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알타이 유스티드 계곡의 유스티드 XII유적에서 여성 1인 무덤(19호, 10호), 여성과 남성이 함께 매장된 무덤(20호), 여자아이 2명(11호), 여자아이 1명(6호) 등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여성이 매장된 경우 중에 여성과 아이가 매장된 4호와 8호가 있다.

 

4호 무덤인데, 나무로 된 무덤방은 1기이지만, 함께 나란히 매장되었다. 네모꼴 무덤구덩이(264×317cm)안에 나무무덤방(208×125cm)안에 나무껍질을 바닥에 깔고 함께 두 피장자가 매장되었다.

 

그림 1. 유스티드 XII 유적 4호무덤방, 1-재갈과 끊어진 재갈멈치, 2,3-굴레장식, 4,5-거울, 6-나무장식, 7,8-동물문양장식, 9-모자에 달았던 장식, 10-모자장식, 11-이빨모양의 장식판, 12, 13-고리모양의 귀걸이, 꽃 장식이 달렸음. 14-2개의 토기편, 15-목제쟁반, 16-철제 칼, 17-양의 엉덩이뼈, 18-목제 잔, 19-검은색 물감의 흔적, 20-낙엽수 껍질

 

그림 2. 유스티드 XII 유적 4호 유물, 그림 1과 번호 일치

 

 

8호에서도 역시 여성과 아이가 매장되었는데, 무덤방의 구조가 약간 차이가 있다. 8호에서는 무덤방 바닥에 바닥시설을 각각 따로 해서 깔았다. 무덤방의 크기(222×105cm)는 비슷하다.

 

 

그림 3. 유스티드 XII 유적 8호무덤방, 1-재갈, 2-굴레장식, 3-토기, 4, 5-칼, 6,7-다양한 장식판, 8-동물의 머리모양장식, 9-이빨모양장식판, 10-체칸(전투용도끼), 11-장식판, 12, 13, 16,17-허리띠 장식판, 14-체칸(전투용도끼)에 달았던 송곳니형태의 장식판, 멧돼지 송곳니의 이미테이션, 목제, 15-원판형 단추모양, 16, 17-장방형장식판, 18-화살촉, 19-22: 활대의 끝부분, 23, 24-활대의 중간, 25-검손잡이, 26-검, 27-체칸에 연결하는 벨트의 부분, 28-체칸의 잘, 29-머리띠, 30-목걸이의 걸이부분(안은 비었음),31-산양화된 사슴장식, 32-말장식, 33-새 장식, 34- 모자장식(aigrette)의 일부분, 35-모자장식의 일부분으로 양 두 마리가 서로 얼굴을 맞대는 모양, 36-투구형 모자장식의 끝장식으로 말 모양, 37-투구형 모자, 38, 39-토제그릇 2점, 40-다리 4개 붙은 쟁반, 41-검은색 물감 흔적, 42-낙엽수의 껍질, 철제(1,4,5), 목제(2,3,11-17, 19-26, 29, 31-37),금박(6-9), 가죽(10, 27), 뿔(18), 청동+나무(28), 청동(30)

 

그림 4. 유스티드 XII 유적 8호무덤방의 출토유물, 번호는 그림 3과 일치

 

 

그림 5. 유스티드 XII 유적 8호무덤방의 출토유물 번호는 그림 3과 일치

 

 

그런데 이 아이도 소형화된 도끼와 칼을 가지고 있었다. 소형화 된 도끼와 칼은 3호에서도 출토되었는데, 성인여성이었다. 체칸이라고 불리는 도끼 자루의 끝장식, 도끼에 달았던 멧돼지 송곳니 모형, 화살은 아크 알라하 1유적의 1호분 남자아이의 것과 비슷하다. 목제칼, 고리트까지 소년의 몸집에 맞게 소형화되어서 무덤에 부장되었다. 그렇다면 8호의 여성과 함께 묻힌 아이는 남자아이일 수 있다.

