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알타이의 추야 강 지류인 유스티드 강의 계곡에 있는 유적 가운데서 유스티드 XII유적의 23호는 이 유적에서 매우 특이한 무덤이었다. 외관으로도 21~22호와 연결되었고, 내부에도 다른 무덤에는 없던 바닥과 무덤의 서쪽벽 위에서 자작나무 껍질이 확인되었다. 이 유적에서 자작나무 껍질은 주로 말의 다리 아래에서 확인되는 점과는 차이가 있었다. 바닥아래에 나무가 깔리지 않는 공간은 주로 그릇을 두는 공간으로 비워 두지만 이곳에도 사람을 묻는 점도 달랐다.

 

이 무덤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줄 무덤이 울란디르크 강변의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울란디르크 I유적의 11호무덤이다. 울란디르크 I유적에서는 무덤 17기가 확인되었다(그림1).

 

그림 1. 울란디르크 I유적, 검은색 동그라미가 무덤, 화살표가 가르키는 곳이 북쪽

 

그 중에서 11호 무덤(직경 10.5×11m,높이 20~30cm)은 별로 크지 않다. 깊이 1.3 m가량의 구덩이안에 2중 나무 무덤방(외부: 220×160cm, 내부: 143×83cm)이 있었다. 통나무는 낙엽수(자작나무)로 직경이 28~32cm가량 되는 것이고, 가장 긴 통나무는 240cm짜리도 있다. 무덤방은 6개의 통나무로 덮고 그 위를 자작나무 껍질로 덮었다. 무덤방과 무덤구덩이 사이에 남서쪽 빈 공간에도 통나무로 채웠다.

울란디르크 계곡과 유스티드 계곡의 무덤 안에 인골의 두향은 대부분 동쪽이었으나, 이 무덤은 남동쪽이다. 울란디르크 I유적 전체에서 무덤이 남동방향으로 일렬로 서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유스티드 계곡의 모두 남북방향으로 무덤이 서 있다(그림1). 이 점은 울란디르크 강의 방향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중 목곽묘에 자작나무 덮개까지 덮었지만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매우 소략하다. 말은 철제재갈과 멧돼지 송곳니 모양을 한 목제 굴레장식으로 장식되었다. 말의 머리에는 투부로 맞아서 구멍이 나 있었다.

 

나무무덤방 안에는 바닥에 2개의 통나무만 깔려 있었고, 바닥이 없는 공간에 나무쟁반 위에는 양의 엉덩이뼈와 손잡이에 둥근고리가 달린 철제 칼이 놓여 있었다(그림 3-2). 61cm 짜리 나무꼬쟁이도 (그림 3-7, 무덤바닥의 평면도)도 발견되었데, 그 옆에는 알 수 없는 목제품도 출토되었다(그림 3-3, 유물그림에서). 목제 쟁반 옆에는 손잡이가 둥근 목제 잔(그림 3-3, 바닥평면도)과 토제 항아리(그림 3-1)도 출토되었다.

이 무덤의 인골 두개골을 깨진 상태였는데, 그 아래에는 검은색 물감이 타원형으로 두께 1~2cm가량으로 발라져서 확인되었고 그 곳에는 금박이 확인되었다(그림 3-6, 무덤바닥평면도). 인골의 엉덩이 부근에서는 목제 빗의 모형과 손잡이가 붙은 목제거울(그림 3-4,5, 유물그림)이 출토되었다.

 

그림 2. 울란디르크 I유적의 11호분, 1-철제 재갈, 2-멧돼지 송곳니모양 목제 굴레장식, 3-자작나무껍질

 

그림 3. 울란디르크 I유적의 11호분 무덤바닥평면도와 출토유물, 인골의 두개골 부위에 타원형 표시가 검은색 물감의 범위이다. *는 금박이 발견된 곳. 인골의 두개골이 왜 깨졌는지, 이동했는지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음.

