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날씨도 더운데, 시원한 곳으로...

 

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가장 높은 곳인 알타이에는 파지리크 문화가 있고 루덴코가 발굴한 바샤다르, 투엑타, 파지리크 등 유명한 유적 외에도 수 많은 유적이 존재한다. 이미 앞서서 설명한 바 있는데, 비슷한 양상이지만 아직 설명드리지 않은 유물도 있기 때문에 좀 더 소개하고자 한다. 울란드리크, 타샨타, 바루부르가지 유적 및 수 많은 암각화를 조사한 쿠바레프 박사가 조사한 유적이다.

 

발르익-소오크 유적은 우르슬 강의 좌측 지류인 쿠로타 강의 하류에 위치한다. 유적의 북동쪽은 산으로 둘러쌓인 형상이고 반대편은 강이 흐르고, 추야 국도가 지나간다.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이곳에는 무덤군이 3열이 있는데 각각 발르익-소오크 1(2열). 발르익-소오크 2유적(1열)으로 명명되었다. 발르익-소오크 1유적과 발르익-소오크 2유적은 모두 2시대에 걸쳐서 사용되었는데 스키타이 시대와 후대의 고대투르크 시대이다. 이러한 현상은 해발 2000M에 위치한 유스티드, 울란드리크, 타샨타, 바르부르가지 유적 등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발르익-소오크 1유적, 발르익-소오크 2유적 등 해발 1000M가량의 유적에서는 스키타이 시대의 무덤 보다는 고대 투르크 시대의 무덤 위주이다.

예를 들면 발르익-소오크 1유적에서 스키타이시대의 무덤은 4기이고, 나머지는 초기투르크시대의 무덤이기 때문에, 이 유적에서 무덤이 열을 짓는 현상은 투르크 시대에 와서 나타난 것이다. 발르익-소오크 2유적에서 스키타이 시대의 무덤은 1기이다. 당시의 상황을 생각해 보면 이 계곡에는 무덤이 산발적으로 떨어져서 존재했고, 열을 만든 것은 초기 투르크 시대에 들어와서이다.

 

그림 1. 발르익-소오크 1, 발르익-소오크 2 유적, 검은 점이 스키타이 시대의 무덤. 그 외의 동그라미는 초기 투르크 시대(5세기 중반~7세기)의 무덤이다. 무덤이 열을 지어서 드러서는 현상은 알타이에서 스키타이 시대부터 확인된다. 하지만 계곡은 초기 투르크 시대에 주로 이용되면서 무덤이 열을 이루면서 확인된다.

 

더보기

그러나 울란드리크 등 유적에서는 그 반대로 스키타이 시대의 무덤이 열을 이루고 난 뒤에 초기 투르크 시대(5세기 중반~7세기)의 무덤은 나중에 들어온 것이다. 알타이에서 열을 이루어 무덤을 만드는 현상을 스키타이시대에 시작된 것이고 초기 투르크 시대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 스키타이 사람과 투르크 시대 사람들이 무덤으로 점유한 지점은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알타이 지역에서도 시대에 따라서 무덤의 지점을 다르게 사용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더 높은 곳에 스키타이 시대 무덤이 밀집되는 현상이 확인된다.

 

 

울란드리크, 유스티드, 바르부르가지 유적의 사람들과 무덤구조는 같을까? 유물은 다른 게 있을까? 머리에 모자는 썼을까? 반짝이는 금박으로 장식을 했을까?등등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Шульга П.И. 2007 : Пазырыкская культура (курганы Чуи и Урсула). Барнаул: 2007. 282 с.(쿠바레프, 슐가, 2007, 추야 강과 우르술 강의 파지리크 문화)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오늘은 5월에 출판된 필자의 책을 잠깐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의 내용은 서문(프롤로그)에 적은 글이고, 책을 시작하게 된 동기와 필자의 관심사 등을 간단하게 적어 두었다. 웬지는 모르겠는데 매우 어색하다.