 

 

두 사람은 모녀 혹은 모자 지간이겠지만 어떤 이유로 함께 매장되었을까? 아이가 죽어서 일까? 엄마가 죽어서일까? 아니면 피치못할 사정이 있었을까? 혹시 요즘처럼 역병이 돌아서 그랬던 건 아닐까? ‘역병’이라는 존재를 알았다면 화장을 했을텐데..당시에 왜 사람이 갑자기 죽는 지 이유를 몰랐을까?(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것도 코로나 때문이다. 일년 전에 이런 무덤을 보았다면 아마 코웃음을 쳤겠지.) 일렬로 서 있는 26기의 무덤은 몇 년 사이에 만들어졌을까?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91 : Курганы Юстыда. Новосибирск: 1991. 194 с

Полосьмак Н.В. 1994 : «Стерегущие золото грифы» (ак-алахинские курганы). Новосибирск: 1994. 125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의 유스티드 XII유적에서는  2인 이상이 묻힌 무덤이 4,8,11,16,17,20,23호가 있다. 그 가운데서 여성 2인이 묻힌 곳은 4, 8, 11호인데, 4호와 8호는 성인 여성과 아이가 매장된 곳이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여성 아이만 2명이 묻힌 곳이 11호이다. 말은 매장되지 않았다.

 

무덤방의 크기는 매우 작으며(137×107cm), 출토유물도 소략하다(그림 1). 뿐만 아니라 무덤상부의 봉분크기도 작았다(그림 4).

이 유적에서는 여성아이 1명이 묻힌 무덤도 있는데, 특이하게 통나무를 파서 말 구유모양으로 만든 통나무관(길이 160cm, 너비50cm)에 묻힌 아이(6호묘)도 있다(그림 2). 유스티드 계곡 전체에서 통나무관이 이용된 경우는 유스티드 XII유적 6호를 포함해서 3곳 뿐이다. 이 유적에는 통나무관의 뚜껑이 없지만 뚜껑이 있는 어린아이의 통나무관이 유스티드 유적 I호 7호분에서 발견되었다.  6호(그림 2)의 여자아이는 모자를 쓰고 항아리와 철제 칼 1점과 함께 나무속에 부장되었다. 이 유적에는 나무 무덤방에 묻힌 여성아이(7호,9호)도 있다. 7호무덤의 방 크기(100×80cm)는 길이가 1m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그림4).

 

 

 

그림 1. 유스티드 XII 유적 11호 무덤, 1-토기, 2,3-철제 칼, 4,5-목제 사슴머리장식, 6-목제 말 장식, 7-목제 머리장식, 8-말사슴의 송곳니, 9-목제 잔의 손잡이, 10-황토흔적105

 

 

그림 2. 유스티드 XII 유적 6호 무덤

 

그림 3. 유스티드 XII 유적 7호 무덤

 

그림 4. 유스티드 XII유적 무덤 배치도

 

그런데 아르잔-2호 유적에서도 통나무관을 쓴 경우도 어린 아이의 무덤이었다. 그렇다면 통나무관에 사람을 매장하는 관습은 어린아이에서부터 시작되어서 계속이어졌다고 할 수 있을까?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91 : Курганы Юстыда. Новосибирск: 1991. 194 с(쿠바레프 1991, 유스티드 쿠르간)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 유스티드 계곡의 스키타이 문화사람들이 묻힌 장소인 유스티드 XII 유적에는 인간도 2명 이상 매장되지만 말도 2필 이상 매장되는 경우가 있다. 3호, 10호, 13호, 16호, 23호, 25호이다. 그 중에서 사람은 1인이 부장되었으나 말 2필 이상인 경우는 3호, 10호, 13호, 25호이다. 16호와 23호에는 사람도 1명 이상이다.

 

그렇다면 사람 1명과 말 2마리가 부장된 무덤의 주인공은 유물도 많았을까?

10호와 13호는 인간의 뼈가 흐틀어진 채 발견되어서 후대에 무덤이 열렸을 가능성도 있어서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림 1. 유스티드 XII유적의 3호 무덤, 1-재갈, 2-4: 금박으로 만든 유물, 5-거울, 6-말사슴 송곳니, 7-원판모양의 단추, 8-거울편,9-칼과 검 모형, 10-소형화 된 전투용 도끼, 11-전투용 도끼 연결을 위한 가죽띠, 12-달모양 장식판, 13-화살, 14, 15-칼, 16, 17-쟁반, 18-검은색 물감의 흔적, 19-검게 물들인 가죽 주머니, 20-항아리; 철제(1), 금박(2-4), 청동(5,8,14,15), 뼈와 뿔(6,13), 청동+나무+가죽(9,10,11), 가죽(11), 나무(7,12)

