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서포항 유적의 청동기시대 층을 이해하기 전에 연해주 청동기시대에 대한 설명부터 하고자 한다. 앞서 시니가이문화에 대해서 몇 번에 걸쳐서 포스팅한 바 있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41?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2?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3?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4?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5?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6

http://eastsearoad.tistory.com/147?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8 

  



리도프카 문화는 연해주 동해안의 유적을 중심으로 설정되었고 시니가이 문화 이후 2500년 전부터 존재한 청동기시대 문화이다. 토기, 석기, 그 외의 유물이 많이 확인되었다.

그 중 토기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마연된 호형토기 및 옹형토기, 마제석검과 석도, 석촉과 인물형토우가 대표적인 리도프카 문화의 유물이다.

장경호는 마연된 것으로, 시니가이 문화 동부 2유형의 호형토기 보다 경부가 더 길어지고, 이중구연이었던 구연부는 홑구연화(그림 2-5) 된 것이 집중된다. 견부에 돌대(그림 2-7,9,12,15, 17) 혹은 침선(그림 2-2,4,5)이 여러 줄 돌아간다. 이 문화에서는 시니가이 문화의 동부 2유형에서 관찰되었던 구연단에 각목, 공열문, 등을 새기지 않지만, 전면이 마연된 특징은 유지된다(그림 2-4,5). 뿐만 아니라 경부가 긴 적색마연토기(그림 2-1,3,6)도 있다. 시니가이 문화에서 확인되는 동부 2유형의 이중구연과는 약간 달리 구연단 끝을 접어서 그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2줄 침선해서 홈을 판 것(그림 6-10,11)도 출토되는데 리도프카 문화의 이중구연토기이다. 또한 발형토기로 구연부를 이중으로 처리한 것도 확인된다(그림 2-18). 구연단에서 문양은 시문되지 않았다.



 사진. 리도프카문화의 호형토기




그림 2. 리도프카문화의 토기(1~2: 모나스티르카-2, 3~11: 리도프카-1 유적 상층, 12~21: 블라고다트노예-3, 22: 사이온-2(2,3,5 필자 )(축척부동)



<간략한용어설명>  

*구연: 토기의 입술부위

*이중구연: 토기의 입술부위를 점토로 덧붙인 것

*홑구연: 한겹 토기 구연

*돌대: 점토띠를 붙인 것.

*견부: 토기의 어깨부로 호형토기의 목과 동체부 사이를 일컬틈.

*적색마연토기: 붉은색으로 색칠한 후 도구로 토기를 문질러 광을 낸 것.

*발형토기: 구연부가 넓고 저부가 작은 토기의 종류

*침선: 시문구로 그어서 문양을 그리는 방법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북한의 서포항 유적

 

북한의 서포항 유적은 두만강 하구에 위치하고, 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까지 오랫동안 유적에서 사람이 산 흔적이 확인되어 두만강 유역 및 인접한 연해주의 선사시대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남한 연구자들이 북한 유적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200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남한의 유적들이 대거 발굴되었는데,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자료가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 필자가 석사과정에 들어가면서 북한 및 인접한 지역에 대한 자료의 호기심으로 인해서 러시아로 유학을 결심하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북한의 자료가 60년대 이후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았고, 절대연대가 측정(탄소연대측정법은 미국에서 1960년대 이후 개발되어 그 이후 자료에만 적용됨)되지 못했기 때문에 북한 자료의 연대문제에 대해서는 반드시 인접한 지역과의 비교가 필수이다.

 

필자는 이미 서포항 유적의 신석기시대 연대를 인접한 연해주 신석기문화와 비교해서 두만강 유역의 문화영역 및 연대를 밝힌바 있다. 이 논문은 그래도 한국에서 최고권위에 잡지인 한국고고학보에 실렸다(아래에 첨부함,,정말뿌듯했음. 유학당시에). 그리고 연해주고고학의 신석기시대 부분에서 설명한 바 있다.

01김재윤OK.PDF

 

 

올해 새롭게 쓴 논문은 이 유적의 청동기시대층과 관련된 것이다...이에 대해서 설명할 것인데,,어떻게 쉽게 설명할 것인지가 또 어렵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지난 봄에, 경남 진주시 대평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을 소개한 바 있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29


이 유물은 출토될 당시에 발굴정황상 많은 사람들이 청동기시대의 것을 의심스러워 했으나, 최근에 여러 정황상 이 유물은 청동기시대의 것이 맞으며, 한국에서 비파형동검 보다 빠른 시기에도 청동기유물이 있음을 입증하는 유물임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연해주의 청동기 문화인 시니가이 문화와 관련이 있고, 시니가이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은 시베리아의 카라숙문화에서 부터 전해진 것으로 보았다.


이와 관련된 링크는 참고하시면 좋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30?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1

http://eastsearoad.tistory.com/142?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3?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4?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5?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6?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7?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8?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9?category=744369

http://eastsearoad.tistory.com/150?category=744369

http://eastsearoad.tistory.com/151?category=744369

http://eastsearoad.tistory.com/152?category=744369

http://eastsearoad.tistory.com/153?category=744369


논문은 올해 5월에 영남고고학보에 실렸다.




