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케마 강은 시호테 알린 산맥의 동쪽 경사면에서부터 시작하는 큰 강으로, 이 강의 수원지는 시호테 알린 산맥과 접하고 있다(사진 49, 그림 78). 강은 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동해의 시토르마야 항구로 흐른다. 길이는 119km이다. 이 강의 왼쪽 지류가 세레브랸카, 브루스니치나야, 돌리나야 강이고, 오른쪽 지류는 스메호프카, 포로지스타야, 자파드나야 케마, 탈니코바야 강이다. 강 유역은 시호테 알린 산맥의 동쪽에 위치하며, 이 지역의 산은 산맥에서도 울퉁불퉁하고 높지 않은 곳으로 아주 많은 강이 흐르고 있다. 산의 높이는 1000~1400m, 강의 하류역은 400~600m가량이다. 강의 하류에는 아주 넓고, 편평해서 사람 살기에 적합하다.

1907년에는 아르세네프는 타케미에서 살기에 적합한 곳은 강 하류에서부터 2.5베르스타(2.7km) 떨어진 곳이라고 하였다. 강 유역의 전 지역은 침엽수림이 많은데, 강의 상류는 툰드라 식물들로 덮여 있었다.

케마 강 유역에는 4개의 성이 확인되었는데, 동해의 시토르마야 항구로 흐르는 강의 상류에서부터 우스티 일모, 켐스코예 돌리노예, 켐스코예 스칼리스토예 , 캠스코예 모르스코예 성이 있다.

 

1. 우스티-일모 성곽

벨리카야 케마 마을에서 북쪽으로 17km 떨어진 탈니코마야 강 입구에서부터 서쪽으로 0.5km 떨어진 곳으로 케마강의 오른쪽 강가에서 150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 성은 아르세네프에 의해 1907년에 성의 평면도가 작성되었고, 1992년에 크바신에 의해서 작성되었다. 2001년에는 도굴꾼이 트렌치를 파고 금속탐지기로 작업한 흔적을 남겨 놓았다.

2002년에 아무르-연해주 고고학탐사대가 조사하였는데, 이때 정확한 평면도와 수혈을 조사하였다.

 

그림79. 1907년 아르세네프가 육안으로 작성한 우스티 일모 성곽의 위치 및 평면도



성은 높이 10m가량의 테라스에 위치하는데, 이 곳의 동쪽면은 현대도로가 거의 성벽이 있는 곳까지 놓여서 테라스를 잘라먹은 상태이다.

성의 형태와 성벽은 자연적 입지를 아주 잘 따르고 있는데, 남쪽과 동쪽은 테라스의 경사면이 아주 가파르기 때문에 성벽은 하나이고, 북쪽과 서쪽은 자연적인 방어시설이 없이 테라스가 이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유적이 4개의 부채꼴 모양의 성벽과 해자가 있는데, 북서쪽의 모서리가 평행한다. 기본적으로 성벽은 폐쇄형으로 성의 평면형태가 거의 방형인데, 긴쪽의 길이가 50m이고, 평면적은 2500이다.



그림 80. 우스티 일모 성의 평면도



성에는 문지가 동쪽과 서쪽에 서로 마주보고 2개 위치한다. 문의 너비는 1m, 깊이는 0.25~0.3m가량이다. 동쪽문으로 도로가 하나 지나가며,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두 번째 도로는 테라스에서부터 올라와서 북동쪽 모서리에 있다. 남쪽 성벽에는 3개의 절개면과 0.5×0.7m 크기의 수혈이 하나 있다.

성의 내면은 서쪽으로 갈수록 2m가량 높아진다. 그 곳에서 많은 수혈 등이 확인되었는데, 대략 면적은 15~25이다. 그 곳에서 토층을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1. 부식토의 두께 0.1~0.15m

2. 암갈색 사양토 두께 0.3~0.4m, 문화층

3. 명갈색 사양토로 발해토기가 확인됨. 주춧돌

 

가장 안의 내 성벽은 폐쇄형으로, 큰 돌로 축조된 석벽이다. 하지만 이 돌의 크기는 각기 다른 것으로 10×20, 40×30, 50×30cm로 다양하다. 몇몇 장소에는 돌이 아주 많이 쌓여 있는 곳도 있다. 내성벽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는데, 북쪽벽은 0.3~0.5m, 동쪽은 0.9m, 너비는 5~7m 가량이다. 성벽의 정상부는 편평하고 너비는 1~1.5m이다.

