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암구 강 유역은 지형학적인 특징에 따라서 고대의 교통로와 고고학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암구 강은 다른 지역의 강과는 달리 시호테 알린 산맥에서 발원하지 않아서, 이 강의 상류가 시호테 알린 산맥의 영서지역으로도 흘러내리지 않는다

 이런 성격으로 보아서 암구 강 유역에는 두 가지 교통로가 있는데, 하나는 동해바다와 연결되는 것과 하나는 해안가를 따라서 나 있는 좁지만 편한 육로이다. 이를 증명하는 것이 성곽이 입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곳에서 제일 이른 시기에 확인되는 것은 청동기시대의 환호이다. 모두 산지형으로 쿠댜, 데두시킨 클류치 환호가 해당되는데, 바다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다. 고금속기시대 가운데 리도프카 문화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10세기 무렵에는 극동에서는 퉁구스-만주 족의 중세시대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말갈문화도 그에 해당되며, 미스 테플리이 성곽도 그에 해당된다.


 그 후에는 극동 퉁구스 만주족의 발해국가인 새로운 문화가 파장을 일으킨다. 그러나 암구강 유역에는 이러한 발해시기의 유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는 말갈인 중에서 발해국으로부터 고향을 지키고, 발해가 이곳으로 영역을 확장하지 못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 이유가 시호테 알린 산맥의 서쪽으로부터 이 곳으로 들어오는 길이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중세시대 세 번 째로 두각을 나타낸 것은 여진족인데, 그들은 암구강 유역 뿐 만 아니라 연해주 전체에서 각양각색의 성곽을 남겨 놓았다. 이 지역은 동하국의 북동쪽 지역과 인접한 지역으로, 방어용으로 사용된 것이 소프카 류브비 성곽인데, 이 곳에서 바다로 가는 길과 육상으로 가는 길을 모두 통제 할 수 있었다. 직접적으로 도로와 관련된 곳은 말라야 카리마와 카라민스키 흐베르트 성곽이다. 이 성곽의 존재는 아르세네프가 남긴 여행기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암구강에서 쿠수누 강까지 가는 길에서 바다 절벽 안에 동굴이 있고, 그곳에는 옛날 도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굴은 300발걸음 정도가 되고 깊이는 대략 4.3~6.5m 정도이다. 다른 도로는 산을 따라서 올라간다.. 옛 도로는 소욘 강을 따라서 와서... 성곽은 상기한 오솔길 혹은 도로를 따라서 사람들이 오고 간 곳에 성곽이 위치하고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6. 카라만스키 흐레베트 성곽


암구 마을에서 북쪽으로 10km 떨어진 곳에, 바다로부터 1.5 km 떨어진 곳에 암구 강 유역과 소욘 강 사이에 카라민스키 산맥이 위치한다. 1908~1909년도에 아르세네프 의해 평면도가 작성되었다(그림 108).

 

 


그림 108. 1908년 아르세네프에 의해 작성된 카라민스키 흐레베트 성곽의 평면도

 

성곽은 산의 정상부의 고개에 위치한다. 해자는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경사가 심한 곳이바다쪽과 가까운 곳이다. 바다는 이 곳에서 대략 1k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성곽의 평면형태는 부정형으로, 지형을 따라서 만들어 졌다. 해자가 있는 성벽은 바다쪽으로 향하는 경사가 급한 곳을 제외하고는 성벽으로 둘러져 있다. 성벽은 해자를 만들면서 퍼 올린 흙으로 쌓아졌다. 해자의 너비는 대략 10.8m로 깊이는 대략 4.3m 이다. 절벽과 가까운 쪽의 성벽에 문이 있고, 문의 길이는 1071m정도이다.

 

*카라만스키 흐레베트 성곽은 산지성으로, 성벽은 개방형이다. 내부에는 내성이나 보루와 같은 시설물이 확인되지 않는다. 성벽의 축조됨으로는 치가 없고, 해자가 있으며, 성벽은 토성이다. 용도는 방어용으로, 말갈시기에 축조되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5. 말라야 카리마 성곽


암구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6.5km 떨어진 곳으로 동해쪽으로 향하는 절벽 위에 위치한다.