 

울란디르크 I유적 11호의 무덤방 천장은 6개의 통나무 위에 자작나무껍질을 덮었다. 말의 위에도 덮었다(그림 2). 유스티드 XII유적의 23호도 비슷했을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유스티드 XII유적의 다른 무덤도 마찬가지였을 수 있다. 그리고 자작나무껍질을 쉽게 벗길 수 있는 계절은 늦봄과 여름이다. 기원전 5세기의 파지릭 유적 2, 5호분과 기원전 6세기의 바샤다르 유적, 투엑타 유적에서도 자작나무껍질은 무덤안에서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에서 고대 자연도로 역할을 한 추야 강의 지류인 울란디르크 강 주변에는 현재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8개가 알려져 있다. ‘울란디르크’라는 명칭을 쓴 유적은 I~V번이고, 타샨타 마을과 가까운 유적은 ‘타샨타’라는 명칭을 썼다.

 

추야강의 다른 지류인 유스티드 강 유역에서 발견된 투구처럼 생긴 모자장식은 울란디르크 강의 유적에서도 발견되는데, 동물문양장식이 없는 것은 울란디르크 III유적의 1호분에서 출토되었다.

울란디르크 강의 5개 각 유적에서 무덤의 개수는 차이가 있지만, 여러 기의 무덤이 열을 이루어 만들어진 것은 같다. 열을 이루는 각 무덤의 주인공은 살아생전에 가족 구성원이었다고 본다.

울란디르크 강의 유적은 동시다발적으로 만들어졌을까?

이들 유적에서 가장 이른 무덤으로 생각되는 무덤 중에 하나는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이다. 근거는 유적에서 출토된 마구 중에 하나인 재갈멈치와 굴레에 달았던 굴레장식이다.

 

울란디르크 I~V유적에서는 유스티드 XII, 유스티드 I 유적과 비슷하게 재갈은 잘 남아 있지만 재갈멈치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유스티드 XII유적에 둥근 구형의 장식이 붙은 재갈멈치가 남아 있는 무덤이 있었다.

그런데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에는 재갈멈치의 끝에 동물문양장식이 붙은 것이다. 이는 기원전 5세기 파지릭 유적에서 발견된 것(포스팅참고)과 비슷한 재갈멈치(그림 2-9)와 아크 알라하 1유적의 1호분에서 출토된 유물(포스팅 참고)과 비슷한 굴레장식(그림 2-1,2,3) 등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동물은 그리핀이다.

 

2020/04/15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파지릭 유적 5호분] - 2500년 전 시베리아 그리핀의 모습

 

2500년 전 시베리아 그리핀의 모습

그리핀은 여러가지 모습으로 표현되지만 맹수몸통에 독수리 날개를 붙인 것이 표현된 황금유물을 살펴 본 바 있다.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컬렉션에서 볼 수 있는 유물이었다. 그러나

eastsearoad.tistory.com

2020/02/0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크 알라하 1유적] - 시베리아 스키타이 전사 9마리 말의 얼굴꾸미개

 

시베리아 스키타이 전사 9마리 말의 얼굴꾸미개

시베리아 알타이 산에서도 우코크 고원의 아크 알라하 1유적의 남성전사 2명이 묻힌 1호분의 관 내부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 무덤에는 1차 무덤방에는 말을 위한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

eastsearoad.tistory.com

 

유스티드 계곡의 유적에서는 말을 장식하는 굴레에 그리핀을 단 경우는 없었다. 그리핀이라고 할 수 없는 몸을 말고 있는 맹수는 청동거울에 새겨졌고, 맹수자세를 한 그리핀 1점은 유스티드 XII유적의 19호에서 발견되었는데, 출토위치로 보아서 머리장식 혹은 모자장식일 가능성이 있다. 즉 유스티드 계곡의 유적에서 그리핀은 인간과 관련되어 출토되었다.