머리를 떠나지 않는 문구가 있는데 '모든 책은 운명이 있다'.

 

1. ‘교과서 밖의 역사’의 시작은

 

어느 날 필자를 찾아온 검색어 덕분에 시작하게 되었다. 블로그를 2년 넘게 운영하고 있었고, 코로나가 창궐하기 전이었다. 스키타이 문화에 대한 강의는 몇 년 째 했지만 둘을 연결할 생각은 못했는데, 검색어 때문에 시작하게 되었다.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 복원’이라는 검색어가 어느 날 집중되었고, 유라시아의 고대문화를 알릴 수 있는 좋은 매개체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 날 이후로 몇 년 째 모아오고 있는 대학교 강의 자료를 블로그에 풀기 시작했다.

유라시아 초원의 역사는 우리가 배웠던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내용이고, 독자들에게도 거대한 공백과 같다고 여겨질 것이다. 특히 분단된 한국에서는 더욱이 그렇다. 연구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과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붙여진 제목이다. 이미 유라시아 초원의 역사와 문화는 다양한 시대와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고 있는데, 아직도 기초자료에 대한 정보는 역부족이다. 필자는 ‘인간형상물’과 그 출토지에 대한 정보를 공개해서 미약하지만 앞으로 여러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블로그에 글을 적으면서 전달을 쉽게 하기 위해서 풀어적으니 내용이 자세해 져서 독자에 따라서는 따분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유물에 대한 설명을 보시면 또 다른 재미를 느끼실 것이라고 믿는다. 연구자와 일반인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필자는 선사시대 유적에 부장되는 인간형상물에 대해서 매우 관심이 커서 유학 당시부터 그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고 있다. 시작은 아무르강 하류의 극동전신상토우(김재윤 2008) 였지만 중국동북지방(김재윤 2019b)부터 최근에는 시베리아(김재윤 2019 a, 김재윤2021)와 흑해(김재윤 2019a)까지 넓히고 있다.

인류사 전체에 있어서 인간형상물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곳은 후기구석기시대 흑해와 시베리아 지역이다. 시베리아에서는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오쿠네보 문화까지 인간형상물이 이어지다가 초기 철기시대 스키타이 문화의 동부지역에서는 인간 스스로 형상물이 된 미라가 이를 대체했다고 생각한다. 5장에서 설명하겠지만 미라를 연구한 학자들은 시신을 미라 처리하는 이유를 ‘부활’에 대한 염원을 담은 것으로 해석한다. 때문에 그 이전 시대 무덤에 부장된 인간형상물도 부활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고, 오랫동안 전통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유라시아 초원 문화의 상징물로 볼 수 있다.

스키타이 서부 지역인 흑해에서는 미라를 대신해서 여신상이 유물에 표현된다. 기원전 7세기부터 켈레르메스 유적의 거울부터 기원전 5~4세기 귀걸이, 장신구, 등에서 여신상이 발견된다. 스키타이 동부 지역에서 미라가 발견되는 모습과는 대비된다.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이어져 온 비너스상 전통이 연속된다고도 볼 수 있다.

 

3. 글의 전개과정

이 책에서는 ‘스키타이’ 문화라고 명명했지만 좀 더 정확하게는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는 문화권을 잇는 스키타이 3요소 가운데서 가장 특징적인 동물양식을 ‘스키타이 동물양식’이라고 부른다. 가뜩이나 어려운 러시아 지역명이 많아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점을 감안해서 간략하게 스키타이 문화권으로 이 책에서는 설명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 책에 다루고 있는 아르잔-1호(그랴즈노프 1980, 스미르노프 2012)나 아르잔-2호(추구노프 외 2017)를 다룬 책이나 논문에서도 ‘스키타이’라고 간략하게 부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참고로 했다.

