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그림 1.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전시중인 파지릭 5호분의 마차 (2010년 신문)

 

그림 2.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전시중인 파지릭 5호분의 마차2(2010년 신문)

 

그림 3. 2500년 전 파지릭 5호분에서 출토된 마차(아즈벨레프 2019

 

 

2500년 전 시베리아의 알타이 해발 1500m 파지릭 5호에서 무덤구조를 보았다. 저의 포스팅을 계속 보신분은 아시겠지만, 그리고 필자가 이미 여러번 이야기 했지만 이 무덤에는 마차가 출토된다. 마차를 통으로 넣기는 했는데, 완벽한 모습으로 넣은 것이 아니라 분해해서 넣었다. 무덤에서 무덤방과 남쪽 벽 사이에서 마차의 난간이 확인되는데, 이는 처음부터 분해된채 들어갔을 가능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이런 이야기를 하면 당연히 무덤속에 분해한채 들어갔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기 때문에 이야기 드린다. 마차가 통으로 들어간 무덤이 나오는 지역은 시베리아 보다 서쪽에 위치한 곳이고, 청동기시대 유적이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자료를 공개하도록 하겠다.

 

2500년 전 파지릭 5호에서 출토된 사륜마차 혹은 전차는 관심의 대상이다. 나무줄기에서 잘라낸 원시적인 고체바퀴가 아니라, 바퀴는 회전축과 다용도 바퀴살(34점), 바퀴둘레가 있는 마차이다. 바퀴의 둘레는 한판이 아니라 여러 개를 이어붙였다(그림 4-1).

자작나무로 제작되었는데, 바퀴가 달린 두 개의 차축으로 구성되었다. 여섯 개의 수평판자, 몸체, 캐노피, 멍에와 고삐를 달리 위한 고리로 연결되었다.

 

마차의 하부구조는 직경이 1.5m인 바퀴 4개가 고정축에 장착되었으며, 6개의 스프링으로 서로 연결되었고, 고정축의 끝에는 일종의 차축이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었고, 앞 바퀴와 뒷바퀴 사이에는 막대기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그림1, 3). 차축은 원통형모양이다.

마차의 하부 구조위에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앞에는 운전자를 위한 좌석이 얇은 나무판자로 제작되었고, 등받이 부분에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조각된 플랫폼이 배치되었다. 등받이 부분의 플랫폼은 현대의 난간 모양인데, 마차 운전석 뒷면 사방에 둘러져 있다(그림1, 3). 운전석 뒷부분 난간 뒤에는 높은 기둥을 올리고 마차의 뚜껑을 덮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뚜껑은 얇은 판자를 묶어서 덮었으며, 운전사 뒷자석과 가까운 낮은 곳에도 유연하게 묶은 나무막대기를 묶어서 돌렸다. 마차의 부속품들은 아주 단단하게 묶은 것은 아니지만, 끈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마차는 앞에 포크처럼 달린 길이 3.2m의 두 개의 막대기로 말 두 마리가 끌 수 있다. 두 개의 막대기는 길이 1.6m의 막대기로 고정되어 있다(그림 2의 오른쪽).

 

 

그림4. 1952년 파지릭 5호분의 복원하는 모습 바퀴(1)와 마차의 상부지지프레임(2) (국, 니콜라예프, 2012)

 

 

마차 바퀴는 분해된 채 발견되었다(그림 4-1). 마차가 분해된 채 무덤속에 넣어진 것은 무덤에서 확인되는 배치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완벽하게 조립할 수 있었는데 말이나 황소가 산길을 따라서 끌었을 것이다. 마차는 부피가 컸기 때문에 산이라도 길이 있는 비교적 편평한 곳에서 운전이 가능했을 것이다. 마차의 전체 길이는 3.05m, 바퀴는 1.95m, 높이는 2.65m이다(그랴즈노프 1955).

 

그런데 마차의 바퀴 끝에 끼운 원통형 모양의 축은 길이가 대략 35~40cm인데, 마차가 확인된 5호 무덤 외에도 1~3호분에서도 비슷한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실제 마차는 5호에서만 확인되었다.

 

2500년 전 마차도 대단해 보이지만,  시베리아에서 마차의 존재는 이보다 더 오래된 청동기시대 안드로노보 문화 바위그림에서 확인되고, 카라숙문화에서는 마차의 부속품 등이 출토된다.