 

그림 1.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 1~6: 굴레장식, 7~9: 재갈멈치, 10,11-멧돼지 송곳니 모형(목제), 12-목제 채찍 손잡이, 13-뿔제 장식판, 14-안장의 부속품, 15-목제, 벨트 조이개, 16-뿔제 장식판, 목제 그릇에 부착되었던 것, 17, 18-토제 항아리, 19-목제 머리이마장식, 20,21-청동제 귀걸이, 22-목제 머리장식, 23-무릎을 꿇고 있는 목걸이의 끝장식 목제, 24-머리 혹은 모자장식의 일부, 25-머리장식, 26-목제 산양장식, 뿔은 가죽과 뿔로 조각, 금박으로 장식, 27~29-산양장식, 30,31-말 장식, 32-청동제 동물문양장식, 33-새모양 장식, 34-사슴장식으로 하단에 펜던트가 부착되었음, 머리장식, 35-목제의 다양한 펜던트, 36-목제 검집, 37-목제 멧돼지 송곳니 모형, 38-목제 장식판, 39-뿔과 나무로 만든 화살촉, 40-목제 활 대, 41-목제 원형 장식판, 42-목제 고리트 장식, 43-목제 송곳? 44-거울을 담는 주머니를 장식한 가죽 아플리케, 45, 46-청동거울, 47-목제 장식판, 48-목제 허리띠 장식, 49-목제 전투용 도끼, 50-목제 방패, 51-목제 쟁반, 52,53-손잡이 있는 목제 잔

 

그림 2.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의 출토유물, 그림 1의 번호와 일치

 

그림 3.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의 출토유물, 그림 1의 번호와 일치

 

그림 4.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의 출토유물, 그림 1의 번호와 일치

 

그림  5.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의 출토유물, 그림 1의 번호와 일치(49번 이후의 유물은 이곳에는 소개되지 않았으나 발견되면 보여드리겠음)

 

그러나 지난 겨울부터 살펴본 우코크 고원(아크 알라하-3 유적, 아크 알라하-1유적, 베르흐 칼쥔 II유적), 파지릭계곡의 그리핀은 주로 말을 장식했다.

시간이 지나면서(기원전 4세기) 그리고 지역이 바뀌면서 그리핀의 존재자체가 희미해지는 듯 해 보인다. 그러나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은 앞 세기의 특징이 가장 잘 남아 있는 무덤으로 생각된다.

 

*스키타이 문화에서 탄소연대와 함께 연대를 추정하는 근거는 마구와 화살촉이다(쿠바레프 2007, 추구노프 2000). 기술발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유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쿠바레프 1987, 울란드리크 쿠르간)

Кубарев В.Д., Шульга П.И. Пазырыкская культура (курганы Чуи и Урсула), Барнаул: Изд-во Алта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07. — 282 с.(쿠바레프, 술가, 2007 파지릭문화 유적(추야와 우르술라강의 고분)

Чугунов, К. В. “Бронзовые наконечники стрел 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Тувы.” Мировоззрение. Археология. Ритуал. Культура. Сборник статей к 60-летию М. Л. Подольского. СПб, 2000. С. 213-238.(추구노프 2000, 투바의 스키타이시대의 청동 화살촉에 대한 고찰)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 유스티드 계곡의 유적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 유스티드 XII유적의 21호에서는 출토된 여성의 이마를 장식하던 모자장식으로 두 동물이 서로 얼굴을 맞대고 중앙에 돌출된 동물문양이 장식된 것은 유스티드 XII유적(21호, 8호, 19호)에서만 출토된다.