 

그림 2. 유스티드 XII유적의 3호 무덤, 유물의 번호는 그림1과 일치

 

그림 3. 유스티드 XII유적의 10호 무덤, 1,2-재갈, 3-거울과 주머니, 4-말사슴 송곳니, 5-칼 편, 6-직조물 조각, 7,8-항아리 2점, 9-굴레장식, 10-금박장식, 11-낙엽수 껍질, 철제(1,2,5); 청동(3), 뼈(4), 실크(6), 토제(7,8)

 

 

그림 4. 유스티드 XII유적의 10호 무덤, 유물의 번호는 그림3과 일치

13호는 앞의 포스팅 참고

 

그림 5. 유스티드 XII유적의 25호 무덤, 1,2-재갈+재갈멈치, 3,4-굴레장식, 5,6-사다리꼴 장식판(안장의 부속품), 7-항아리, 8-잔의 손잡이, 9-칼, 10-손잡이가 끼워진 도끼, 11-활, 12-사슴머리장식, 13-말의 장식, 14-새장식, 15-동물장식의 편, 16-황금 장식판, 17,18: 목걸이 끝장식, 19,20: 황금제 목걸이 끝장식, 21-목걸이 장식편, 22-반구형 장식판, 23-이빨모양 장식판, 24-거울, 25-거울주머니 장식아플리케, 26-허리끈 장식, 27-30: 아플리케 장식(옷), 31: 쟁반편. 철제(1,2,9,10), 목제(3,4,8,11-15, 17,18,21,26,27, 31), 뿔(5,6), 토기(7), 황금판(16,19,20,23), 청동+철+황금판(22), 청동(24), 가죽(25,28-30)

 

그림6. 유스티드 XII유적의 25호 무덤, 유물의 번호는 그림5과 일치

 

그림7. 유스티드 XII유적의 25호 무덤, 유물의 번호는 그림6과 일치

 

 

3호(구덩이 크기 225×323cm, 나무방 175×125cm)와 25호(구덩이 크기 240×329cm, 나무방182×105cm)는 모두 인간 1명과 말 2필이 매장된 무덤이다. 3호는 여성, 25호는 남성의 무덤이다.

3호에는 도끼, 화살, 칼 등 3종 스키타이 무기가 있으나, 도끼와 칼은 소형화된 이미테이션이다. 3호는 인골은 부장된 상태 그대로 였으나, 무기(그림 1-9,10,11,13)와 청동거울(그림 1-8)의 위치가 거울과 무기는 대부분 다리뼈 혹은 골반 주위에서 출토되는데 여느 무덤과는 다르다. 거울은 깨진 채로 출토된 적이 거의 없는 점도 다르다. 게다가 머리 위에서 확인된 금박유물은 모자장식이었는데 그 부분도 의심스럽다. 10호와 13호는 인골의 위치가 비정상적이라는 점에서 언제 인지는 정확치 않지만 도굴되었을 수 있다.

 

 

앞서 살펴본 19호무덤에는 인간1명과 말 1필이 매장된 무덤으로 25호(인간 1명, 말 2마리)와 무덤구조가 거의 유사하다. 무덤 간의 차이는 있지만 부장품의 양이나 질이 확연하게 차이가 있지는 않아 보인다. 19호에 있는 여러 장식(그리핀 포함)은 여성의 의복이나 머리장식과 관련되었을 것이다. 25호에서는 맹수장식은 남성용 목걸이 장식이며 실제 크기의 투부(전투용도끼)와 화살도 남성의 것이다.

그래서 인간 1명에 말 2필이 들어간 무덤과 말 1필 무덤의 부장품의 차이는 여성용과 남성용 정도로 생각된다. 그러나 남성무덤에만 말 2필이 들어간다고 할 수 없는 것은 3호의 여성무덤에도 말 2필이 부장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91 : Курганы Юстыда. Новосибирск: 1991. 194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스티드 계곡 전체에서 확인된 봉분은 44기이고, 그 가운데 무덤은 71기이다. 그 중에서 여성은 33%, 남성은 30%이고, 나머지는 아이의 무덤이다.