 

 

참고문헌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Грязнов М.П. 1955,  Колесница ранних кочевников Алтая // СГЭ. 1955. Т. VII. С. 30-32.(그랴즈노프 1955, 알타이의 초기 유목민의 마차)

Гук Д.Ю., Николаев Н.Н. 2012, Повозка из Пятого Пазырыкского кургана. // Культуры степной Евразии и их взаимодействие с древними цивилизациями. Книга 2. CПб: ИИМК РАН, «Периферия». 2012. С. 454-457(국, 니콜라예프, 2012, 파지릭 유적 5호분의 마차)

Азбелев П.П. 2019, Пазырыкские лебеди.// Актуальные вопросы истории кыргызского народа: прошлое, настоящее и будущее. Сб. статей в честь 70-летия кыргызского историка и востоковеда Мокеева А.М. Бишкек: 2019. С. 279-286. (아즈벨레프 2019, 파지릭의 백조)

https://rg.ru/2010/12/09/ermitaj-altay.html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의 남부 알타이 산에서 파지릭 계곡에 위치한 2500년 전 무덤에는 죽은 자를 위해서 말을 매장하는 풍습이 이었다. 무덤의 가장 위는 둥글게 돌을 깔고 무덤구덩이를 채웠으며, 무덤구덩이 가장 아래에는 통나무를 다듬어서 만든 무덤방과 통나무관을 넣었다.

무덤방의 바깥 빈 공간에 말을 여러 마리 매장했다. 말은 대부분 말을 부리는데 필요한 재갈 뿐만 아니라 말을 화려하게 치장하는 굴레장식까지 갖쳐진 상태였다.

 알타이산에서 파지릭계곡 뿐만 아니라 우코크 고원 등 여러 지점에서 비슷한 매장풍습이 확인된다. 이러한 유적을 그룹화 해서 파지릭문화라고 부른다. 파지릭문화는 마구, 무기, 동물문양장식을 상징으로 하는 유라시아의 스키타이문화권의 일부이다. 스키타이문화권은 넓은 지역을 아루르는 명칭으로 각 지역에서 문화가 나타난다.

 

 그런데 파지릭문화에서 특히 파지릭 유적 5호분에는 말 뿐만 아니라 마차를 매장한 무덤이 있다. 마차의 바퀴는 4개이고, 수레바퀴는 통판이 아니라, 바퀴의 살이 있다. 통판의 수레바퀴가 달린 마차는 이미 유라시아에서는 청동기시대에 나타난다. 파지릭문화는 시베리아의 초기철기시대문화이다.

 

 파지릭 유적의 5호분에는 무덤구덩이의 북쪽을 빈 공간으로 두고 말 9마리와 4개의 수레바퀴가 달린 마차가 확인되었다. 말은 모두 같은 상태로 묻힌게 아니라, 말 마다 착장한 장식에 차이가 있다. 말 1마리(I번 말)는 아무런 장식이 없었고, 재갈만 물린 말 4마리(II,III,V,VI번 말), 재갈+굴레장식+안장이 있는 말 3마리(IV,VII,VIII번 말), 재갈+굴레장식+안장+머리장식까지 있는 말 1마리(IX번 말)가 확인되었다.

 

가장 복잡하고 화려한 말은 IX번 말이다. 말의 머리까지 장식을 화려하게 했다. 그림 1에서 무덤구덩이의 가장 아래에 있어서 가장 먼저 무덤에 들어갔다.

이제까지 살펴본 파지릭 문화의 무덤 가운데 말의 치장 정도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무덤이기도 하다.

말의 머리장식을 한 현상은 아크 아라하 3유적, 아크 알라하 1유적에서는 없었다. 파지릭 유적에서는 머리부터 등끝까지 치장한 말이 들어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림 1. 파지릭 유적의 5호분 무덤의 북쪽 단면도 

1.바퀴의 축; 2.마차의 몸체; 3. 마차몸체의 백조장식 ; 4. 검은색 펠트로 된 마차의 덮개; 5.펠트조각; 6.펠트로 된 카펫트; 7. 삽의 손잡이; 8. 마차의 바퀴; 9. 마차를 끄는 막대;10. 말총; 11. 카펫에서 풀린 실꾸러미; 12. 13. 말의 안장과 굴레장식; 14. II,III,V,VI번 말의 마구; 15. IV번의 안장; 16, 17-VII번의 말 안장과 굴레장식; 18, 19-VIII번 말의 안장과 굴레장식; 20 ,21-IX번 말의 안장과 굴레장식 ; 22-IX번 말의 머리장식; 23-IV번 말의 굴레장식; I~IX: 말