1908~1909년에 아르세네프가 여행기에서 이곳의 성에 대해서 적고 있다. 이 곳의 입지는 암구 마을과 소욘 마을 사이에 위치하는데, 해안과 가까운 곳에 성이 위치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그림 105, 그림 106).

 

그림105. 1908~1909년 아르세네프가 작성한 말라야 카리마 성곽 평면도


 1992년 크바신은 유적을 조사했는데, 평면형태가 오각형(그림 106)이다. 남쪽 성벽은 돌과 흙으로 축조되었다. 성벽의 높이는 바깥에서는 6m에 달한다. 북쪽 성벽은 2m너비의 절개면에 의해서 2 부분으로 나눠진다. 남쪽 성벽은 4m 너비의 문지로 성벽이 30m20m로 나누어진다. 성벽의 북쪽에는 10m 너비로 절개되었는데, 남은 성벽은 각각 80m75m이다. 북동쪽의 성벽은 토벽으로 문지의 너비는 10m가량이다. 북동쪽 성벽은 흙과 돌로 축조되었는데, 높이는 3m이다. 북서쪽과 남서쪽의 접하는 부분에는 정상부가 편평하게 처리되고 둥글게 튀어 나온 부분이 있다. 성의 평면크기는 1000이다.



 그림 106. 1992년 크바신이 육안으로 작성한 말라야 카리마 성곽 평면도



2001년에 아무르-연해주 고고학 탐사대가 조사하였는데, 말라야 카리마 성곽은 나지막한 고개에 위치하고 있고, 성벽은 아주 희미하게 남아 있다. 이 성벽은 이 곶의 정상부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만 축조되어 있다. 성벽은 석성으로 외벽은 비스듬하게 경사가 있다. 성벽중의 일부 지역에는 성벽과는 다른 돌을 사용했는데, 문지로 추정된다. 성의 안쪽에서 잰 내벽은 0.3m가량이다. 남쪽은 절벽면과 거의 맞닿아 있고, 그 성벽 아래로 도로가 지난다.

성은 전체적으로 자형으로 개방형이다. 2곳에서 3m가량 절개된 문지가 확인된다. 유물은 확인된 바가 없다.

 

* 말라야 카리마 성곽은 산지성으로 평면형태는 자형이고, 성안의 내부는 편평하고, 내성과 보루 등은 없다. 평면적은 소형(1000)이고, 성벽의 축조시설로 치는 확인되지 않고, 문지가 2개 확인된다. 성의 용도는 방어용으로 동해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해서 해안가의 도로 등을 통제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4. 미스 테프리이 성곽


암구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3km 떨어진 곳에 동해로 불룩 튀어나온 테프리 곶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이 곳의 북쪽과 남쪽 절벽으로 동해와 맞닿아 있다. 1908~1909년 아르세네프는 처음으로 이 성곽을 조사하였는데, 육안으로 관찰해서 평면도를 작성하였다. 1984년에는 타타르니코바가 처음으로 이곳에 왔고, 1997년에 아무르-연해주 고고학탐사단이 이곳을 조사하였다. 유적의 평면크기는 16,000이다.

아르세네프는 늙은이들이 말하기를 북동쪽은 몇 십 년 동안 해안가가 4.42보다 훨씬 더 깎여 내려갔으므로, 이곳의 길이는 0.71m정도 였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적었는데, 이를 참고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림 103 미스 테플리이 곶의 성

 

곶은 설상으로 길쭉하게 지형으로 동해와 124m떨어진 곳이다. 언덕의 높이는 50m가량이다. 곶의 입구는 3줄의 벽으로 막혀 있다. 2줄의 길이는 26m이고, 세 번째, 가장 외곽선은 문지가 있다. 이 세 번째 벽이 중간쯤에 두 번째 벽과 10m가량 맞닿고, 세 번째 벽은 다시 10m가량 계속된다

 성벽은 흙과 돌로 축조되었는데, 성벽 사이의 길이는 4~5m, 높이는 0.5~0.7m이다. 성벽을 따라서는 깊이 0.5m가량의 해자가 설치되어 있다. 성 안쪽에는 3개의 장방형 수혈이 확인된다. 성의 최근 평면크기는 3000이고, 처음 시작할 때는 7200로 추정된다.



