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몽골의 스키타이 지역문화인 울란곰 문화에서는 청동제로 제작된 일상생활 유물은 청동솥, 청동송곳, 버클, 청동걸쇠와 거울이 있다. 거울은 일상생활 용품 혹은 의례품으로 볼 수도 있을 듯 한데, 유적을 발굴한 사람은 일상생활용품으로 보았지만 필자는 의례용품으로 생각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하겠다.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솥은 손잡이가 청동솥의 입구 위로 수직으로 달린 것인데, 스키타이 청동솥 가운데 늦게(기원전 5~3세기) 나타나는 형식이다(그림 1-1~3). 거의 퇴화된 손잡이 모습(그림 1-5)도 발견되었다. 솥 가운데 다리 세 개가 붙은 형식은(그림 1-4)는 울란곰 유적 보다 훨씬 남쪽에 위치한 천산부근의 카자흐스탄 유적에서 주로 발견되는 것이다.

 

그림 1. 울란곰 유적의 청동솥

 

모든 장신구를 생활용품이라고 특정하기는 힘들지만 그래도 청동버클은 일상생활용품으로 볼 수 있다.

청동버클 가운데서 고정된 ‘혀’가 있는 형식(그림 2-4,6)은 늦은 형식이다. 청동걸쇠(그림 2-20)는 이전에 소개해 드린 알타이의 유적에서는 볼 수 없지만 알타이의 다른 무덤에서는 발견된다. 주로 허리 부근에서 나오는데, 무기를 고정시키는 고리로 생각할 수 있다(쿠바레프 슐가 2007.

 

그림 2. 울란곰 유적의 청동제장신구

 

이 외에도 청동으로 제작된 무기는 청동화살촉, 청동검과 청동칼, 투부 등이 있다. 이들 유물은 철제품과 골제품(화살촉)도 있다. 청동제품 무기와 철제품 무기 중에서 더 파급력이 높은 것은 철제품일 것이다. 단 청동화살촉은 실제 무기일 가능성이 있다. 청동으로 된 검은 주조(거푸집을 이용)해서 만들어졌지만 철을 뼈대로 해서 만든 것도 있다.

 

철제 단검은 23호와 33호에서만 발견되었는데, 손잡이 끝장식이 고리모양이거나 납작한 숫돌형이 있다. 날에 난 돌기형태의 칼날 멈추개가 있다. 청동단검 보다 크기가 크다. 철제 투부(그림 3-5)도 청동제품 보다 크기가 큰데, 타격부는 뭉특하게 처리되었다.

 

그림 3. 울란곰 유적의 투부

 

화살촉은 골제와 청동제이다. 골제품은 자루를 끼울 수 있도록 튀어나온 부분(슴베)이 있는 형식(그림 4-9~12)이고, 청동제는 자루를 삽입할 수 있도록 안이 비어 있도록(管형)만들어진 것이다. 청동제품은 단면이 삼각형이다. 이러한 형식의 청동유물은 투바에서 기원전 5~3세기에 나오는 유물이다.

 

 

청동단검, 청동투부, 청동거울 가운데 청동단검과 청동거울은 스키타이 문화보다 이르거나 혹은 스키타이 문화중에서 이른 형식이 발견되는데,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온 유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청동제품이 일상생활 용품이라기 보다는 의례품이다.

 

이 유적에는 말이 없이 무덤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마구는 발견되지 않아서 연대추정의 자료로 사용되는 유물은 화살촉과 청동솥, 토기(따로 설명)이다. 또한 울란곰 북쪽에 위치한 미누신스크 분지의 사글리- 바쥐 II유적은 울란곰과 매우 비슷한 무덤 특징, 유물이 출토되는데 기원전 5~3세기 유적으로 탄소연대로 측정되었다.