 

참고문헌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무덤구덩이를 덮은 돌은 가장 상부에는 큰 돌이고, 그 아래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돌을 채워넣었는데, 3톤정도 된다. 그 아래에는 통나무가 층층이 쌓여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통나무 층 가장 아래에 도굴꾼이 만들어 놓은 1.45×1.9m의 구멍이 남아 있다. 무덤방의 가장 상부는 자작나무 껍질로 덮었는데, 그 곳에도 도굴구멍(0.89×0.93m)이 있었다.

무덤방의 덮개는 두 단으로 덮여 있었는데, 그 안에 얼음이 채워져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무덤방은 납작한 판자로 만들어졌는데, 무덤구덩이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다. 무덤방 안에는 다듬은 통나무로 제작되었다. 무덤방 내부의 크기는 높이는 1.4m이고, 2.3×5.2m가량이다.

 

파지릭 유적의 무덤 구조는 비슷한 듯 서로 다른 점이 있다. 파지릭 2호분의 단면과 그림 1에서 아래의 무덤 단면도를 보시면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림 1. 파지릭 5호분의 무덤 단면도

 

2중의 무덤방 구조 바깥으로 아주 두터운 수직의 나무 기둥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설치되어 3개의 기둥벽(그림 2)이 버티고 있고, 무덤 위의 돌과 통나무층의 하중을 견딜 수 있었다.

 

 

 

그림 2. 파지릭 5호분의 무덤 상부, 아직은 무덤방의 덮개를 열지 않고, 상부의 돌만 치운 상태. 수직의 기둥 3개가 보인다. 아래 그림(2)이 무덤방의 덮개인데 도굴꾼에 의한 구멍이 선명하다. 무덤방 바깥으로 마차의 바퀴가 보인다(2).

 

무덤방의 북쪽 빈공간은 말과 마차가 부장되었다.

 

그런데 그림 1에서 통나무 관이 1개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통나무관에는 여성과 남성이 함께 확인되었고, 여성 아래에 남성이 깔려 있었다.

 

지난 포스팅에서 파지릭 2호분에서 통나무관이 1개인데 여성과 남성이 확인되어서 함께 묻혔을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 했는데, 어떻게 보면 바보같은 이야기였다. 그렇게 막 살펴 보지 않아도, 조금만 더 자세히 다른 무덤을 살폈다면 쉽게 알 수 있었을 텐데..

 

...어찌 되었던가 통나무관 안에 여성과 남성을 함께 매장되었다.

생각해보면 잔인한 일이기도 하고, 생각해보면 또 다르게 해석할 수 도 있다.

한날한시에 혹은 비슷한 시기에 죽었을까? 그게 우연하게 일어났을까?

만약에 그런 경우가 하나였다면 그랬을 것이라고 생각도 가능하겠지만, 벌써 두 번째이다.

그렇다면 누군가 먼저 죽었고, 다른 한 사람은 자연사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

 

앞에서 여러 가지 정황상 스키타이 문화에서는 무덤을 만드는 시기가 정해져 있다는 사실을 알려드렸다. 봄과 가을이다. 러시아학자들은 영구동토대를 이용 위해서라고 생각한다.

그럴 수도 있지만, 다르게 생각해 볼 수도 있다. 무덤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모여야 하는데, 흩어져서 사는 유목민의 특징상 사람이 모이는 시기는 목초지로 이동하는 과정이었을 것이고, 그때가 여름이 되기 전과 겨울이 되기 전이다. 그 때 때마침 사람들이 죽었을 수 있다. 또 동시에 남녀가 모두..?!

 

이 모든 과정을 그들도 계획했을까? 영화대사처럼

 

 

참고문헌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의 알타이 산 중에서도 해발 높이 1500m가량의 파지릭 고원에는 2500년 전 스키타이 시대에 살던 사람이 묻힌 무덤이 있다. 유라시아를 횡단하던 사람들이다.