외 성벽은 흙과 돌로 제작되었는데, 내 성벽과 내성벽에서 부터 첫 번째로 위치한 성벽 사이에는 깊이 0.5m의 해자가 설치되어 있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성벽은 테라스를 두고 축조되었는데, 이 성벽의 높이는 0.3~0.6m로 일정하지 않다 세 번째 성벽의 너비는 2~4m, 네 번째 성벽의 너비는 7m이다.

 

*우스티 일모 성곽은 언덕형으로 평면형태는 방형에 가깝다. 내부에는 테라스, 내부성, 보루 등이 없고, 성벽의 구조물로써 치는 없지만 옹성이 설치된 문이 2개 있다. 소형으로, 취락 방어용으로 제작되었다. 성의 축조시기는 출토된 토기로 보아 발해시기이며, 10세기 말에서 12세기 초까지 계속해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미리코프 클류치 석성유적


세레뱐카 강의 오른쪽으로 떨어지는 시미리코프 강의 시호테 알린 산맥 한 산에 위치하고 있다(사진 38-41, 그림 63, 6). 성곽은 테르나야 마을에서 서쪽으로 10~1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데, 거의 공항 맞은 편에 위치한다


이 성은 지역주민들에게 오래전부터 잘 알려진 곳으로 소풍하러 많이 가는 곳이기도 하다. 1950~1970년대에 그곳에서 푸른색 관옥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그곳으로 가는 도로가 끊겨서 가기 힘들고, 언덕의 아래에는 다르메노바야 밭의 건초 만드는 곳이 위치한다.

1997년에는 댜코바가 처음으로 이 곳을 발견하였고, 2001년에 아무르-연해주 고고탐사단에 서 발굴조사 하였었다.

성벽은 언덕의 정상부에 설치되었다. 남쪽 부터 시작해서 외벽이 설치되었는데, 개폐된 성벽으로 언덕의 구릉 정상부를 따라서 축조되었다. 성의 외벽은 높이가 7.5m에 달한다. 성벽의 안쪽으로는 도로가 지나가는데, 언덕의 아래까지 이어진다. 성벽의 길이는 200m가량이고, 그 남쪽에는 너비 3m 가량의 문지가 있다. 성벽의 길이는 거의 200m에 달하고, 문지는 3m가량의 절개면이 있다. 도로는 문 앞으로 들어와서, 도로의 다른 쪽 끝은 아래로 떨어진다.

두 번째 성벽은 부정형으로 폐쇄형이다. 성벽의 길이는 280m, 성벽의 너비는 4900이다. 성벽 외벽 높이는 거의 6m에 달하고, 동쪽 성벽의 안쪽으로는 그 성벽을 따라서 첫 번째 성벽(외성벽)에서부터 나온 도로가 내성벽의 북북동쪽 모서리에 위치한 문지를 통해서 구불거리며 돌아간다. 성의 남쪽과 서쪽에서는 두 번째 성벽이 세 번째 성벽과 부채꼴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세 번째 성벽의 길이는 140m에 달하고, 개폐형이다. 가장 중앙 언덕의 정상부에 타원형의 성벽이 있다. 네 번째 성벽으로 길이는 135m이다. 성벽의 높이는 세 번째와 같은데, 6m를 넘지 않는다.

네 번째 성벽의 북쪽과 남쪽 끝나는 곳, 첫 번째와 두 번째 성벽의 남쪽에 편평한 돌로 만들어진 둥지 같은 곳이 있다.




그림 63. 스미리코프 클류치 석성 유적의 평면도


 

 

  

성벽은 판암으로만 축조되었고, 흙으로 채운 흔적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 성은 축조방법으로 보아서 자볼레치나야 성곽과 거의 유사하다.