미라는 스키타이 문화권 내에서 알타이에 위치한 파지리크 문화의 유적에서만 출토된다. 지리크 문화의 유적 가운데 아크 알라하-3 유적은 이미 국내에 번역서(N.A.폴로스막(강인욱 역) 2016)가 있다. 그러나 파지리크 유적에 대한 소개는 자세하게 없어서 필요한 부분이다. 알타이와 인접한 중국 신강성에서도 미라는 발견되지만 중국 자료는 러시아 자료에 비해서 이미 잘 알려져 있기에 이에 대해서는 제외했다.

이와 함께 스키타이 문화권의 기원지로 일컬어지는 아르잔-1호와 인접한 아르잔-2호 유적도 포함된다. 최근에 발굴되어서 도굴되지 않은 유적으로써 아르잔-1호와 다른 아르잔-2호의 무덤 구조는 파지리크 문화와도 일정정도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아르잔-1호는 그랴즈노프(1980)의 책과 아르잔-2호는 종합보고서 성격의 『Царский курган 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Аржан-2 в Туве』(Чугунов К.В., Парцингер Г., Наглер А.2017)를 참고로 했다. 파지리크 문화의 유적인 바샤다르 유적과 투엑타 및 파지리크 유적은 루덴코(1953, 1960)과 그랴즈노프(1950)의 책이 주요 원천이다.

 

아크 알라하-3유적은 가장 높은 지역에 위치하면서 가장 완성도 높은 미라가 출토된 유적이다. 필자가 촬영한 사진을 위주로 정리하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 강인욱 교수님께서 번역하신 폴로스막(2016)의 저서를 참고로 할 수 있다.

그래서 스키타이 문화권의 동부라고 명명된 III절에서 알 수 있는 정보는 그랴즈노프(1980), 추구노프 외(2017), 루덴코(1953, 1960), 폴로스막(2001, 2016)의 책을 정리하고 필자의 의견을 붙인 것이다. 각 소절의 마지막에 참고문헌을 표기해 두었다.

아시다시피 스키타이 문화권은 매우 넓은 지역에 다양한 문화가 알려져 있지만 스키타이 문화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곳은 흑해이다. 1859년 제국고고학위원회가 설치 되기 전부터 발굴되기 시작했으며, 원래 스키타이 문화를 협의의 개념으로 이해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필자가 이 지역에 관심을 두었던 이유는 미라가 출토되지 않지만,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어떤 지역보다 인간형상물이 많이 출토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시베리아와 함께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비너스상’이 출토되기 시작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그런 지역에서 스키타이 문화에서도 인간형상물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스키타이 문화의 기원지인 시베리아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지역의 문화적 공통성이 나타나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적과 유물을 살펴볼 수 밖에 없었고, 학교 강의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어서 그 자료를 공유하고자 한다.

하지만 흑해지역의 무덤은 평지에 높은 봉분이 있는 외형으로 인해서 쉽게 눈에 띄어서, 고고학이란 학문이 자리를 잡기 전부터 도굴이 성행했다. 그래서 아르잔-2호 유적과 같은 수많은 정보를 알기가 힘들어서 가장 이른 유적으로 일컬어지는 켈레르메스 유적, 멜구노프 유적, 코스트롬스카야 유적 위주로 설명했다. 기원전 5세기 이후는 인간형상물이 발견된 유적을 중심으로 마무리 하고자 한다.

시베리아 유적은 20세기에 발굴되어서 단행본으로 출판되었지만, 이 지역의 자료19세기 이전부터 연구되기 시작해서 여러 사람에 의해서 출판되는 경우가 많았고, 정보의 내용도 흡족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아쉬운 점이 많다.

심리적으로 섬나라인 한국에서 생각해보면 너무나 먼 곳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독립운동을 했던 만주지역의 가장 끝인 대흥안령만 넘어 가면 바로 유라시아 초원이다.