유스티드 계곡에서 확인된 봉분의 수와 무덤의 수가 차이가 나는 것은 봉분(쿠르간)아래에 무덤이 1기 이상 들어가는 무덤이 있기 때문이다.

유스티드 XII유적에서는 봉분 아래에 무덤은 1기씩이다. 유스티드 XII유적에서 확인된 남성의 무덤은 2호, 13~18호, 23호, 24호, 25호이다. 나머지는 여성 혹은 아이의 무덤 및 부부의 묘도 있다. 어린아이의 무덤은 무덤방의 크기가 작다. 그래서 일일이 무덤방 크기를 살펴보아야 어린아이와 여성의 무덤은 구분할 수 있다. 책에 적어놓았다면 별일이 아니었을 텐데,,,그렇지 않기 않다.

또한 어린아이도 남성과 여성이 구분되는데, 이 점은 어떻게 알 수 있을지.....

 그런데 앞서 살펴본 어린아이의 무덤은 아크 알라하 1유적의 2호분이 있었다. 이 유적의 1호분이 남성전사 2인의 무덤이었는데 출토유물이 거의 유사했다. 그렇다면 남성과 여성의 부장품 중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을 추출해서 어린아의 무덤에 대입해 본다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어제 살펴본 19호 무덤은 여성의 무덤이다.

필자는 처음에 남성의 무덤이라고 생각했는데, 모자장식 때문이다.19호 피장자의 머리 위에 놓였던 사슴장식은 베르흐 칼쥔 II유적과 아크 알라하 1유적의 남성모자 장식과 유사하다. (모자장식 아래에 그린 것은 검은색 물감의 범위(그림 1-29)이다.)

  친절하지는 않지만 여성과 어린아이의 무덤으로 퉁쳐서 적어 놓은 적어 놓은 문구 가운데 19호가 포함된다는 점을 알 았다.

 

2020/02/08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크 알라하 1유적] - 2500 년 전, 시베리아 스키타이 문화의 45세 남성전사

 

2500 년 전, 시베리아 스키타이 문화의 45세 남성전사

2500년 전 유라시아 전 지역을 휩쓸고 다녔던 스키타이문화의 남성전사의 모습을 보고 있다. 그는 알타이 산맥의 우코크 고원에 묻혔는데, ‘얼음공주’라고 별명이 붙은 여성과 동시대의 인물��

eastsearoad.tistory.com

2020/06/27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베르흐 칼쥔 2유적] - 2500년 전 시베리아 알타이 남성미라의 헤어스타일

 

2500년 전 시베리아 알타이 남성미라의 헤어스타일

시베리아 알타이의 파지릭 문화(스키타이 문화에서 일종의 지역문화)에서 남성은 고깔모자 및 투구형 모자를 썼다는 점을 알려드린 바 있다. 2020/01/2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

eastsearoad.tistory.com

그렇다면 여성 모자도 파지릭 2호분과 아크알라하 3유적 처럼 아무 장식 없는 고깔모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하긴 위에서 살펴본 두 유적의 남성모자는 새머리고깔모자이고 사슴장식은 그 옆에 붙은 것이었는데, 유스티드 XII유적 19호는 사슴장식만 있는 것이니 면밀히 따지면 다르기는 하다. 

 

그런데 이 무덤에서 출토된  바늘(그림 1-25)과 통형으로 생긴 나무장식(그림 1-24)은 여성의 무덤에서 출토된다고 한다. 앞에서 살펴본 아크 알라하-1 유적의 1호 남성 전사의 무덤과 비교해 볼 때 없는 유물은 무기, 허리띠에 달던 장식, 목걸이 등이다. 목걸이는 여성 무덤에서도 확인되기 때문에 목걸이는 성별을 알 수 있는 유물은 아니다.

무기도 활과 화살, 투부(전투용 도끼), 검과 칼 중에서 검과 칼은 여성 무덤(아크 알라하 3유적,아르잔-2호의 5호 여성)에서 확인되기 때문에 성별을 나타내는 유물은 아니다.