2020/10/06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유스티드 XII 고분] - 알타이 스키타이의 성인여성?무덤

 

알타이 스키타이의 성인여성?무덤

알타이의 유스티드 XII 유적에서 26기의 무덤 가운데 아이의 무덤이 10기이다. 어른과 함께 매장된 경우(4호, 8호)를 제외한 것이다. 그 중에서 아이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21호를 소개하고자 한다. 2

eastsearoad.tistory.com

 

유스티드 XII유적을 제외하고 10기의 무덤이 발견되고 대부분이 발굴된 유스티드 I유적에서는 이와 같은 유물은 없다. 이 유적 전체에서 목제 모자장식은 3호의 아이 머리 위에서만 출토되었다(그림 4). 2호에서는 가죽으로 된 모자장식이 출토되었다(그림 3-17). 그 외는 3호 여성(그림 3)과 6호 남성무덤의 2인(그림 8), 10호 남성 2인의 머리 상단에서 금박장식(그림 11)이 출토되었다는 표식만 있다.

3호에서는 목제사슴장식과 청동으로 된 그리핀(그림 4-4, 5,6)이 있다. 금박을 씌운 것이다. 그 중 1점은 청동거울의 표면을 장식했던 것이지만 거울과는 떨어져서 출토되었다(그림 2).

 

 

그림 1. 유스티드 I유적, 1호분의 평면도와 출토유물, a-돌, b-토기편, 1-문양이 남아 있는 목제편, 2-골제 덮개편

 

 

그림 2. 유스티드 I유적의 2호분 평면도와 출토유물, a-검은색 물감의 범위, b-금박편, c- 돌

1,2-토기편, 3-복합궁, 4-활의 끝편, 5-산양화된 사슴, 환상의 동물, 6,7-목걸이, 8-검집, 9-알 수 없는 유물, 목제품, 10,11-거울, 12-골제 귀걸이 편, 13-멧돼지 송곳니 이미테이션, 14, 펜던트, 15-자작나무껍질, 16-나무 막대기, 17-모자장식의 상단부, 1,2-토제품, 3-9,13,16-목제품, 10-12: 청동, 14-뼈, 15-자작나무껍질, 17-뼈

 

 

그림 3. 2. 유스티드 I유적의 2호분 평면도와 출토유물, 그림 2의 번호와 일치, 유스티드 I유적에서도 유스트디 XII유적에 없던 유물이 출토되기도 하는데, 말려 있는 자작나무 껍질과 막대기이다(그림 3-15, 16).

 

 

그림 4. 유스티드 I유적의 3호분 평면도와 출토유물, a-돌, b-금박편, 1,2-토기, 3-목제 사슴의 상부편, 4~6-그리핀이 표현된 납작한 판, 7-거울편, 8-모형화 된 검, 9-검집, 10-거울, 11-검을 달기 위한 가죽끈 조각, 12-단추, 13- 칼, 1,2: 토제, 3,9,12-목제, 4~6: 청동과 금박, 7,8,10-청동, 11-가죽, 13-철제품

그림 5. 유스티드 I유적의 3호분 평면도와 출토유물, 그림 3과 번호 일치

 

그림 5. 유스티드 I유적의 3호분 출토유물, 그림 4와 번호 일치

 

 

그림 6. 유스티드 유스티드 I유적의 4호분 평면도와 단면도, a-돌, b-무덤구덩이를 파고 다시 덮은 흙, c-무덤구덩이를 채운 흙, d-무덤구덩의 범위와 내부의 무덤방 위치, e-생토(인간이 손대지 않은 층)

 

그림7. 유스티드 I유적의 4호분 평면도와 출토유물, a-검은색 물감의 범위, b-금박편, 1,2-토기, 3-청동거울, 4-청동제버클장식, 5-목걸이(管모양)의 연결장치, 청동편, 6-철제 검의 부분, 7-골제 칼, 8-철제 검

 

그림 8. 유스티드 I유적의 6호분 평면도와 출토유물, a-돌, b-금박편, c-숯 조각, 1-토기, 2-칼, 3, 9,10-검, 4,8-거울, 5~7:전투용 도끼, 11, 12-돌 베개, 1-토기, 2-철제품, 3~10: 청동제품