*성은 산지성으로 패쇄형이다. 테라스가 만들어져 있고, 성의 평면적은 소형이다(4900). 성벽은 돌로 축조되었고, 용도는 세레브랸카 강의 하류를 방어하기 위해서 축조되었다. 곳곳에서 푸른색 관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석성은 발해시기에 지어진 것이지만, 그 뒤에도 계속해서 이용되었을 것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3. 에스톤카 성곽


 달네고르스크 지역의 모노마호보 마을에서 남서쪽으로 1.5km 떨어진 루드나야 강의 입구에 위치한다(그림34). 19세기 말부터 주민들에 의해 에스톤카 성곽으로 불리었다. 1989년 아무르 지역 연구회에서 테튜헤 강 계곡의 요새로써 팔체프스키의 정보에 의해서 알려졌다. 1980년대에는 타타르니코프에 의해 유적이 조사되었다. 1992년 댜코바에 의해서 성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정보와 평면도가 작성되었다. 1996년 아무르-연해주 고고학탐사대에 의해서 지표조사 및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


 성벽은 아주 정확한 장방형으로 각 성벽은 동서남북 방향과 일치 하며, 장축방향은 남북이다(그림 34). 성벽은 돌과 흙을 이용해서 축조하였다. 성의 장축은 100m, 단축은 85m이고, 정의 평면적은 8500㎡이다. 동쪽 성벽은 높은 편인데, 외측면에서는 2~2.5m, 내측면에서는 1.2m정도이다. 서쪽과 동쪽 벽을 따라서 해자가 있다. 북쪽벽에 문지가 있다. 남쪽은 성벽을 따라서 이중 해자가 존재한다. 이 곳에는 문지가 있는데, 문지를 기준으로 해서 서쪽방향으로 남쪽 성벽이 2중으로 설치되어 있다. 성의 남쪽 바깥에는 강으로부터 들어오는 입구를 막는 방어용 성벽이 일자로 뻗어 있다. 성에는 돌로 만든 우물이 잔존한다.


그림34. 에스톤카 발해성곽 평면도


 성에서는 지표조사 및 시굴조사를 통해서 토층의 상황을 알 수 있었다(그림 35). 상층은 부식토층으로 민속학적인 유물이 남아 있었는데, 19세기 성안에 살았던 농부의 것이다. 아래층은 사양토층으로 8~10세기경의 발해 토기편이 확인되었다(그림 36).


그림 35. 에스톤카 발해성곽의 시굴토층도


그림36. 에스톤카 성곽출토 발해 토기편


 * 에스톤카 성은 평지성으로 장방형 평면형태이고, 성 내부에는 내성과 보루 등의 별다른 시설이 없다. 크기로는 소형으로, 치가 확인되지 않는다. 성벽은 돌과 흙으로 축조되었는데, 용도는 취락의 방어용으로 생각된다. 발해국(7~10세기) 시기에 축조되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루드나야 강은 큰 강으로 시호테 알린 산맥의 동쪽 경사면에서 동해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30페이지 지도, 사진 12). 길이는 73km, 전체 수계의 너비는 1140㎢이다. 강으로 떨어지는 전체 길이가 942m이고, 경사는 12.9도 이다. 이 강 유역에는 지류를 포함해서 942개의 강이 있고, 전체 길이는 939km에 달한다. 강 네트워크의 평균 밀도는 0.82㎢이다. 가장 큰 지류는 고르부샤(Горбуша, Gorbusha) (강의 좌안, 길이 16km), 크리바야(Кривая, Kribaya) (강의 우안, 길이 37km), 프라마야(Прямая, Pramaya)(강의 우안, 길이 24km), 모나스티르카( Монастырка, Monactyrka) (강의 우안, 길이 23km)이다.
 이 강의 유역은 시호테 알린 산백의 동쪽 산 기슭 부분부터 시작된다. 집수지는 고지대나 높이 1000~1200m 높이의 암벽사이이다. 산의 아래 부분에는 훨씬 매끈하고 높이도 300~500m정도로 낮아졌다. 산의 경사면에는 계곡성 지류와 폭포 등이 있다.
  강 유역에서는 많은 광물자원 들이 확인되는데, 대부분 모래와 실트암이 많고 드물게는 석회암이 판상으로 들어가 있는 종류석이 있다. 강의 계곡에서 생토층은 모래, 점토, 쇄석으로 성층된 실트암층이다. 집수지의 수풀 밀집도는 82%에 달한다.
 강의 입구는 매우 넓어서 살기에 적합한 곳으로 생각된다. 루드나야 강의 시호테 알린 산맥의 동쪽과 서쪽을 연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루드나야 강 유역에서 1906년 아르세네프는 그의 3번 일기장에서 ‘테튜헤 강과 리브나야 강에는 아주 넓은 평야 지역으로 사람이 살기에 아주 적합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림 31. 루드나야 강 유역의 성곽



 이 강 유역에는 모두 4개의 성곽 유적이 발견되었다(그림 31). 에스톤카, 모호마호프스코예, 바시코프스코예, 프리스탄스코예 성곽 유적과 자연방어시설인 달네고르스코예 유적, 단순 참호시설로 보이는 모나스트르스코예 유적이다. 다음은 성곽에 대한 설명인데, 강 상류에서부터 하류로 설명하고자 한다.


