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2. 3. 2.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기원전 5세기 알타이에서는 사용된 동물문양장식은 다양하다. 몸을 말고 있던 호랑이의 자세 변화는 기원전 7세기 시베리아 부터 확인되지만 다른 동물의 요소가 합성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호랑이의 변화는 아니지만 합성동물이라는 점에서 독수리 머리에 호랑이 귀가 달리기 시작한 것은 이 시점 이다.

 

호랑이의 적극적인? 합성은 기원전 6세기부터 발견된다. 독수리 부리와 날개를 단 호랑이가 대표적이다. 변형되지 않은 호랑이, 사슴뿔 달린 호랑이 같은 유적에서 발견된다.

그림 1. 바샤다르 유적의 그리핀

 

 

하지만 기원전 5세기가 되면 변형동물은 더 적극적으로 된다. 특히 독수리 부리와 날개를 단 호랑이에게 화려한 사슴 뿔을 달게 만들었고, 그 끝에는 새 머리가 달려 있다. 또 몸통은 호랑이가 아닌 말이다. 파지리크 유적이나 아크 알라하 3유적,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문신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이다.

 

그림 2. 문신 속의 그리핀

 

그림 3. 파지리크 유적의 말 가면

 

그림 4. 파지리크 유적의 말 복원도

 

그림 5. 아크 알라하 3유적의 그리핀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말에게 씌운 말 가면이 발견되는데 사슴뿔이다. 아마도 말에게 사슴뿔을 씌워서  살아 있는 그리핀(그림 3, 4)처럼 보이도록 꾸몄을 것이다. 스키타이 세계에서 맹금, 맹수, 굽동물을 모두 합성시킨 예는 알타이 뿐이다. 

 

 

바샤다르 유적에서 발견된 그리핀(독수리머리+호랑이머리)의 머리(그림 5)만 이용한 굴레장식은  아크 알라하 3유적, 아크 알라하 1유적에서 사용되었다. 파지리크 유적의 마구 장식에도 일부 이용된 것은 있지만 그림 1의 머리를 가장 많이 이용한 것은 아크 알라하 3유적이다.

문신을 한 미라가 남아 있는 유적 중에서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그리핀(독수리부리+호랑이머러) 보다는 산양, 사슴 등의 마구 장식을 많이 이용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3. 1.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고대 알타이에서 발견된 동물문양장식 중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에 하나는 호랑이처럼 보이는 동물이다. 호랑이는 대체로 변형되었다. 독수리 부리와 날개를 달고, 목덜미에는 갈기가 표현된 것은 기원전 6세기 투엑타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맹수와 맹금의 합성이라는 점에서 그리핀이라고 불린다.

 

그림 1. 투엑타 유적의 그리핀

 

그런데 매우 드물지만 사슴뿔을 달고 호랑이를 변형한 경우도 있다. 다른 유적에서는 볼 수 없다. 어쩌면 이를 만든 사람은 사슴뿔이 더 중심적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왜냐하면 바샤다르 유적에서는 사슴뿔을 흉내낸 유물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목제로 만들어진 산양 뿔(그림 3)은 말에게 씌웠을 것이다.

 

그림 2. 바샤다르 유적의 변형 호랑이

 

그림 3. 목제로 제작된 사슴뿔

 

호랑이 가운데는 부리를 달리 않고 한쪽 날개만 달고 있는 변형동물도 있다. 투엑타 유적의 머리 장식으로 추정되는 조각품도 있다(그림 4). 파지리크 유적의 문신(그림 5)과 울란드리크 유적의 목걸이 장식(그림 6)으로 발견된다.

 

그림 4. 투엑타 유적의 머리 장식

 

그림 5. 파지리크 유적의 문신

 

그림 6. 울란드리크 I유적의 목걸이 끝장식

 

그런데, 이들 유적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아크 알라하-3유적이나 아크 알라하-1 유적에서 발견된 변형동물은 독수리부리를 달고 있는 호랑이 변형이다(그림 1). 또 파지리크 유적에서도 이러한 변형동물은 적고 날개 달린 호랑이, 늑대변형동물 등이 있다. 그리고 말의 몸통에 사슴뿔을 달고 독수리 부리를 단 동물도 있는데, 이 동물은 아크 알라하-3유적이나 베르흐 칼쥔 II유적에서 발견된다.

어떤 특정 동물을 주체로 해서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것은 고대 알타이인에게서만 볼 수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2. 27.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기원전 6세기 알타이 바샤다르 유적 2호 통나무관에는 호랑이가 열을 이루고 있는 동물문양이 발견되었다. 호랑이는 머리를 숙이고 서 있는 자세이다.

 

이 유적에서는 또 말의 재갈멈치에 장식되면서 S자형을 이루는 것도 있지만, 호랑이 머리만 따로 표현된 것이다. 전신이 표현된 호랑이와 비교하기에는 자연스럽지 않다. 바샤다르 유적의 전신형 호랑이는 몸통에 파상으로 채워졌다.

 

그림 1. 바샤다르 유적 2호 통나무관

 

그런데 기원전 5세기 유적에서는 서 있는 모습은 발견되지 않고 자세를 낮추고 앉아 있는 모습의 호랑이 문양이 발견된다. 특히 울란드리크 I유적의 12호 유적에서는 목걸이 장식으로 발견되었다. 호랑이 장식의 몸통에는 동심원 문양이 잘린 채 새겨져 있다. 꼬리의 끝은 길게 말려 있으며, 날개가 표현되어 있다(그림 2).