 

그림 9. 유스티드 I유적의 6호분 출토유물, 그림 7과 번호 일치

 

그림 10. 유스티드 I유적의 7호분 평면도와 출토유물, a-돌, b-숯, 1-목제 쟁반, 2-토제 항아리, 3-목제 칼(철제품의 이미테이션), 4,5-구슬, 6-청동단추, 7-펜던트

 

그림 11. 유스티드 I유적의 10호분 평면도와 출토유물, 1-재갈, 2-버클장식, 3,4-원판형 장식, 5-전투용 도끼와 자루, 6-원판형 장식, 7-검, 8-칼, 9,10-칼, 11,12-항아리, 13-금박, 14-검은색 물감의 범위, 철제품(1,9), 뿔제품(2~4), 청동+목제(5), 목제(6), 청동(7,10), 토제품(11,12)

 

그림 12. 유스티드 I유적의 10호분의 출토유물, 그림 10과 번호 일치

 

유스티드 I유적과 유스티드 XII유적을 비교해보면 동물문양장식이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특히 유스티드 XII유적에서는 모자에 달던 동물문양장식으로 산양화된 사슴, 말, 사슴장식등이 남녀의 무덤에서 출토되었다. 그러나 이 유적에서 모자에 달던 목제 동물문양장식은 3호의 아이에게서만 출토되었다. 뿐만 아니라 활이 존재한 무덤도 2호 뿐이다.  무엇보다 이 유적에는 말이 있는 무덤은 10호 뿐이다. 대부분 말 없이 매장한 유적이다.

 

그 외에 유스티드 I유적에서만 출토된 유물도 있다. 2호에서 출토된 자작나무 껍데기와 막대기, 6호에서 출토된 돌 베개(그림 8-11, 12), 7호의 목제 칼(그림 9-3)과 상감된 구슬(그림 9-4,5)이다.

돌 베개는 평면도의 그림과 쿠바레프의 설명으로 보아서 파지릭 2호분과 파지릭 5호분에서 출토된 목침과 비슷한 형태이다. 목제의 이미테이션인가 싶기도 하다.

2020/03/27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파지릭 유적 2호분] - 2500년 전 알타이 산 파지릭 무덤방 안, 관의 내부사정

 

2500년 전 알타이 산 파지릭 무덤방 안, 관의 내부사정

2500년 전 시베리아의 알타이 산의 파지릭 계곡의 무덤에는 남성과 여성이 함께 묻혔다. 남성과 여성 모두 미라 처리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발굴당시에 루덴코가 본 것은 이미 산산히 조각난

eastsearoad.tistory.com

 

 

쿠바레프는 이러한 유적 간의 차이를 시간차이로 보았다. 유스티드 I유적은 유스티드 XII유적 보다 늦은 기원전 3세기로 보았다. (그러나 약간 조정이 필요하다.)

말이 무덤 안에서 사라진 것은 스키타이 문화의 마지막 시기여서 그럴 수도 있고, 어쩌면 사회적인 큰 변화가 있었을 수도 있다.

스키타이 문화 이후에는 다시 무덤 속에서 말이 확인되기 때문에 이 유적만의 특수한 현상일 수도 있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91 : Курганы Юстыда. Новосибирск: 1991. 194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의 계곡 중에 한 곳인 ‘유스티드’는 러시아어가 아니다. 뜻은 백개의 낙엽송이고, 발음은 ‘우스 티트’라고 한다고 백년전의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정확하게는 ‘우스’는 고대몽골어로 물이라는 뜻이고, ‘티트’는 알타이어로 ‘낙엽송’이라는 뜻이다(쿠바레프 1991).

1930년대 처음에 러시아인 탐험가이자 지질학자가 방문했을 때 말 그대로 추야 강과 그 지류인 유스티드 강의 계곡에는 낙엽송이 즐비하게 서 있었다. 그 때 타샨타 마을이 처음 만들어졌다.