1. 모노마호보스코예 성곽 

 모노마호보스크 마을에서 서쪽으로 2km 떨어진 곳으로 루드나야 강의 하류로 들어가는 프라마야강의 지류인 라즈드보예노예(Раздвоенны, Razdvoenny)샘과 볼로(Болотны, Bolotny)샘 사이의 단층 경사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언덕의 경사가 동서 방향과 일치한다. 언덕의 너비는 80m정도이다. 경사면에는 중앙이다. 성에 아주 조그마하게 불룩 솟아 있다. 북과 남쪽은 절벽과 맞닿아 있다.
 성벽은 삼면만 잔존해서 ‘ㄷ’자 모양이다. 북쪽벽은 절벽인  자연적 입지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동쪽벽은 높이 1.5m로 너비 3m의 문에 의해서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부채꼴 모양의 북쪽벽과 직선의 남쪽벽이다. 동쪽벽의 길이는 70m이다. 남쪽벽은 직선인데, 높이는 1m 길이는 108m 정도이다. 성벽의 남동쪽 모서리에서 40m 떨어진 부분에 너비 4m의 절개면이 있는데 문지로 보인다. 이 곳에는 남쪽 경사를 따라서 나 있는 길이 하나 지나간다. 서쪽면에는 이중 성벽인데, 외벽은 둥그스럼한데 길이가 90m정도이다.
 서벽은 남쪽벽과 연결되어서 북쪽부분의 돌출부로 연결되어 있다. 서벽의 길이는 70m이고 높이는 2~6m이다. 내성벽은 2중의 외성벽에 의해서 둘러쌓여 있고, 길이는 60m를 넘지 않는다. 성곽의 평면크기는 7000㎡이다. 성벽은 돌과 흙으로 축조되었다. 내성벽의 남서 모서리 안쪽에는 돌로 막음 되어 있다(그림 33).
 시굴 결과 다음과 같은 토층상황을 알 수 있었다.
 1. 부식토층의 두께: 0.03~0.05m
 2. 돌이 섞인 암갈색 사양토 두께: 0.01m
 3. 돌과 쇄석이 섞인 암갈색 사양토 생토

 문화층은 제 2층으로 암갈색 사양토인데, 횡방향의 차양형 파수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발해문화에서 아주 특징적인 유물이다.
 1953년에 오클라드니코프를 단장으로 한 극동 고고학탐사대가 처음으로 조사하였고(오클라드니코프 1959), 1973년에는 지표조사 및 평면도를 작성하였다. 1978~1979년에는 간단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림 32. 모노마호프스코예 성곽유적

*성곽은 산지성으로 평면형태가 ‘ㄷ’자형으로 개방형이다. 성벽이 여러 개로 복잡하다. 성의 구조물에는 치는 없고, 두 개의 문지만 확인된다. 성 내부는 아주 단순하며, 내성과 보루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성벽은 돌과 흙으로 축조되었다. 용도는 모나스트르카 강 계곡의 교통로를 통제하는 방어시설 및 마을로 생각된다. 발해국가 시기(7~10세기)에 축조되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6. 시바이고우 성곽

 제르칼나야 강과 그 오른쪽 지류인 우스티노프카 강(시바이고우) 사이의 가장자리 산맥부에 위치하는 카발레로프 지구의 우스티노프카 마을에서 남서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1950년대 지질학자가 발견했고, 2000년에 타타르니코프(2001)가 조사했다. 2002년 아무르-연해주 고고학 탐사단에 의해서 조사되었는데, 그 때 정확한 평면도를 작성하고 치와 방어시설, 집(152㎡) 등을 발굴 조사하였다.
 우스티노프카 강 입구에는 강에 의해서 분수령이 두 개의 구릉으로 나누어진다. 북쪽 구릉은 동서 방향으로 쭉 뻗어 있고, 남쪽의 작은 구릉은 남동쪽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굽어져 있다. 강 반대 방향으로 떨어지는 구릉의 경사면은 그다지 가파르지 않다. 반면에 강 쪽의 경사면은 매우 가파르고 암반절벽이다. 구릉의 정상부에는 아래에 위치한 조그만 강으로 합쳐지는 작은 시냇물이 있다. 전체 북쪽 구릉의 경사는 북쪽의 언덕은 경사가 그렇게 크지 않고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분수령이 나누어지는 지점의 너비는 100m이고, 동쪽방향에서 남쪽으로 튀어나온 부분은 15~20m이다.
 유적의 내외면적인 특징은 연해주의 동하국의 산지성과 아주 유사하다. 구릉의 정상부에 건축물이 위치하다. 행정관청, 주거구역과 생산경제와 관련된 건물은 구릉의 경사면에 인공적인 테라스를 만들어서 축조하였다(사진 8, 9, 그림 25).
 