2020/01/14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크 알라하 3 유적(여성미라,'얼음공주')] - 2500년 전, 시베리아샤먼 ? 얼음공주? 부장품의 의미

 

2500년 전, 시베리아샤먼 ? 얼음공주? 부장품의 의미

아크-알라하 3유적의 1호분에서는 무덤방 안과 관속에서 유물이 확인되었다. 관의 뚜껑을 열자 얼음속에서 가장 머저 드러난 것은 머리부분이다(그림1). 이 여성은 오른쪽으로 누웠으며, 무릎은

eastsearoad.tistory.com

 

계속 살펴보겠지만 활과 화살은 모든 남성의 무덤에서 출토되지 않는다고 한다. 즉 활과 화살이 없다고 여성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하나씩 살펴보면 약간 알 수 있을 것도 같다. 어제 빠진 유물 가운데 토제 항아리의 위치는 그림 1-27, 나무손잡이가 달린 목제 잔은 그림 1-28에 위치한다. 목제 잔은 상태가 너무 않좋았다고 한다.

 

아크 알라하 3유적을 비롯한 대부분의 무덤에서 확인된 토기는 19호에서 역시 주인공이 마주보는 곳 가장 위쪽에 놓여 있었다.

 

그림. 유스티드 XII유적의 18호 무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91 : Курганы Юстыда. Новосибирск: 1991. 194 с(쿠바레프 1991, 유스티드 쿠르간)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의 해발 2000m 유스티드 계곡에는 이 강의 본류인 추야 강 입구에서 사슴돌과 케렉수르가 복합된 제사유적이 발견되었다. 그 중에서 서 있는 사슴돌 주변을 둘러싼 고리 모양의 돌 무더기를 발굴했다. 이 유구는 케렉수르와 같이 둥글게 돌을 두른 적석시설과는 그 모양에 차이가 있지만 제사시설인 것이 알게 되었다. 특히 서 있는 사슴돌 옆에 누운 사슴돌에는 맹수 혹은 그리핀 4점이 그려져 있었다.

 

유스티드 계곡에는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알타이의 지역문화인 파지릭 문화의 유적이 존재하는데 그곳에서 발견된 그리핀은 맹수자세를 취하고 있었다. 유스티드 XII유적이다.

 

그림 1. 유스티드 계곡의 고분 유적, 기원전 5세기 파지릭 유적 뿐만 아니라, 흉노시기 및 초기투르크 시대까지 유적은 계속 사용되었다. 1-유스티드 XIII, 2-유스티드 XII, 3-유스티드 III, 4-유스티드 I, 5-졸린 I, 6-졸린 II, 7-유스티드 XXII

 

 

유스티드 계곡에서 발굴된 유적 가운데 맹수자세를 취한 그리핀이 출토된 유스티드 XII을 살펴보자. 이 유적에서는 모두 28기(2~29호)의 무덤이 발굴되었고, 그 중에 28호와 29호를 제외한 26기는 모두 기원전 5세기부터 시작되는 파지릭문화의 유적이다.

 

 

그림 2. 유스티드 XII유적의 무덤, 검은점-발굴된 무덤, 동그라미-발굴되지 않은 무덤, 점선동그라미-돌을 돌린 유구(원형고리유구), 발굴하지 않은 무덤은 1호뿐이다. 1호 앞에 지나가는 선은 타샨타 마을로 가는 시골길이라고 적혀있음. 열을 벗어난 무덤 28호와 29호만 다른 시기의 무덤이다. 28,29호 알타이 초기투르크문화.

 

 

(필자가 공유지도로 들어가서 보시면 희미하게 봉분이 보인다. 일주일 이상 계속 위성사진으로 쳐다보고 있지만 누렇게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구글위성사진은 날씨에 따라서 잘 보일때도 있는데, 아직은 유스티드 계곡은 잘 관찰되지 않는다. 여러분도 한번씩 살펴보면 재밌을 듯. 연해주의 발해성도 날씨 좋은 날은 아주 뚜렷하게 보일때가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www.google.com/maps/d/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비슷해 보이지만 각 무덤마다 약간씩 특징이 다르다. 무덤시설, 사람 수, 부장유물들이 차이가 있다. 소개할 무덤은 생각나게 하는 유적이 있는데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전사이다. 또한 투바의 아르잔 2호도 떠올리게 한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91 : Курганы Юстыда. Новосибирск: 1991. 194 с(쿠바레프 1991, 유스티드 쿠르간)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