그림 104. 미스 테플리이 유적


여러 시기가 중첩된 다층위 유적으로 신석기시대(석기 박편)와 청동기시대 리도프카 문화의 유물(곰배괭이, 석도, 토기(그림 104-1~3,5, 장신구, 소조품), 말갈문화의 토기(그림 104-4)가 확인되었다.

 

*테프리이 곶의 성은 산지성으로 평면형태는 폐쇄형으로 성벽이 부채꼴 모양이다. 성의 평면크기는 소형으로 성의 내면은 편평하고, 내성과 보루 등이 확인되지 않는다. 성벽에는 치가 없고, 성벽은 흙과 돌로 축조되었고, 문 시설이 확인된다. 용도는 마을을 방어하기 위해서 축조된 것으로 10세기 후반의 말갈문화의 것으로 생각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3. 류브비 소프카 성곽


암구 마을에서 남쪽으로 0.5km 떨어진 곳으로, 이름 없는 강의 오른쪽 강가로 이 강의 하류에서는 1.5km 떨어진 곳으로 류브비 소프카 위에 성곽이 위치한다(그림 102). 성은 남쪽 경사면의 떨어지는 곳에 위치하는데, 늪지대의 아래에서부터 언덕의 기슭을 따라서 2줄의 부채꼴 모양의 성벽과 해자가 있다. 북쪽과 서쪽에는 절벽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경계가 가능하다. 언덕의 절벽은 세르바토프카(암구 강의 오른쪽 지류)와 암구 강과 맞닿아 있다. 성벽은 돌로 쌓아져 있는데 높이는 0.7~1m이다. 해자의 너비는 1m이고, 깊이는 0.5m, 성의 평면크기는 4500이다


의 내부에는 인공적인 테라스로 인해서 편평하지 않다. 테라스에는 온돌이 설치된 주거지가 확안되었다. 내성과 보루는 없다.


이 성은 1908~1909년 아르세네프가 처음으로 평면도를 작성하였는데, 이 성에는 3개의 짧은 성벽이 언덕의 정상부 쪽으로 있고, 문지가 있다고 표시해 놓았다. 1974 년에는 성은 댜코바에 의해서 조사되었는데, 유적에서는 문화층이 2층 확인되었다. 아래층은 갈색 사양토로 고금속기시대로 리도프카 문화와 관련되었고, 상층은 중세시대 문화층이다.




그림 102. 1974년 댜코프가 육안으로 그린 류보비 소프카 성곽 평면도


1982년에 니키틴과 이블리예프에 의해서 유적이 조사되었는데, 온돌이 있는 주거지에 트렌치를 넣어서 조사하였다.

1997년에 아무르-연해주 고고학탐사대는 이 곳을 지표조사 하였는데, 이 곳이 2층의 문화층임을 다시 확인하였는데, 상층은 동하국과 관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토된 유물은 회색의 녹로제 토기로 화병형 토기와 푸른색의 관옥이다.

* 류브비 소프카 성곽은 산지성으로 개방형으로, 성 안은 편평하지 않다. 성 내부에는 내성과 보루 등이 확인되지 않고, 성벽의 구조물로는 치가 없다. 성벽은 흙과 돌로 쌓아져 있다. 이 성의 크기는 소형으로 용도는 취락을 방어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동해쪽에서 항구로 들어오는 문과 성에서 북서쪽 해안가를 따라서 가는 길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6 7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