그림 25. 시바이고우 성의 평면도

성의 특징


 성벽은 구릉의 정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전체 길이는 1686m이다. 성벽은 북쪽(1005m), 남쪽(410m), 서쪽은(271m)이다. 성벽은 부슬거리는 흙에 작은 돌이 혼입되어 있다. 구릉의 정상부와 성벽을 따라서 유물이 채집되었다. 북쪽의 성벽 안쪽을 따라서 도로의 흔적이 있다. 도로에서부터 성벽의 높이가 1m정도이다. 성벽의 외벽은 높이가 3m에 달한다.

1)문지
문은 두 곳에서 확인되는데, 첫 번째 문은 성벽이 약 2m정도 절개되어 있다. 문은 구릉의 정상부에 북쪽과 남쪽 성벽이 갈라지는 부분에 문이 위치한다. 두 번째 문은 자연적인 문으로 남쪽 구릉으로 뻗어지는 그 부분을 이용하였다.
 성곽내의 방어를 위한 시설물은 서쪽, 북쪽, 남쪽 성벽에 설치해서 되어 있다.

2)서쪽방어시설
 가장 크고 두꺼운 방어시설로 자연적인 지형을 가장 잘 이용하였다. 서쪽성벽은 북쪽 성벽에 연결되는데, 서벽의 바깥쪽에 벽을 쌓아서 평면형태 삼각형 모양의 옹성을 만들었다. 이 곳의 북쪽길이는 270m, 서족의 길이는 271m이다. 이 서쪽방어시설에는 자체적으로 3개의 방어시설이 있다.

(1) 제1 방어구역
 성벽과 해자와 더불어 5개의 치가 확인된다.
 1번 치.-북벽과 서벽의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며 성곽에서 가장 높은 지점(강을 기준 148m)이다. 치의 기본적인 평면형태는 타원형으로 20×25m이다. 치의 상부는 반타원형으로 상부의 크기는 7.5×6.5m이고, 치의 높이는 3.5m이다. 측면은 둥글다.
 치의 앞쪽에 궁형 모양의 치를 호위하는 성벽이 존재하는데, 길이는 40m, 높이는 0.3~0.5m이다. 성벽과 치 사이에는 해자가 돌아간다. 해자는 치를 따라서 돌아가는데 깊이가 1m에 달한다.
 이 치 밖의 이중성벽은 분수령의 산마루와 교차하는데, 이곳에서 10m 떨어진 곳에 해자가 길이 15m, 너비 4m, 깊이 0.4~0.5m로 설치되었다.
 치와 서벽사이에는 성안으로 들어가는 문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곳에 2개의 투척기가 설치되었다. 투척기의 크기는 3×7m, 다른 한 개는 2×4m이다. 투석은 지름 0.12~0.2m의 바다 자갈로 만들어져 있는데, 좀 더 큰 것도(0.15~0.25m)있다. 대부분 돌은 2kg을 넘지 않는다.

●  1번 치를 발굴조사해서 축토양상을 살펴보았다. 상부는 4×5m의 반타원형으로 넓고 편평하다. 중앙에는 삼각형 형태로 돌로 쌓아진 곳이 확인되는데, 높이는 0.3~0.5m 정도이고 크기는 1.3×0.9m이다. 큰 쇄석으로 쌓여져 있는데, 이 석축의 주변은 비교적 편평한 돌로 쌓여져 있는데 특히 측면은 길쭉하고 큰 돌로 쌓여져 있다. 석축의 중앙에는 여러 크기의 돌이 쌓여 있다. 이 석축의 동쪽에는 연접해서 쇄석으로 둥글게 쌓아 놓은 석축이 있으며, 높이와 깊이가 0.3m 정도이다.
 치의 측면부 상측에는 넓고 편평한 강 바위가 놓여 있고, 남쪽에는 여러 크기의 돌이 길이 3m, 너비 1~1.9m가량 쌓여 있다. 이 돌 사이에서는 목탄과 소토, 금속제품등이 확인되며,  건축 부자재로 생각된다.
 치의 북쪽에는 아래로 떨어지는 계단모양의 4각형 석축이 쌓여져 있다. 상면의 길이는 3.5~3m, 하면의 길이는 2.5~1.5m, 너비는 0.2~0.3m 이다.
 성벽과 치가 접하는 부분은 돌로 연결되어 있다.
 