 

끝으로 파랑새처럼 검색어로 나의 블로그에 찾아온 네티즌과 자신이 아는 바를 블로그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라고 권유해주신 분께 감사드린다. 2017년 이후는 필자가 매우힘들었는데, 바빠지고 정신없이 살면서 삶의 원동력을 찾았다. 책으로 감사를 표시하고 싶다. 또 이 책을 엮는데 고생을 한 부산대학교 박사과정의 강나리 학생에게도 감사를 표시한다. 러시아로 가는 길을 열어 주신 경희대학교 강인욱 선생님께도 감사를 표시한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1,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진인진

 

김재윤

posted by 김재윤23

 

표트르 1세의 수집품 가운데 목걸이와 비슷한 스타일로 만들어진 팔찌는 대부분 흑해지역에선 기원전4~3세기 유물로 알려졌으며 있다. 넓은 판이나, 여러 번 감고 끝에 동물장식을 하는 스타일은 모두 스키타이 시대의 가장 마지막 시기(기원전 3세기) 혹은 그 보다 늦은 시기(늦은 사르마트 시기)에 발견되는 것이다.

 

시르다니야 강과 아무다리야 강 유역의 고분은 대부분 20세기 초에 파헤쳐져서 정확하게 연대를 파악하기 힘들지만 뒤에 발굴된 유적과 비교해 볼 때 기원전 5세기 대의 유물 중에서 팔찌들이 발견된다(러시아과학아카데미 1992). 이곳에서 동쪽으로 더 이동하면 현재 카자흐스탄 중부 평원지역에서 발견되는 ‘타스몰린 문화’(기원전 7세기~기원전 3?2?세기의 스키타이 문화권내의 지역문화)에서도 팔찌는 발견된 바 없다.

 

타스몰린 문화에서 발견되는 유물은 알타이와 투바지역에서 발굴된 유적의 유물과 유사한 점이 많아서 여러 나라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특히 아르잔-2호에서 발굴된 유물가운데 유사한 유물이 많다(추구노프 2011). 하지만 타스몰린 문화의 유적에서도 팔찌는 발견되지 않았다(러시아과학아카데미 1992).

<중앙아시아지역에서 발견되는 유적 군은 주로 시르다니야강과 아무다리야 강 사이 지역, 카자흐스탄 중부의 평원, 카자흐스탄 동부 산악지대(산악지대의 북쪽은 알타이와 가까운 쪽, 남쪽은 천산산맥의 일부지역)에 산포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동부 산악지대라고 하지만 비교적 낮은 지역에 무덤이 들어섰다. 모두 평지(혹은 비교적 낮은 구릉)에 높은 봉분이 있어서 눈에 쉽게 뛰었고, 이들의 운명은 흑해지역과 같이 거의 도굴 당했거나, 도굴과 같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

 

그러나 투바의 아르잔-2호에서는 주인공 5호묘 여성, 13호묘 여성이 팔찌를 차고 매장된 것이 확인되었다. 5호묘 여성은 현대의 체인처럼 금을 꼬아서 만든 팔찌이고 13호묘 여성은 여러 종류의 돌을 구슬로 만들어 만든(그림 2-12~16, 17, 그림 3-8~24) 팔찌이다. 아르잔-2 유적은 기원전 7세기 중반 유적이기 때문에 가장 이른 팔찌라고 볼 수 있다.

 

그림1. 아르잔-2호 5호묘 여성의 팔찌(2)

 

그림 2. 아르잔-2호 13A호묘 여성의 팔찌(12~16), 17 복원품

 

 

그림 2. 아르잔-2호 13B호묘 여성의 팔찌(8~23), 24 복원품

 

표트르 1세의 수집품 가운데 황금 여성상은 나신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팔찌를 착용하고 있었으며, 흑해 북안의 남성 석인상은 목걸이와 벨트는 착용했으나 팔찌는 없었다(올호프스키 외 1994). 흑해 지역의 무덤속 주인공이 여성인 경우에만 팔찌가 나왔다.