혹시 필요하신 분이나 의심스러워 하시는 분을 위해서 첨부해 두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티스토리는 10메가 밖에 안올라가서 두 덩어리로 잘라서 첨부합니다. )


2.김재윤-1-0.pdf

2.김재윤-1-1.pdf

2.김재윤-1-2.pdf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평거동 유적에서 확인된 연해주 청동기시대 문화는 어떤 경로로 내려왔을까?
 전고(김재윤 2004)에서는 남부지역(대평, 본촌리유적)을 제외하고는 중부지역에서는 미사리 유적 이외에는 확인된 바가 없었다. 하지만 최근 이 보다 북쪽인 강원도 유적에서는 연해주 청동기시대 문화의 요소가 확인되고 있다.


그림1. 유적분포도(19: 미사리, 20: 가평 연하리, 21: 철정리, 22: 평창종부리, 천동리, 23: 아우라지, 24: 평거동)

 정선 아우라지에서는 평거동과는 달리 동체부가 긴 외반구연 발형토기가 출토되었는데, 이를 흥성유적과 비교된 바 있다. 지적된 아우라지 출토품은 구연부에 돌대를 부착한 토기로 분명히 구연부를 접은 평거동 출토품과는 차이가 있어 흥성 유적의 토기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아우라지에서는 석기 중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의 것과 유사한 것이 확인되는데, 뒤에서 설명하겠다.
 철정리 C지구 1호에서는 돌대문토기는 출토되지 않았지만 외반구연된 옹형토기와 구연단을 접은 이중구연토기, 돌류상 돌대 등은 평거동 7호 주거지의 토기 조합이 유사하다(그림2).  

그림2. 철정리 C지구 1호 유물


 이 토기 조합은 시니가이 문화 서부 2유형의 특징에 해당된다. 노보셀리쉐-4 유적의 청동기시대 층에서는 발형토기에 부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원형 돌대()가 확인되었다.  하린 유적에서는 호형토기의 동최대경 높이에 돌류상 돌대()가 부착되어 있다(평거동 돌류상 돌대가 발형토기에 두 개만 붙지 않았을 가능성은 12호 출토품(그림)가운데서 확인가능하다).
 평거동 3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구연단을 접지 않고 점토띠를 부착한 토기는 평창 천동리 유적 2호 주거지에서도 돌대문토기, 부리형석기 등과 함께 출토된 바 있다. 


 토기 뿐 만 아니라 경로를 추측할 수 있는 석기가 한강, 북한강과 남한강 유적에서 출토되는데, 석촉형 석기와 곡옥형 석기이다. 이 석기가 석촉이 아닌 점은 함께 출토되는 단면이 육각형이며, 슴베가 들어간 것과는 확연 한 차가 있다 청동기시대 조기의 석기양상을 분석하면서 시니가이식 석총형 석기와 무경식만입석촉이 같이 분류(김민지 2012), 되었지만 두 석기는 단면과 평면형태, 인부 등에서 차이가 크다.


 석촉형석기는 미사리 A-1호, 아우라지, 철정리, 외삼포리, 연하리 유적 에서 출토된다. 모두 슴베가 편평하거나 약간 둥글게 처리된 것으로 단면도 편평하며, 인면을 제작한 흔적이 없다. 미사리 A-1호, 철정리 등지에서는 무경식 석촉으로 단면이 육각형인 것이 함께 출토되는데, 두 유물은 확연한 차이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아우라지(그림 3-22)와 미사리 A-1호에서 출토되는 곡옥형 석기(그림3-21)도 시니가이 문화의 곡옥형 청동기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시니가이 문화에서 모방 토제품은 곡옥형 청동기 뿐 만 아니라 청동단추(그림 3-25)도 있다. 아우라지와 미사리 유물은 연해주의 곡옥형 청동기를 모방했을 개연성도 있고, 연해주에 청동기를 모방한 토제품 뿐만 아니라 곡옥형 석제품(그림 3-43,43)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앞서 설명한 연해주 부리형 토제품과 석기는 평거동 유적 뿐 만 아니라 아우라지(그림 3-27~29), 천동리(그림 3-30) 등에서 석제품으로 출토된다. 한반도에서는 주로 석제품이 북한강과 남한강, 남강 등 광주산맥 이남에 존재한다. 평거동 유적에서 출토된 무공석도도 외삼포리(20), 아우라지(15~17,19), 종부리 등에서 확인된다.


 평거동에서 출토된 장타원형 갈돌도 아우라지(그림 3-26,31) 유적에서 출토된다. 장방형 갈돌은 긴 단면이 안쪽으로 휘어지며, 짧은 단면도 장방형이다. 이는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인 하린 유적에서 출토된 바 있는데, 평면형태, 장축과 단축의 단면 등은 모두 유사하다.
 따라서 강원도 철정리, 아우라지, 천동리,종부리, 연하리 등지에서 확인된 연해주의 토기와 석기는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이 모두 확인된다. 본격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아우라지 유적에서는 흥성식 토기도 출토된 바 있다. 