● 2번 치는 1번치로부터 54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평면크기 4×4.5m 반원형이고, 높이는 3.5m 정도이다. 치의 상단은 넓고 편평하며, 중앙은 지름 1.5m 너비로 둥글게 약간 파여 있다. 치의 서쪽에는 평면형태 타원형으로(5×2m) 높이 0.2~0.25m 정도로 돌이 축척되어 있다. 이 석축위로 성벽까지 단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 3번 치는 1번 치에서부터 148m, 2번 치에서부터 25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치의 평면형태는 반원형으로 평면크기는 12×15m이다. 치의 상단부는 다른 치와 마찬가지로 높이 0.12~0.15m의 석축이 쌓여있다. 너비는 3×3.2m이다. 치의 상단부는 편평하고 너비 2m가량, 깊이 0.18m가량으로 둥글게 파져 있다. 이 석축은 1번치 방향으로 향해있고, 치의 높이는 외면에서는 4.6m, 내면에서는 3.1m에 달한다. 이곳의 치에는 대부분 맞배지붕 구조의 주거지가 확인되는데, 3번에서도 확인된다. 평면형태 16㎡로 기둥구멍흔적과 온돌시설물이 설치되었던 것이 확인된다.
●  4번 치는 1번 치에서 33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평면크기 3×3m의 반원형이다. 중간에는 타원형의 구덩이가 1×1.5m로 파져 있다.
●  5번 치는 1번치에서부터 130m 떨어진 곳, 4번치로부터 97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치의 상부에는 평면크기 3×3m 반원형의 석축이 남서방향으로 불룩 튀어 나와 있다. 중앙에는 직경 0.5m 정도 크기의 원형수혈이 있다. 치의 모서리는 1번 치의 모서리쪽이 0.3m 정도 높여있다.

(2) 제2 방어구역

 1번치의 모서리에서부터 서쪽으로 65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삼각형 모양의 옹성과 치가 설치된 곳으로 평면적은 3000㎡이다. 이 곳은 성벽이 이중으로 설치된 곳으로 외벽의 길이는 115m, 원래의 성벽인 내벽은 75m이다. 중앙에는 너비 2m, 높이 20m 가량의 문이 설치되어 있다. 옹성의 내부에는 계단식의 공간이 있다.
 6번 치는 1번 치에서부터 82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이중 성벽이 설치되었다. 치의 상단부는 반타원형으로 크기가 4×5m이고, 외면에서 잰 높이는 6.5m이다.
 2번 방어구역은 옹성으로써 서쪽에서부터 성으로 들어가는 문이 있고, 절벽 쪽으로 문이 하나더 확인된다.

3) 제 3 방어구역
 1 번치에서부터 북벽을 따라서 220m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데, 지형적으로 분수령에서 약간 튀어나온 곳에 위치한다. 반타원형의 평면형태로 크기가 50×30m, 북쪽을 향하고 있으며 타원의 장축방향이 원래 성벽방향과 같이 일치하고 있다. 외성의 길이는 60m정도인데, 외벽은 높이가 4m에 달하지만 안쪽에서는 1.3m 정도이다. 이 옹성의 안쪽에는 세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그 면적이 45~150㎡이다.
 옹성의 안쪽에는 평면크기 4×3m의 4개 방형수혈이 있다. 옹성 내의 북쪽 구릉의 정상에 가까운 곳에는 3×2m의 작은 수혈이 확인된다. 
성벽의 안쪽 면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는 도로가 확인되는데, 문지의 너비는 2.5m이다.
 이 곳에는 돌이 많이 쌓아져 있는 곳이 있는데, 타원형으로 쌓인 모양 으로 보아서 주거시설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3)북쪽 방어시설
 이곳에는 제4 방어구역과 함께 7번 치가 있는 곳이다. 이 곳은 구릉을 쭉 따라서 동쪽분수령이 끝나는 부분까지 성벽이 이어져 있다. 성의 안쪽에서 높이는 1m가량으로 바깥쪽도 비슷하다. 북벽의 길이는 735m에 달한다.