 

그래서 스키타이 시대에는 여성만이 팔찌를 착용했을 수 있다. 하지만 유라시아 초원의 유목민 남성에게 팔찌 착용 전통이 없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 청동기시대 문화에서는 청동제 장신구가 대단히 많이 발견되고, 남성도 장신구 착용이 일상적이었기 때문이다. 단지 스키타이 시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Петренко В.Г. Украшения Скифии VII-III вв. до н.э. М., 1978 // САИ. Вып. Д.4-5. С. 41.(페트렌코 1978, 기원전 7-3세기 스키타이의 장신구

Ольховский В.С., Евдокимов Г.Л. Скифские изваяния VII-III вв. до н.э. М., 1994(올호프스키, 에브도키모프 1994, 기원전 7~3세기 스키타이 석인상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 Серия: Археология СССР. [т. 10] М.: 1992. 494 с (러시아과학아카데미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내의 아시아 초원지역)

Чугунов, К. В. “Аржан-2: реконструкция этапов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погребально поминального комплекса и некоторые вопросы его хронологии.” Российский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 СПб: Издательство СПб ГУ, 2011, С. 262-335(추구노프 2011, 아르잔-2호: 무덤의 축조과정 복원과 절대연대에 대한 질문)

추구노프, 파르친게르, 나게르 2017, Чугунов К.В., Парцингер Г., Наглер А. 2017 : Царский курган 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Аржан-2 в Туве. Новосибирск: ИАЭТ СО РАН. 2017. 500 с. (추구노프, 파르친게르, 나게르 2017, 투바의 아르잔-2, 스키타이 차르 무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표트르 1세의 수집품 중 황금으로 된 여성상은 나신임에도 불구하고 팔찌를 착용한 것이 눈에 띄는 특징 중에 하나이다. 팔찌는 유라시아 초원 유목민의 특징적인 유물 중에 하나이다(사르아디니 1983).

표트르 1세의 켈렉션 중에는 목걸이 뿐만 아니라 팔찌도 여러 점 포함되어 있다. 장소가 비교적 정확하게 알려진 유물 2점은 1909년에 시르다니아 강 유역의 ‘두즈락’이라고 하는 지역에서 발견된 것이다.

 

그림 1. 1-시르다니야 강 유역의 두즈락에서 발견된 팔찌, 2-1716년 가가린 수집품(루덴코 1962)

 

그림 2. 시르다니야 강 유역의 두즈락에서 발견된 팔찌 2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이는 러시아 최초의 고고학연구기관인 ‘제국고고학위원회’의 활동으로 모은 유물도 있다. 이 기관은 1859년에 공식적으로 창립되었고 1909년에 당시 러시아 제국의 영토였던 시르다니야 강 유역의 ‘두즈락’이라고 하는 지역에서 얻은 금제 팔찌 2점을 에르미타주 박물관으로 보냈다. 표트르 1세의 수집품으로 일컬어지는 유물 가운데1716년이 가가린이 모은 수집품, 1734~1735년 밀러가 발굴한 유물 보다 가장 늦게 입수된 유물 중에 하나이다.

 

이 유물에 대한 정보는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물질문화연구소의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다. 당시 시르다리아 지역을 관할하던 주지사가 보낸 편지(1907년 7월 31일)에 금팔찌와 금으로 된 뱀을 보냈다고 기록되었다. 당시에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제국고고학위원회에서는 이 두 유물을 금의 양을 기준으로 150루블을 책정했다. 표트르 1세가 죽은 지 200년이 지났으나 당시에 표트르 1세의 수집품을 연구하던 제국고고학 위원회장(스트로가노프 С.Г. Строганов)의 주도로 유물은 표트르 1세의 수집품과 함께 등록되어서 전시되었다.