 

그들을 공통적으로 묶는 일종의 상징 같은 것이 있는데 무기, 마구, 동물문양장식이다. 스키타이 3요소라고 한다. 그런데 동물문양장식은 깍두기 같다. 단독으로도 확인되기도 하지만 주로 무기나 마구에 장식물로 달리기도 하고, 옷, 안장덮개, 방울, 거울, 목걸이 등 다양한 곳에 표현된다. 스키타이 문화권은 흑해북안, 쿠반 지역(코카스서 산맥, 지금의 그루지아), 카자흐스탄, 알타이, 미누신스크 분지 등에서 나타난다. 이 지역을 아울러서 스키타이문화권이라고 한다.

 

2020/02/10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아크 알라하 1유적] - 2500년 전, 어느 그리스 장인의 스키타이 전사에 대한 기억

 

2500년 전, 어느 그리스 장인의 스키타이 전사에 대한 기억

그림 1. 솔로하 출토 황금빗, 에르미타주 소장, 전체 모습은 앞의 포스팅 참고 그림 2. 솔로하 출토 황금빗, 에르미타주 소장, 말탄 스키타이 전사의 모습, 투구는 코린트 식 그림 3. 솔로하 출토 황금빗, 에르..

eastsearoad.tistory.com

 

위의 포스팅에서 스키타이 문화권의 표를 소개한 바 있다.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불리는 부분은 포스팅에 표시해 두었고, 아래표는 혹시나 제공해 드린다..

 

 

지도. 스키타이 문화권의 분포범위, 위 포스팅의 표와 비교해 보시면 재미있으실 것이다. 필자는 표를 지도로 인식한다.

 

물론 모든 지역의 문화가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그들 문화에서 공통적인 요소가 있어서 문화권이라고 한 것이다. 비슷한 요소가 나타나는 이유는 서로 ‘contact’ 했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SNS가 없으니 비대면 접촉이 아닌 대면 접촉이었다. 혹은 실제로 만난적은 없지만 전해 들은 사람들이 또 비슷한 유물을 생산하기도 했을 것이다. 생각보다 인간의 활동영역은 매우 넓었다.(우리는 남북이 끊겨 있기 때문에 스스로를 섬으로 여기면서 생각이 닫히는 경우가 많다.)

 

파지릭 고원의 파지릭 유적에는 5호 무덤에서는 4바퀴 마차가 함께 부장되었다. 아마도? 유라시아를 돌아다녔겠지? 알타이 산에서 어떻게?

알타이 산맥은 높지만 바위산 마다 교통로가 있다. 그 곳에서 암각화가 많이 발견된다.

 

 

아뭏튼 파지릭 5호분에는 마차가 매장되었으니 그 규모가 상당히 크다.

 

 

그림 1. 파지릭 5호분의 평면도

 

무덤의 상부 직경이 42m, 높이가 3.75m가량 된다. 5호에는 무덤의 상부를 덮은 돌에서 연접한 남쪽에 둥근 원형으로 돌이 둘러있는 것이 확인된다. 아래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이 돌 무지의 직경은 3.5m~5.7m이고 간격이다. 이러한 현상은 투엑타 유적에서 확인된다.

 

무덤방의 크기는 8.25×6.65m이고, 무덤바닥은 땅의 표면 기준으로 4m가량이다(그림1).

 

그림 2. 파지릭 5호분에서 출토된 양탄자의 아플리케 장식.

 

 

 

 

참고문헌

 

Золотые олени Евразии.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в Гос. Эрмитаже, СПб, 18 октября 2001 года — 20 января 2002 года. СПб: «Славия». 2001. 248 с. (에르미타주 국가박물관 특별전 도록, 유라시아의 황금 사슴, 2001)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지난 3주 정도는 시베리아의 스키타이 문화권에서도 알타이에 위치한 파지릭문화의 파지릭 유적에서 남녀 미라가 들어간 무덤을 살펴보았다.

 

이제 까지 파지릭문화에 해당하는 무덤은 여성무덤(아크 알라하 3유적의 1호분), 남성무덤(아크 알라하 1유적의 1호분), 아이무덤(아크 알라하 1유적의 2호분), 남녀무덤(파지릭 유적의 2호분)을 살펴보았다. 나름 자세히 생생히 알려드릴려고 노력했는데, 부족한 점도 분명히 있었을 것이다.

 

위의 무덤에는 모두 말이 부장되어 있었다.