(1)제4 방어구역
 북쪽 벽의 가장 동쪽부분에 위치하는데, 성벽이 경사면 상부의 돌출부 산마루를 따라서 축조되었다. 산마루 부분을 반원형으로 돌아가면서 설치되었다. 평면적 10~30×130m가 해당되고 , 이곳에는 7~8번 치와 두 개의 작은 보루가 확인된다.
 
●  7번 치. 가장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고, 분수령의 마지막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높이는 69m이고, 평면형태는 타원형으로 5×6m의 너비이다. 동향이다. 치의 높이는 대략 3m이고, 중앙에는 직경 3m 가량의 수혈이 있다.
●  8번 치. 평면형태 반원형으로 크기는 15×12m이고, 성벽과 평행하고 있다. 외면은 편평하나 서쪽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  1번 보루. 4번방어구역의 중간에 위치한다. 방형으로 평면크기는 7.5×7.5m, 4면이 동서남북과 일치하게 방향하고 있다. 벽의 내면 높이는 0.2~0.4m 가량 잔존하고, 외면의 높이는 0.7m이다. 벽의 북쪽은 돌출부의 경사와 맞닿아 있고, 해자가 돌아간다. 보루의 내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고 있다.
●  2번 보루. 1번 보루에서 북서쪽으로 8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방형으로 너비는 7×7m이고, 4면이 동서남북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벽의 외면 높이는 0.3m가량이고, 내면의 높이는 0.5m이다.

4) 남쪽 방어시설
 남쪽면은 거의 절벽이어서 지형적인 이유로 특별한 시설물 없이도 방어가 가능하였다. 구릉정상부를 따라서 성벽이 축조되어 있고, 2개의 치가 있는데, 1개는 성벽이 끝나는 곳에 위치한다. 성벽의 일부가 성의 남동쪽 외벽에 위치한다.
 성벽은 우스티노프카 강의 계곡부 정상에 위치하는데, 성의 높이는 0.5m를 넘지 않고, 산마루의 일부분을 성벽으로 이용하고 있다. 길이는 410m이다.   

● 9번 치. 서쪽과 남쪽 성벽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다. 평면형태 반원형으로 크기는 3×3m이고, 성벽의 방향과 평행하고 있다.

● 10번 치. 남벽의 가장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치는 반원형의 공간이 두 부분 상하로 있는데, 상면의 평면크기는 9×6.5m, 하면의 크기는 6×5m정도이고 3.5m가량 떨어져 있다. 하단의 중앙에는 직경 1.5m, 깊이 0.3m가량의 수혈이 있다. 이 공간 옆에는 바다자갈이 무작위로 쌓여진 곳이 0.15~0.2m가량 쌓여져 있고, 평균 무게는 1.5kg이다.

5) 떨어져 있는 성벽
 
동쪽 산마루 끝의 경사면에서 우스티노프카 강 쪽으로 성벽이 잔존한다. 성의 남쪽면을 방어하는 부분으로 보이는데, 성벽은 직선이고 길이 30m, 높이 0.8m로 쌓여져 있고, 돌과 흙으로 축조되었다. 돌은 강에서 옮겨온 것으로 보이는데, 둥근 자갈돌이 대부분이다.

6) 성의 내부
 성의 내부에는 전통에 따라서 여러 시설물이 확인되는데, 성의 내성, 보루, 생활공간 등이 내성벽으로 분리되어 있다.

(1) 보루
 보루는 북쪽벽에서부터 남쪽으로 29km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평면형태 정방형으로 크기는 25×25m이고, 높이는 1.5∼2m이고, 보루의 안쪽에서 높이는 5m에 달한다. 보루 남쪽벽의 정중앙에는 문지로 보이는 곳이 2m정도 절개되어 있다. 보루문을 통해서 도로가 설치되어 있다.