 

 

두즈락에서 발견된 팔찌 2점은 전혀 다른 스타일이다. 그림 1-1의 ‘팔찌’는 늑대의 머리와 그리핀의 머리가 표현된 것이다. 하지만 이 유물은 팔찌로 보기에는 너무 작지만 팔찌라고 추정하는 이유를 그림 1-2의 유물에서 찾는다. 그림 1-2의 팔찌는 16번 감긴 코일 모양의 팔찌의 가장 끝장식이다(그림 3). 그림 3은 1716년 가가린이 수집한 유물로, 16번 감긴 코일에 연결되어 발견되었지만, 보관중에 분리되어 루덴코(1962)(그림 1-2)가 보고한 것이다.

 

그림 3. 1716년 가가린이 수집한 표트르 1세의 수집품(그림 1-2와 동일 유물, 동물장식 끝에 땜질한 흔적이 있다)

 

두즈락에서 발견된 또 다른 팔찌는 양쪽으로 개페가 가능한 것인데, 경첩으로 연결된 것이다. 기본적으로 호랑이가 장식된 개폐가 가능한 목걸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것인데, 연구자에 따라서 기원전 4세기, 기원전 2세기 등 연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미냐예프는 자바이칼 지역(바이칼의 우측)에서 출토되는 흉노 유물(기원전 3세기 이후)과 비교했고, 아르타모노프는 기원전 4세기의 팔찌라고 생각했다. 뿐만 아니라 시르다니야 강과 아무다리야 강 유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물과 비교하는 것은 빼 놓을 수 없는 논쟁 중에 하나이다.

늑대와 그리핀의 조합은 표트르 1세의 수집품 가운데서 벨트 장식(그림 4)에서 발견되는 주제이지만, 그 표현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벨트장식과의 관련성은 약한 것으로 이 유물의 연대를 기원전 일천년기 후반으로 밖에 표현할 수 없다는 연구(자비투히나 2001)도 있다. 중앙아시아에는 여러 곳에서 비철금속이 채굴되었으며 제작장소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4. 1716년 가가린이 수집한 표트르 1세의 수집품(호랑이와 싸우는 늑대+그리핀)

 

참고문헌

 

М.П. Завитухина Золотые браслеты из местности Дуздак (Туздак) в Средней Азии и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 Евразия сквозь века. СПб: 2001. С. 200-203.(자비투히나 2001,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켈렉션과 중앙아시아 두즈락에서 발견된 황금팔찌)

Руденко С.И. 1962 :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 САИ Д3-9. М.-Л.: 1962.(루덴코 1962, 표트르 1세 시베리아 콜렉션)

М.И. Артамонов Сокровища саков. 1973 // М.: «Искусство». 1973. 280 с (아르타모노프 1973, 사카족의 부)

М.П. Завитухина Собрание М.П. Гагарина 1716 г. в Сибирской коллекции Петра I. // АСГЭ. Вып. 18. Л.: 1977. С. 41-51 (자비투히나 1977, 1716년 가가린이 수집한 표트르1세의 시베리아 수집품)

Сарианиди В.И. : Афганистан: сокровища безымянных царей. М.: ГРВЛ. 1983. (사리아디니 1983, 아프카니스탄 이름없는 차르의 유물)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된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컬렉션은 여러 경로로 입수된 유물을 한 번에 부른 명칭이다. 표트르 1세가 사실상 시베리아를 러시아제국의 영토로 만들었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시베리아 총독 가가린이 모은 황금 유물도 있지만, 좀 더 학문적인 경로?로 모은 유물도 있는데 1734~1744년 동안 제2의 캄챠트카 대탐험 프로젝트 중에 밀러가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의 유물(그림 3~5)을 모은 것도 포함된다.

 

그림 1.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콜렉션, 밀러의 발굴품

 

그림 2.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콜렉션, 밀러의 발굴품 2

 

제2의 캄챠트카 대탐험은 표트르 1세 이후 예카테리나 1세와 엘리자베타 여왕 기에 있었던 짧게 이야기 하면 시베리아의 모든 것을 알기 위해서 상트페테르부르그에서 보낸 대 탐험대이다. 총 책임자는 베링이었고, 우랄에서 태평양 연안, 추코트카 반도까지 북극해안을 포함한 모든 시베리아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시기에는 현재 러시아의 극동도 시베리아 지역에 포함되었다.

