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2. 7. 17. 09:22 사르마트 문화

사르마트 문화의 늦은 시기인 1세기경에는 로마의 유물들이 많이 발견된다. 마치 그 이전 기원전 4세기 이전에 그리스 유물들이 많이 발견되는 것과 같다.

 

돈강 하류의 유적인 사도브이 유적에서는 8점의 은제 쟁반이 발견되었다. 쟁반의 가장 중앙은 둥근 원판 안에 그리스로마신화가 표현되어 있다. 앞에서 프시케의 사랑 이야기라고 퉁쳤지만 엄밀히 말하면 주제는 4개이다. 네레이스(바다의 님프)와 관련된 것 3점, 네레이스와 바다 켄타우로스와 관련된 장면 2점, 큐피드와 프시케 2점, 포도따기와 디오니소스와 관련된 것 1점이다. 아시다시피 그리스로마신화는 등장인물의 이름은 다르다(클레인 2016).

 

그림 1. 사도브이 유적에서 출토된 은제 쟁반

 

그리고 은제 쟁반은 그 주변을 깃털모양을 편 것처럼 음각 처리되어 있다. 그런데 이 깃털의 크기가 각기 다르다. 주물로 제작된 이 유물은 당연히 중앙의 원판과 주변은 따로 만들어서 붙인 것이고 이를 테두리가 감싸고 있다. 하지만 은 자체는 완벽하게 동일한 제품이다. 그래서 모르드빈체바, 트리이스트르(2007)은 유물들이 세트로 제작되지 않았고 따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했다. 특히 중앙의 원판은 그릇의 중앙 크기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아서 테두리로 이를 연결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그릇을 만드는 장인은 그릇 1개 혹은 짝을 만드는데는 익숙한 사람이었지만 8개를 완벽하게 똑같이 만들지 않던 사람이 주문자의 명령에 따라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모르드빈체바 외 2007).

 

그런데 이 유물이 로마제품이라는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왜 은제 그릇이 사르마트 사람의 무덤 속에서 발견되었는가?

 

참고문헌

Клейн Л.С. Первый век. Сокровища сарматских курганов, СПб.: Евразия, 2016. (클레인, 2016, 1세기, 사르마트 문화 쿠르간의 보물)

Мордвинцева В. И. и Трейстер М. Ю. 2007. Произведения торевтики и ювелирного искусства в Северном Причерноморье (II в. до н. э. — II в. н. э.). Симферополь — Бонн, Универсум — Тарпан.(모르드빈체바, 트리이스트르 2007, 흑해북안에서 발견되는 명작 예술품의 제작방법)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7. 16. 09:22 사르마트 문화

 

사르마트 문화에서는 외부지역에서 온 유물이 출토된다. 로마(다차 유적, 노보-알렉산드로프카 I유적) 에서 은제 그릇들도 있지만 파르티아에서 제작된 유물도 발견되었다.

비소치노 유적은 수십개의 쿠르간이 열을 지어서 발견된 유적이다. 그곳에서 비소치노 VII유적에서는 파르티아에서 제작된 주전자가 발견되었다. 은으로 제작된 후 문양에 금박으로 입힌 것인데, 매우 눈길을 끄는 유물이다.

 

쿱신(액체를 담는 용기)는 의례용이라는 것을 누가 봐도 알 수 있지만, 그 문양이 더 의미심장하다. 쿱신의 동체부는 상단과 하단이 나눠져서 문양이 새겨져 있다. 상단에는 새와 맹수가 하단에는 물고기와 인간이 표현되어 있다. 특히 하단에는 사람이 물고기를 잡는 장면과 물고기를 타고 돌아오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유적을 발굴한 루카센코는 이 유물이 의미하는 바를 아베스타에서 말하는 우주관을 상징한다고 보았다. 낚시하는 장면을 재생, 부활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고대 이란의 의례행위 가운데 가장 성스러운 행위가 목욕인데, 재생을 의미한다. 물고기를 타고 오는 장면 자체가 물 속에 있는 장면을 의미하며, 재생을 비유한 장면이고, 낚시는 재생을 위한 한 장면이라는 것이다.

 

그림 1. 비소치노 II유적의 은제 쿱신

 

 

그림2. 그림 1의 상세

 

루카센코가 이 문양을 해석하려고 한 이유는 쿱신의 용도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무덤속의 액체음료를 담아 두는 행위는 사카 문화 뿐만 아니라 스키타이 문화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사르마트 문화나 스키타이 문화에서 그릇에 동물을 장식하는 것은 주로 손잡이에만 장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용기의 몸통에 동물문양을 장식하는 것은 사르마트 문화 내에서는 보이지 않는 방법이다.

 

기원후 1세기의 유라시아 동쪽에는 사르마트 문화 이남에는 로마제국과 파르티아 제국이 강성했을 때이다(그림 3, 클레인). 그래서 사르마트 문화 후기에는 아조프해연안에서 로마제국의 유물이 많다(클레인).

 

그림 3. 기원후 1세기 사르마트 문화와 그 외부 지역 (클레인 2016)

 

 

참고문헌

Беспалый Е. И., Головкова H. H., Ларенок П. А. Поминальные памятники IV в. до н. э. — III в. н. э. Доно-Каргальницкого водораздела//Советская археология 1989 №03(베스팔르이 1993, 기원전 4~기원후3세기 돈강 유역의 유적)

Клейн Л.С. Первый век. Сокровища сарматских курганов, СПб.: Евразия, 2016. (클레인, 2016, 1세기, 사르마트 문화 쿠르간의 보물)

С.И. Лукьяшко. Древнеиранский космологический сюжет на серебряном кувшине из сарматского погребения у г. Азова.// СПб; Азов: Изд-во Азовского историко-археологического и палеонтологического музея-заповедника. 2008.(루카센코, 2008, 아조프 해연안의 사르마트 문화 무덤에서 발견된 은제 쿱신에 새겨진 고대 이란의 우주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