 

그림 2. 울란드리크 I유적 12호 남성의 목걸이 장식

 

그런데 이와 유사한 호랑이 장식은 표트르 1세의 수집품 가운데서 목걸이 끝장식으로 발견된 바 있다. 앉아 있는 자세와 꼬리를 말고 있는 모습은 거의 유사하다. 또 몸통을 문양으로 채웠는데, 앞다리와 뒷다리, 몸통을 기호화 해서 채운 것이다. 꼬리 끝에는 독수리 머리가 달려 있다(그림 3).

 

그림 3. 표트르 1세의 황금 유물 콜렉션

 

 

바샤다르 유적의 호랑이 보다 이른 시기에서 전신형 호랑이가 발견된 곳은 투바의 아르잔-2호이다. 5호묘 남성 주인공의 검 장식으로 사용되었다(그림 4). 반원형에 가까운데 서 있는 모습으로, 호랑이의 몸통을 털로 표현했다.

 

그림 4. 아르잔-2호의 철제 검

 

기원전 5세기 이후에 호랑이는 매우 다양하게 변형되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2. 26.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기원전 6~5세기 알타이에서 발견된 동물문양장식은 변형된 동물을 표현한 것이 많다. 가장 알타이 다운 것은 피장자의 몸을 장식했던 문신이라고 생각한다. 호랑이를 주인공으로 해서 변형한 것이 가장 대표적이고 말의 몸통에 독수리 부리를 달고 있는 아름다운 문양들도 발견된다. 또 다양한 것 들이 있다.

 

그런데 매우 단순한 알 수 없는 동물문양도 있다(그림 1). 이는 매우 알타이적이지 않다. 사실적이면서도 양식화(스타일화)하는 것이 큰 원칙인데, 잘 알 수 없는 동물문양이라니...

바샤다르 유적 2호에서 발견된 안장에 달았던 장식이다. 뭔가 모르겠는 문양이다. 단지 몸통이 긴 두 마리 동물이 S자형을 이루고 있다.

 

그림 1. 바샤다르 유적 2호의 안장장식

 

이 동물을 표현한 것이 그리핀의 머리 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아크 알라하 1 유적의 1호(그림 2,3)의 유물 때문이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안장 장식에서 발견 S자형에는 그리핀의 머리가 표현된 것이 발견되었다. 같은 유적의 안장장식에는 전신 그리핀이 표현된 것(그림 4)이 있는데, 그 머리와 표현이 유사하다.

 

그림 2. 아크 알라하 1유적

 

그림 3. 아크 알라하 1유적의 안장장식

 

그림 4. 아크 알라하 1유적의 안장장식

 

보여드린 펠트제 그리핀은 이 유적의 남성전사 말을 장식했던 굴레장식(그림 5)으로도 사용되었다.

 

그림 5. 아크 알라하 1유적의 굴레장식

 

 

목을 S자로 구부리고 있는 독수리머리 그리핀은 같은 문화권내에서 알타이에서만 발견되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2. 25.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고대 일천년기에 유라시아에 살았던 유목민들에게는 동물문양장식이 유행했다. 그중에는 그리핀이라고 불리는 문양이 있다. 아시다시피 맹수와 맹금의 결합동물이라고 알려졌다. 사실 이 이름은 두 동물을 결합한 문양을 고대 오리엔트 지역에서 부른 것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북방의 초원에서는 맹수는 주로 호랑이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핀’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은 흑해지역을 먼저 발굴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방 초원 스키타이 지역에서 제작된 그리핀은 상당히 변덕스럽고(다양하고) 종류가 많다.

 

그리고 그리핀 중에는 독수리의 날개를 사용하지 않은 변형동물들도 상당히 있다. 특히 알타이의 문신에서 사용된 동물문양이다. 독수리의 머리(특히 부리)는 사용했지만 날개 표현을 따로 하지 않았다(그림 1). 파지리크 유적 2호 남성의 좌측 무릎 아래 변형동물문신도 날개는 표현되지 않았다.

 

그림 1. 알타이의 문신

 

그림 2. 파지리크 유적 5호 남성 어깨 문신

 

파지리크 유적 5호의 남성 우측 어깨에는 호랑이변형 문신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도 날개는 없다. 호랑이 목덜미에 표현된 것은 아마도 말의 갈귀를 표현했을 수 있다. 늑대변형 그리핀을 문신한 파지리크 2호의 남성은 호랑이 변형 장식도 있었다.

 

알타이의 문신에서 발견된 변형동물들은 주로 독수리의 부리를 표현했지, 날개는 없었다(그림 2). 하지만 안장장식에는 날개 달린 변형동물들도 있다. 확실히 두 문양은 기원지가 다를 수 있다.

 

그림 3. 파지리크 유적 2호의 안장장식

 

변형된 동물을 대표하는 그리핀은 기원전 2000년기 고대 오리엔트 지역에서 생겨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슷한 시점에 시베리아에서도 청동기시대 사슴돌에 그려진 동물문양은 변형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변형동물의 전통이 한 곳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래서 중요한 것은 그리핀이라고 불리는 변형동물을 잘 분류하는 것이다.

 

2022.01.25 - [스키타이 동물장식] - 고대 초원의 사슴돌

 

고대 초원의 사슴돌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가장 이른 유적 곳인 투바의 기원전 9세기 아르잔-1호에서는 몸을 말고 있는 맹수장식이 발견되었다. 줄여서 전신형 원형맹수장식이라고 부르겠다. (이 맹수장식은 청동으

eastsearoad.tistory.com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