주축은 러시아과학아카데미였고 밀러는 역사 전문가로 참가하게 된다. 이 탐험대에는 500명이 넘는 과학자, 측량사, 노동자, 군인, 선원 등이 포함되었다. 주로 천연자원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원래 사는 주민의 경제와 역사, 지리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 관련된 연구자 들이 대거 파견된 것이다. 북극해를 연구하기 위해서 쇄빙선 함대가 투입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밀러는 1735년 겨울에 크라스노야르스크를 방문해서 고대 무덤에서 구리로 된 유물을 대량으로 발견했다는 보고서를 남겼고, 그 지역에 구리광석이 산포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그 지역은 사얀(미누신스크 분지 부근)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이 유물들은 주로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분포하던 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타가르 문화의 산염소와 사슴모양 입상이며(그림 3,4), 타가르 문화의 이른 시기인 기원전 7세기 경의 유물이다. 이 뿐만 아니라 철제품도 있었는데, 등자와 재갈멈치(그림 5)이다. 출토된 곳은 미누신스크 분지인데, 등자를 사용하던 시기는 예니세이 키르키스 문화라고 불리는 기원후 9세기 경(자비투히나 1977)으로 보았다.

그러나 최근 연구된 유적에서는 알타이에서 등자가 발견되는 시점은 기원후 5세기 중반이다(세레긴). 자비투히나는 1940년대 연구를 근거(에프투호바 1948)로 예니세이 강(미누신스크 분지) 유역에서 발견된 밀러 의 등자를 기원후 9세기로 보았다.

 

그림 3. 밀러의 발굴품

 

그림 4. 밀러의 발굴품

 

그림 5. 밀러의 발굴품

 

그런데 밀러가 조사한 시베리아의 역사는 1937년에 간행되어 그의 시베리아 탐험에 관한 내용이 모두 망라되어 있다. 조사한 유물로 소개된 책(밀러 1937)에는 말탄 궁수와 목을 돌리고 있는 사슴 및 귀걸 등이 소개되어 있는데, 오비강과 이르티시 강 사이의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로 기록되었다(그림 5). 밀러는 크라스노야스크 지역 외에 오비강과 이르티시 강 주변의 무덤에서도 조사한 것이다.

아마도 표트르 1세에게 유물을 보낸 시베리아 총독 가가린과 거의 비슷한 지점에서 유적을 조사 했다.

흥미로운 것은 밀러, 가가린 등은 자신이 발견 혹은 취득한 유물을 모두 무게를 달아서 기입했다는 점이다. 아마도 당시에 상트페테르부르그에서 보기에는 시베리아를 보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아니었을까?

 

그림 6. 밀러가 조사한 이르티시~오비강 유역의 무덤에서 나온 유물

 

참고문헌

Г.Ф. Миллер История Сибири. Том I. // М.-Л.: 1937. 608 с.(밀러 1937, 시베리아 역사1권)

Серегин Н.Н. Матренин С.С. 2016 Погребальный обряд кочевников Алтая во II в. до н.э. – XI в. н.э.(세레긴, 마트레닌 2016, 기원전 2~기원후 11세기 알타이 유목민의 무덤)

Элерт А. Х. 2008, По следам академического отряда Великой Северной экспедиции , том 18, №6//(에레르트 2008, 위대한 북방 탐험대의 학문적 분리를 위한 발자취)

Завитухина М.П. 1978 : Коллекция Г.Ф. Миллера из Сибири — одно из древнейших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собраний России. // СГЭ. [ Вып. ] XLIII. Л.: 1978. C. 37-40(자비투히나 1978, 러시아 고고학자료가운데 가장 오래된 밀러의 시베리아 수집품)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