(2)생활공간
 북쪽과 남쪽의 인공적으로 구축된 테라스위에 위치한다. 토층상에서 보면 이 인공적인 테라스는은 아주 엄격하게 판축기법에 따라서 축조되었다. 맨 아래에 구릉의 경사면을 다듬어서 그 위에 소토로 가장 하단부를 만들고 그 위에 무거운 흙을 한겹 더 덮었다. 인공 단층의 어떤 부위에는 높이 10~12m에 달하는 곳도 있다. 이 곳의 북쪽에는 319개의 장방형 주거지 수혈이 확인되는데 큰 것은 3×5m이다. 테라스의 크기에 따라서 주거지가 1개부터 5개까지 잔존한다. 당연히 주거지 주변에는 생업과 관련된 구역이 있는데 농사짓던 곳도 있었다.

 (3)생활공간
 성 내에서 주거지 1동을 포함해서 한 곳 확인되었다.
 주거지. 지상식 주거지로, 평면형태 장방형으로 6×4m로 그 크기는 24㎡이고, ‘ㄱ’자형 온돌시설과 기둥구멍 등이 주거지의 시설물로 확인되었다. 주거지 장축방향은 북쪽이다. 주거지 중앙에는 지름과 깊이가 0.4m인 기둥구멍이 있는데, 그 안에 돌이 있었다. 다른 기둥구멍은 직경이 0.3~0.4m이고, 온돌의 맞은편에는 벽체가 일부 남아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남쪽벽에는 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의 왼쪽에는 길이 1.4m의 돌로 만들어진 부뚜막이 설치되어 있다. 부뚜막의 높이는 0.4m 정도이다. 구들장은 바닥에서 높이 0.2m정도로 너비 1.5×4m가량이다. 연도는 편평한 돌로 놓여 있는데, 주거지의 북동쪽 모서리 부분에 잔존한다. 온돌의 연기는 굴뚝을 통해서 외부로 빠져 나갔을 것이다. 연도의 단면은 직경 0.6m로 둥글고, 돌로 제작되어 있다.
 주거지의 바닥은 5cm정도 두께로 점토 다짐되어 있다. 주거지에서는 북송시대화폐인 崇寧重寶(1102~1106년에 사용)가 발견되었다.
 
 생업 시설물. 주거지의 동쪽에서 아주 심하게 교란된 채로 확인되는데, 테라스를 따라서 주거지 앞에 임시적인 노지가 몇 기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4) 내성

유적의 북서쪽에 남벽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이 내성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다. 전체적으로 ‘ㄱ’자 평면으로 크게 3부분으로 나눠지는데, ‘ㄱ’자의 모서리 부분의 평면형태 5각형의 공간과 그 각각의 가장자리에 장방형의 공간이다. 성벽의 가장자리는 모두 흙을 덮어 처리하였다. 내성벽의 높이는 0.5m이다. 성벽을 따라서 도로가 지나가는데, 이 도로는 북쪽 산마루의 경사면을 따라서 나 있다. 
 산마루 정상부에 시설물이 위치하는데, 평면형태 장방형으로 30×35m이다. 테라스 위에는 5개의 편평한 곳이 있다. 서쪽벽에는 너비 1.5m의 문이 있고, 성의 위쪽으로 향하고 있다. 성의 동쪽 모서리 부분에는 내성으로 들어가기 위한 문이 있다.
 경사면 아래에는 두 번째 시설물이 있는데, 그 내부에는 벽이 있고, 그 사이에 도로가 나 있다. 상기한 건축물은 장방형으로 크기가 95.7×40×35m이다. 내부는 7개로 나눠지는데 점차 지형에 따라서 낮아진다. 테라스의 높이는 17m에 달한다. 이 공간의 바로 아래쪽에는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공간의 모가 줄어지며 전체 내성 모양이 ‘ㄱ’자 모양이 되었다. 평면형태 삼각형모양의 벽의 길이는 각각 35, 30, 60m이다. 문은 남동쪽 방향으로 나 있는데 너비가 1.5m가량이다. 이 곳에 연접된 평면형태 5각형 모양의 공간에는 ‘ㄷ’자 모양으로 높이 30cm정도의 토벽이 있는데, 남서벽이 없다.
 이 내성은 행정관청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시바이고우 성은 산지성으로 그 평면형태는 자연적인 지형 탓에 부정형이다. 크기는 매우 대형이고, 성안에 내성과 보루 등이 존재한다. 성벽은 흙과 돌을 섞어서 축조하였다. 성에는 치와 투석기 등이 확인되는데, 전쟁 시에 사용 되었던 행정적인 용도였을 것으로 보인다. 유물은 화병형 토기, 철제품, 숭녕중보 등이 확인되었다. 시바이고우 성은 동하국이 존재했던 1217년부터 1234년 사이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