그럼 말 만 타고 다녔을 까? 마차도 타고 다녔다. 파지릭 유적의 5호에는 마차가 들어가 있다. 이 유적의 파지릭 2호분은 대체로 2500년 전 아크 알라하 3유적과 비슷한 시점에 공존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비슷한 유물들이 출토되고, 미라의 몸에 문신이 같은 사람이 그린 것이라면 생각해 볼 수 있다.

 

파지릭 5호분은 파지릭 유적의 1호분 보다 48년 정도 늦은 뒤에 축조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나무 나이테를 비교해서 얻은 상대적인 수치이다. 이 유적이 발굴될 당시 1947~1948년에는 탄소연대측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방법은 1960년대 이후에 개발되었다. 파지릭 1호분은 파지릭 2호분과 같은 시기의 무덤으로 생각한다.

 

파지릭 유적이 위치한 곳은 해발 1500m정도 된다. 이는 앞의 포스팅에서 필자가 구글지형도에 표시해 놓았다. 유적에서 마차가 확인됨으로 마차가 올라갈 수 있는 정도라고 볼 수 있다. 마차가 갈 수도 없는데, 그곳에 묻었다고 추론하는 것은 논리적이지 못하다. 실제로 파지릭유적은 계곡의 낮은 곳과도 가깝고 강 주변의 자작나무로 무덤을 만들었다. 

 

앞에서 러시아 학자들이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여성미라는 파지릭 유적의 2호분 보다 낮은 계급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원인 중에 하나가 무덤의 크기가 작고, 부장품에 차이, 환경의 차이가 있다고 했다. 특히 파지릭 유적에서 확인되는 마차의 존재는 더 그러한 생각을 하게 하는 것 같다. 러시아 학자들은 상대적으로 덜 높은 생활 환경이 좋은 파지릭계곡이 우코크 고원보다 더 상위 계급을 위한 사람들을 위한 장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석달 전만해도 긴가민가 하면서 러시아학자들의 생각을 전했다.

하지만 러시아 학자들이 놓친 생각은 우코크 고원의 위치이다. 아크 알라하 3유적은 파지릭 계곡 보다 1000m높은 곳에 위치한다.

발굴당시에 완벽하게 남은 미라를 옮기기 위해서 모스크바에서 헬기를 띄었다. 우코크 고원은 고원에 올라가면 매우 아늑한 장소이지만, 잘 갈 수 없다. 그곳에 가기가 얼마나 힘든지는 지난번에 링크한 폴로스막의 인터뷰에도 나온다.

러시아 군용 트럭(가즈-66, 시베리아 벌목공 들이 타고 찍은 군용 트럭의 사진이 간혹 보이는데, 그 차가 군용트럭이다)과 헬기만이 갈 수 있다. 그 군용트럭은 필자도 타 보았는데,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 트럭의 장점은 어디든지 갈 수 있다. 한시간 정도 타고 나면 사람들은 거의 실신할 정도가 된다. 그 트럭에 미라를 옮길 수는 없었을 것이다. 미라는 산산조각이 날 것이기 때문에. 아마 발굴할 때 연구자와 물건들은 군용트럭으로 이동했지만, 몇몇 우두머리와 미라는 헬기로 날랐다는 기사를 읽었다.

 

즉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 마차가 없는 것은 그녀가 묻힌 곳이 마차가 갈 수 없는 곳이었을 가능성을 배제하면 안된다. 그 여성미라가 지위가 낮아서가 아니라 마차가 갈 수 없을 만큼 높은 곳에 묻었다는 가능성도 열어 두어야 한다.

 

어쨋거나 파지릭 5호분에는 말 9필과 마차가 확인된다.

그럼 시베리아에서 마차는 스키타이문화부터 있었을까?

 

아니니깐 저렇게 물어보겠죠?

이 동네 마차는 마차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지 않지만 마차의 부속품과 마차를 그린 암각화가 청동기시대부터 확인된다. 안드로노보문화와 카라숙문화에서 확인되는데, 차차 소개하도록 하겠다.

어쨋거나 흥미진진하지 않으신지? 무덤 속의 마차라...

 

 

그림 1. 2500년 전 파지릭 유적 5호에서 출토된 마차복원품

 

 

그림 2. 파지릭 유적의 무덤 배치도, 가장 남쪽에서 큰 점이 5호분의 위치이다. 

 

참고문헌

루덴코 1960, Руденко С.И. 1960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60. 360 (루덴코 1960, 스키타이 문화시기의 알타이 산맥의 주민문화)

루덴코 1953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