 

 

그림 4. 알타이 추야강과 우슬라 강 유역의 테르베독 유적 1호(1~4)와 2호(7~12) 출토품, 1. 청동걸쇠, 2. 허리띠의 일부분, 3. 투부 자루, 4. 청동단검, 5-청동칼, 6-일종의 장신구, 7-재갈, 8-투부, 9-12: 골제 화살촉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Шульга П.И. Пазырыкская культура (курганы Чуи и Урсула), Барнаул: Изд-во Алта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07. — 282 с.(쿠바레프, 술가, 2007 파지릭문화 유적(추야와 우르술라강의 고분)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스텝(초원)지역보다 북쪽에 위치한 타이가(삼림)지대에는 기원전 8세기부터 아나닌스카야 문화가 남쪽의 스키타이 문화와 공존해서 존재했다. 이들의 문화에는 스텦지역의 사람들을 알고 지냈던 흔적이 동물문양으로 남아 있다. 그들의 남쪽에 위치한 흑해 우안의 코카서스 부근 뿐만 아니라 동쪽 미누신스크 분지, 알타이 남쪽 사람들과도 알고 지냈다.

아직 알타이 남쪽에 위치한 동물장식은 자세히 살펴보지 않았지만, 코카서스 부근, 미누신스크 분지와 비슷한 유물은 대부분 모방했거나 일부는 직접 수입했을 수 있다. 하지만 동물문양이 달린 것은 아나닌스카야 문화 사람들이 만들었을 수 있다.

 

동물문양만을 초점에 맞추면 스키타이 문화와의 관련성이 아주 크게 부각되지만, 숲속의 아나닌스카야 사람들은 자신의 야금술 기술이 있었다. 금속을 제련하는 기술이 주로 발견되는 곳은 카마 강 유역과 그의 지류인 뱌트크(Вятк, Vyatk)와 베트루그(Ветлуг, Vetlug) 강의 검은 숲속이다. 유적에서는 금속 제련하는 흔적 외에도 동물을 기르거나 혹은 사냥을 주로 했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 문화에서는 금속제련 기술은 성행했지만, 그 정도는 ‘недостаточно развитой железообработке’ 수준높은 철제품으로 완성되지 못했다고 한다. 실제로 철제품의 강도가 그렇게 센 정도는 아니었다(쿠즈미니흐 1983).

 

 

 

그림 1.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노동도구(전시장에 걸린 도끼는 몇 점 되지 않지만 실제로 가장 많은 금속제품은 도끼이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금속제품인 철제 도끼‘кельт(celt)’(그림 1-2,3)라고 불리지만 실제로 크기는 길이가 10cm내외로 작아서 오히려 목제를 자르는 도끼보다는 목제를 다듬는 도구에 더 적합했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문화에서는 유적에서 집과 무덤, 성채에 나무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가장 필요한 물건이었을 것이다.  

 

노동과 관련된 도구 외에도 금속제품으로 많이 만든 물건은 허리띠와 머리장식(여성) 이다. 유적에서 많이 나오는데 스키타이 문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덜 화려하니 관심도 덜하다. 이 문화의 사람들도 모자를 착용했다. 이 문화의 대표적인 유적인 루고프스코이(Луговской , Lugovskoy) 무덤에서 나온 유물을 바탕으로 복원했다(그림 2).

 

 

그림 2. 루고프스코이 무덤 인물 복원상, 복원-게라시모프 Герасимов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참고문헌

 

Кузьминых С. В. Металлургия Волго-Камья в раннем железном веке: Медь и бронза. — М.: Наука, 1983. — 257 с.(쿠지미니흐 1983, 볼가-카마 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 순동과 청동 금속제작).

아나닌스카야 문화 사람의 청동상 아래참고(상트페테르부르그 시의 쿤스트카메라 박물관, 에르미타주 박물관 뒤에 다리 건너면 있음, 러시아 최초의 공립박물관, 표트르 1세가 1714년 건립,  한국관이 따로 있음, 주로 조선시대 유물 전시, 2020년 11월12일~2021년 2월 15일까지 한국특별전이 있었음)

http://collection.kunstkamera.ru/entity/OBJECT/36347?query=%D0%B0%D0%BD%D0%B0%D0%BD%D1%8C%D0%B8%D0%BD%D1%81%D0%BA%D0%B0%D1%8F%20%D0%BA%D1%83%D0%BB%D1%8C%D1%82%D1%83%D1%80%D0%B0&index=0

 

www.kunstkamera.ru/

 

«Кунсткамера» — музей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Журнал призван отразить все многообразие актуальных научных интересов сотрудников музея, а также их коллег из российских и зарубежных исс

www.kunstkamera.ru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