는 듯 하다. 코카서스 남쪽의 우라루투에서 제작한 철제 검, 앗시리아의 금제 그릇, 그리스의 디아뎀 등이다.

 

그런데 철제 검은 아키나케스라고 불리는 스키타이 단검으로 검날 멈추개가 나비 모양으로 생긴 것이다. 철제 검은 화려한 황금 검집 속에 들어가 있는데, 검집에는 우라루투의 칼디 신을 형상화 한 문양, 생명의 나무, 스키타이 사슴 등 복합적인 문양이 들어가 있다.

 

켈레르메스 유적과 같은 시기의 멜구노프 유적에서는 거의 유사한 철제 검(검집 포함)(그림 1,2)이 발견되었다.

 

그림 1. 멜구노프 유적의 철제 검

 

 

그림 2. 멜구노프 유적의 철제 검 입구

 

그림 3. 테이시바이니 유적 출토 청동상, 테이시바 신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사슴의 표현방법과 철검의 동체부에 새겨진 반인반수, 검집의 입구에 표현된 신의 모습 등에서 차이가 있다. 특히 검집 입구에 있는 날개 달린 남성은 손에 무기를 들고 있는데(그림 2), 테이시바이니 유적에서 출토된 테이시바 신(그림 3)과 같은 물건이다. 또 검집의 입구에는 머리를 돌리고 있는 산염소(그림 2)는 켈레르메스 유적의 투부에 있는 염소와 많이 닮았다.

 

다시 켈레르메스 유적의 투부를 살펴보면 투부의 머리에는 염소 뿐만 아니라 도끼를 들고 있는 남성(그림 4의 왼쪽)도 발견된다. 또 염소가 하고 있는 자세도 중간에 나무를 두고 서로를 마주보는 장면(그림 5)은 우라루투에서 발견된 모습과 같다. 생명의 나무를 중앙에 두고 서로를 마주보는 두 신의 모습으로 치환할 수 있다.

 

그림 4. 켈레르메스 유적의 투부 머리쪽

 

그림 5. 켈레르메스 유적의 투부 머리쪽(좌)과 끝 부분(우)

 

그림 6. 그림 4,5와 같은 유물, 투부의 손잡이 부분문양

 

 

그렇다면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나온 투부가 앗시리아적인 특징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앗시리아와 우라루투는 비슷한 종교적 믿음을 가졌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투부에는 완전한 스키타이 사슴 장식은 없는데 이 점은 철제 검과 다르다.  투부의 머리부에 발견된 사슴장식(그림 4의 오른쪽)은 다리를 접고 있는데, 스키타이 사슴 자세이지만 이 사슴은 다리와 몸통 사이에 2줄의 침선이 있어서 표현법에서 스키타이 동물장식과는 다르다. 그래도  이 사슴은 투부의 손잡이에 새겨진 사슴(그림 6)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물론 이 투부가 앗시리아에서 제작되었을 수는 있지만 우라루투의 신(神), 스키타이 사슴의 자세를 취한 앗시리아 사슴장식, 염소와 나무의 배치 등 결국 앗시리아에서도 우라루투와 스키타이 동물장식을 염두해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Алексеев А.Ю. 2012 : Золото скифских царей в собрании Эрмитажа.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12. 272 с. (알렉세예프 2012, 에르미타주박물관 소장 스키타이 차르의 황금유물 콜렉션)

Артамонов М.И. 1961 : К вопросу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скиф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 Omagiu lui George Oprescu cu prilejul împlinirii a 80 de ani. Bucureşti: Editura Academiei Republicii Populare Romîne. 1961. P. 31-46.(아르타모노프 1961, 스키타이 예술 기원에 대한 질문)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7세기 흑해의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출토된 철제 검은 우라루투에서 수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철제 검의 끝에 그려진 마주보는 사자(그림 1)는 아르메니아의 카미르 블루르 유적에서 골제로 된 판에 표현된 유물이 출토된 적이 있다. 또 흑해의 스키타이 유적인 타만 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그림 3). 2점은 사자라기 보다는 호랑이에 가깝다.

 

그림 1. 켈레르메스 유적 철제 검의 검집 장식

 

그림 2. 켈레르메스 유적 철제 검의 검집 동체부

 

그림 3. 1, 카미르 블루르 유적 출토 골제 판, 2. 타만 유적 출토

 

켈레르메스 유적 출토 철제 검의 끝(그림 1)에 그려진 사자는 동체부(그림 2)에 그려진 사자와는 표현방법이 다르다. 검의 동체부의 사자는 앞발과 뒷발의 표현이 달라서 합성된 동물을 표현하고 있다. 목덜미의 표현방법도 상당히 다르다.

 

철제 검 끝의 사자는 어깨에 태양 표식이 있는데, 오히려 같은 유적(켈레르메스 유적)에서 출토된 투부의 동물표현법과 더 유사하다(그림 4). 동물의 가장자리 및 몸통과 다리선의 구분에 2줄 선을 넣는 방법이나, 별 혹은 태양을 표식하는 장식하는 방법이 그렇다. 투부는 앗시리아에서 수입한 유물로 알려진 것이다.

 

 

그림 4. 켈레르메스 유적 출토 투부의 동체부

 

하지만 사자의 표현방법은 앗시리아 방법을 선택했을 수 있지만 마주보는 사자의 자세는 스키타이 동물표현법이다.

 

따라서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출토된 철제 검은 스키타이 사슴장식과 맹수 자세가 표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스키타이 사람들의 주문으로 우라루투에서 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다만 앗시리아의 사자표현방법과 스키타이 맹수 동물자세가 함께 복합되었다는 점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참고문헌

Пиотровский Б.Б. Ванское царство (Урарту), Издательство Вост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Москва, 1959 (피오트로프스키 1959, 우라르투 반 왕조)

Алексеев А.Ю. 2012 : Золото скифских царей в собрании Эрмитажа.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12. 272 с. (알렉세예프 2012, 에르미타주박물관 소장 스키타이 차르의 황금유물 콜렉션)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