 

유스티드 XII유적에서 아주 특이하게 21~23호의 상부를 덮은 돌이 서로 연결된 것처럼 보였다(어제 포스팅 참고). 21호는 무덤방 안에 따로 무덤방을 썼다. 22호도 비슷한 무덤구조이다. 유스티드 XII유적에서는 이를 제외하고는 찾아 볼 수 없다.

 

 

그림 1. 유스티드 XII유적의 22호 무덤, 그림의 번호는 그림 2에서 확인

 

그림 2. 유스티드 XII유적의 22호 무덤 출토유물, 1- 청동재갈, 2-목제 재갈멈치(그리핀 얼굴이 달림),3-동물문양장식 펠트조각으로 모자장식의 일부, 4-목제 동물문양장식, 5-8: 목제 말과 사슴모양의 동물문양장식, 9-머리띠 장식, 붉은색 물감, 10-목제 화살촉, 11-목제 화살대, 12-목제 고리트 고정판, 13-청동투부, 14-청동 단검, 15-칼, 16-검은색 염색한 가죽 주머니, 17-청동단추, 18,19-허리띠 버클, 20~22: 허리띠 장식판, 23-옷의 상부장식, 24-토제 항아리, 25, 26-원판형 장식, 27-목제쟁반, 28-철제 칼, 29-무덤 시상대

 

이 무덤은 앞에서 본 무덤의 출토품과 다르다. 그냥 단순히 21번 무덤과 비교해도 상당히 차이가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재갈과 재갈멈치이다. 이 유적의 재갈멈치는 잘 남아 있지 않았으나 대부분 21번 무덤과 같이 재갈멈치의 끝이 구형 장식이다. 그러나 22호에는 그리핀 장식이다. 무엇보다도 이 무덤의 말은 청동재갈을 물고 있었다. 그리고 청동으로 만든 단검, 단추는 다른 무덤에 없었다. 

 

유물로 보아서 21호와 22호는 동 시대의 사람이라고 이해하기는 힘들지만 무덤을 덮은 것은 같은 시간이다.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91 : Курганы Юстыда. Новосибирск: 1991. 194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 산맥의 유스티드 XII유적 8호 소년의 머리에는 나무로 된 투구모양의 모자(길이 8~9cm, 두께 0.5~0.6cm)가 발견되었다. 귀부분은 따로 끼울 수 있게 제작되어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되었고, 머리꼭대기에는 말 장식이 부착되었다.

 

이러한 유물은 이 유적의 7호분과 인접한 울란드릭크 II유적 8호와 울란드리크 III유적의 1호에서만 출토된다.

7호 역시 무덤방 크기(100×79cm)가 매우 작은 무덤방으로 보아서 아이의 무덤이고 비슷한 모자를 쓰고 묻혔던 8호 남자아이와 무덤 부장품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남성아이는 전투용 칼, 목제 검, 활과 화살을 가지고 있었으나, 7호에는 없다. 여성아이이다.

 

2020/10/02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유스티드 고분 XII] - 알타이 어느 계곡의 여성과 아이무덤, 왜?

 

알타이 어느 계곡의 여성과 아이무덤, 왜?

알타이 유스티드 계곡의 유스티드 XII유적에서 여성 1인 무덤(19호, 10호), 여성과 남성이 함께 매장된 무덤(20호), 여자아이 2명(11호), 여자아이 1명(6호) 등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여성이 매장된 경�

eastsearoad.tistory.com

 

그림 1. 유스티드 XII유적의 7호분 무덤방 평면도, 1-목제 쟁반 편, 2-목제 잔의 고리모양 손잡이, 3-목제 잔의 동체부 편으로 청동클립이 끼워져 있음. 4-자작나무 껍질, 5-말 모양의 조각이 붙은 목제 모자, 6, 7-산양화된 사슴조각, 8-항아리편, 9-철제 칼 칼, 10-나무상자형의 목제관, 11-목침, 12~14: 금박 편, 목제(1,2,5,6,7,10,11), 목제+청동(3), 자작나무껍질(4), 토제(8), 철제(9)