 강원도에서 확인된 철정리 C지구 11호 토기는 시니가이 문화 서부 2유형과 유사 한 점을 미루어 판단하면, 평거동에서 확인된 시니가이 문화 동부 1유형의 토기 뿐 만 아니라 서부 2유형의 토기도 남강 유역에서도 확인될 수도 있다.
 연해주 내 혹은 북한동북부 지역에서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유형과 동부유형이 결합된 유적이 확인될 가능성도 있다. 혹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1유형과 2유형 사이에 돌대가 구연단에 연접한 옹형토기가 주를 이루며 서부 2유형의 석기상을 포함한 유적군이 앞으로 확인되기를 기대해 본다.
 평거동 유적에서 출토되는 연해주 및 두만강 유역의 물질문화는 강원도를 통해서 인간이 이동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주는 단발적이지 않고 연해주의 동부 1유형부터 청동 유물이 동반된 시니가이 문화의 2유형까지 지속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한국에서 청동기시대는 비파형동검 등장 이후에 청동유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불과 1~2년까지 전만해도 일반적인 학계의 견해이다. 기원전 15세기가 한국청동기시대의 시작으로 보는데, 기원전 8세기가 되어야 청동유물이 나온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식이 바뀔 계가 있었는데, 1996~1999년에 남강의 대규모 댐공사로 인해서 대대적인 발굴이 있었다. 그 때 대평리 옥방 5지구에서 곡옥형 청동기가 출토된 적이 있다http://eastsearoad.tistory.com/129?category=737917. 이것은 한국 비파형동검 이전의 청동유물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유물의 반출관계나 출토맥락이 분명치 않아 학계에서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2016년 한반도 청동기시대 가장 이른 유적 중에 하나인 강원도 아우라지 유적의 주거지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이 출토됨으로 인해서 비파형동검 이전에 이미 한국에 청동유물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학계는 이 자료는 신뢰하는 분위기이다. 이는 시베리아 카라숙문화로부터 전해졌을 가능성이 논의 되고 있다. 

 그렇다면 남강 대평의 청동유물 또한 비파형동검 이전의 유물일 가능성은 충분하다. 옥방 5지구에서는 청동기시대에서도 두 시기의 주거지가 발굴되었는데, 비파형동검 시기와 청동기시대 시작 단계이다. 그간 연구된 바로는 비파형동검 시기에 곡옥형청동유물이 확인된 예는 없다. 그렇다면 남강 대평 유물은 청동기시대 시작 단계의 유물로 볼 수 있다.

대평 유적에서 출토된 곡옥형 청동기가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에서 전해졌을 것이라고 이미 간략하게 언급된 바 있다. 하지만 대평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와의 반출관계가 명확하지 못해서 어떤 맥락에서 시니가이 문화의 청동기가 나타나게 되었는지 구체화되지는 못했다. 


 평거동 유적에서 직접 청동유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의 토기와 석기가 남강 평거동에서 확인되며, 특히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면 그 영향력은 대평 유적까지도 가능성이 있다.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 유적인 시니가이 A유적 중층, 아누치노-14 유적과 동부2유형 수보로보 6 유적은 청동유물이 반출된다. 그 종류는 곡옥형 청동기, 청동단추, 연주형 청동유물 등 주로 소형이다. 뿐만 아니라 곡옥형 청동기와 청동단추는 토제모방품도 유적에서 출토된다.http://eastsearoad.tistory.com/144?category=737917 청동유물의 성분분석을 바탕으로 이 지역 출토의 청동유물은 바이칼 지역의 서쪽에 있는 카라숙 계통과 같다는 의견이 있다(콘코바)으며, 이는 카라숙 문화가 동진하면서 생긴 결과로 보고 있고, 기원전 13~9세기 가량의 사건이다.

 시니가이 문화에서 출토되는 청동 유물은 단추, 연주장식품, 곡옥형이다. 단추와 연주장식품은 기타 지역에서도 출토되는 유물이지만 곡옥형은 연해주와 대평에서만 출토되고 있으며 가장 유사한 형태는 시니가이 A유적 중층 출토품이다.

 그렇다면 대평 유적에서 출토된 곡옥형 청동기는 시니가이 문화 서부 2유형과 관련성이 깊으며, 평거동 뿐만 아니라 남강 대평 유적으로도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가 들어왔을 가능성이 크며 그 시기는 3300년 전 부터다.

 (노파심에서 덧붙이는 말은 그렇다고 한반도 청동기시대 문화의 주류가 연해주로 부터 온 문화에 의한 것이라는 말은 아니다. 비파형동검은 압록강 유역과 인접한 그 지역으로 부터 들어왔으며 이로 인해서 한국은 비파형동검을 특징으로 한 청동문화를 꽃피우게 된다)


그렇다면 연해주에서 남강 유역까지 어떤 경로로 오게 되었을까?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6 ··· 9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