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한국'에 해당되는 글 2

  1. 2018.11.07 연해주와 한반도의 역사적 관련성에 대한 논문
  2. 2018.07.30 북방고고학개론서

지난 봄에, 경남 진주시 대평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을 소개한 바 있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29


이 유물은 출토될 당시에 발굴정황상 많은 사람들이 청동기시대의 것을 의심스러워 했으나, 최근에 여러 정황상 이 유물은 청동기시대의 것이 맞으며, 한국에서 비파형동검 보다 빠른 시기에도 청동기유물이 있음을 입증하는 유물임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연해주의 청동기 문화인 시니가이 문화와 관련이 있고, 시니가이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은 시베리아의 카라숙문화에서 부터 전해진 것으로 보았다.


이와 관련된 링크는 참고하시면 좋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30?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1

http://eastsearoad.tistory.com/142?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3?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4?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5?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6?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7?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8?category=737917

http://eastsearoad.tistory.com/149?category=744369

http://eastsearoad.tistory.com/150?category=744369

http://eastsearoad.tistory.com/151?category=744369

http://eastsearoad.tistory.com/152?category=744369

http://eastsearoad.tistory.com/153?category=744369


논문은 올해 5월에 영남고고학보에 실렸다.




혹시 필요하신 분이나 의심스러워 하시는 분을 위해서 첨부해 두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티스토리는 10메가 밖에 안올라가서 두 덩어리로 잘라서 첨부합니다. )


2.김재윤-1-0.pdf

2.김재윤-1-1.pdf

2.김재윤-1-2.pdf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18. 7. 30. 19:34 책소개

올해는 여러 저자들과 함께 쓴 책이 출판되는 해인가 봅니다.

물론 글은 이미 여러 해 전에 제출했는데 그 결과물이 나온 것입니다.


한국,러시아,몽골, 중국 등 모두 16명의 저자가 함께 한 것입니다.

여러 국가에서 참여한 만큼 시간도 꽤 오래 걸렸습니다.

제목은 북방고고학개론입니다.


필자가 대학원에 들어올 무렵에는 북방고고학의 중요성은 한국고고학계에서 알고 있었으나

대부분 일본학자들이 쓴 논문과 저작물을 통해서 북방을 이해하는 정도였습니다. 

 

이제는 많지는 않지만 몇 몇 한국학자들도 있습니다(그중에 나도 한명^^).

 2000년대 넘어 오면서 북방고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일본에서 이미 소화된 자료보다는 원자료(러시아,중국, 몽골)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점이 한국고고학계에서 북방고고학을 연구한 1세대와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네요.


내용은 구석기시대부터 흉노시기(3세기)까지 구성되어 있습니다.


필자가 쓴 부분은 신석기시대와 한반도와의 교류 부분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몇 년 지나면서 아쉬운 점이 많이 남습니다.

지금은 이 보단 좀 더 다이나믹하게 작성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다음을 기약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서 소개한 http://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와는 좀 다른 느낌입니다. 그땐 뿌듯했으나,,, 이번 건은 아쉬움.....

그래도 소개합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