 

그림 2. 유스티드 XII유적의 7호분의 유물, 그림1과 번호일치

 

유스티드 계곡과는 멀지는 않지만 다른 강인 울란드리크 계곡의 무덤에서 나온 유물은 10~12cm(두께 0.6~0.9cm)이다. 1점은 머리상부에 동물문양장식이 있고, 다른 한 점은 없다. 그런데 이 유적에서는 모두 남성(울란드리크 III유적 1호)과 소년의 무덤(울란드리크 II유적 8호)에서 출토된 것으로 울란디르크 계곡의 유적을 먼저 발굴했기 때문에 아마 유스티드 XII유적을 발굴하기 전에는 남성의 전유물처럼 생각되었을 것이다.

울란드리크 III유적과 울란드리크 II유적에서 나온 유물은 처음에 ‘빗모양 모자장식’이라고 불렸다(그림3). 사실 이 유물은 모자와 같이 입체적이지 않고 납작하다(유스티드 XII포함). 그래서 가죽이나 펠트 같은 곳에 덧대어 모자를 장식했던 유물로 생각되었다. 더욱이 두 유적에서는 머리의 위치에서 발견되지 않고, 동물모양이 붙은 것(그림 3-왼쪽)은 피장자의 가슴부위, 붙지 않은 것은 피장자와 떨어져서 목제쟁반에 놓인 곳 위에 출토되었다. 유스티드 XII유적에서는 어린아이의 머리위에서 확인된 것과는 차이가 있다.

 

그림 3. 울란드리크 III유적(좌)과 울란드리크 II유적(우) 출토 모자장식

 

유스티드 XII유적의 7호분(그림 2-7)유물은 확실히 ‘빗(comb)’보다는 투구모양에 가깝다.

쿠바레프는 머리의 모자장식에 목제 동물문양을 부착하는 것은 파지릭 유적의 2호분 남성 모자장식을 떠올렸다. 파지릭 2호분의 남성모자 중에서 모자부분은 펠트로 만들어지고, 상부는 화려한 상상의 동물인 그리핀이 사슴을 물고 있는 모자장식의 평면모습이 유스티드 XII유적 및 울란드리크 III과 울란드리크 I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과 같기 때문이다. 물론 비교할 수 없이 파지릭 2호분의 유물은 정교하고 화려하지만 비슷한 의미일 수도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전제는 파지릭 2호분이 이들 유적보다 이르다고 생각해서이다.

 

2020/03/25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파지릭 유적 2호분] - 2500년 전, 시베리아 알타이 산의 그리핀 달린 남성의 코로나

 

2500년 전, 시베리아 알타이 산의 그리핀 달린 남성의 코로나

2500년 전 시베리아 알타이 산의 파지릭 계곡에는 그 때 사람들이 남겨 놓은 공동묘지가 있다. 우리는 인간이 남겨 놓은 옛날의 장소를 유적이라고 부른다. 이 공동묘지는 계곡의 이름을 따서 파�

eastsearoad.tistory.com

 

 

일단 이들 유물의 공통점은 10cm내외의 소형이며, 납작하다. 1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아이무덤에서 출토되었는데, 울란디크리 III유적 1호분만 성인남성이다. 출토위치도 피장자의 주변이 아니고 그릇 두는 공간에서 출토되었다. 또 모자장식에 동물문양장식도 없다. 혹히 이 남성이 아이일 때 쓰던 물건인데 그냥 나중에 발견해서 넣은 것일까? 알 수 없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쿠바레프 1987, 울란드리크 쿠르간)

Кубарев В.Д. 1991 : Курганы Юстыда. Новосибирск: 1991. 194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