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홍산문화의 무덤을 필자는 6가지로 구분한다.(앞선 표에서는 숫자로 했으나, 여러생각 끝에 형식명칭을 바꾸었다. 1->가, 2->나, 3->다, 3`->다`, 4->라, 5->마, 6->바).

 

그림.우하량 유적의 무덤형식(김재윤 2019)

 

매장주체부

석관묘의 벽석

석관없음

묘역

형식

그림번호

지상

지하 토광(깊이)

여러 매

한매

토광묘

있음

없음

여러 단

한 단

가로

비스듬

수직

비스듬

 

 

 

 

 

 

 

 

 

1

 

 

 

 

 

 

 

 

 

2,3,4

 

 

 

 

 

 

 

 

 

5,6

 

 

 

 

 

 

 

 

 

7

 

 

 

 

 

 

 

 

 

8

 

 

 

 

 

 

 

9

 

 

 

 

 

 

 

10

표의 그림번호는 그림번호와 일치한다.

 

그 기준은 매장주체부(시신을 안치하는 곳)이 지상인가, 지하인가부터 시작한다

지상(그림1), 지하(그림2~10)를 살피는 경우는 선사시대에는 거의 없는 일이다. 왜냐하면 다 지하에 있으니깐.

그러나 우하량 유적에서는 딱 1곳(그림1)이 있다. 그래서 구분한다.

생각해보면, 매장주체부를 지하에 둘 것인거, 지상에 둘 것인가는 엄청난 차이이다.

 

엄청난 차이?

 

1. 축조방법의 차이

무덤의 구조와 관련되어 있고, 드는 비용도 어마하게 차이가 났을 것이다.

필자는 왜 이런무덤이 한 곳만 있는지도 의문스럽다. 어쨌든 매장주체부를 지상에 두는 것과 지하에 두는 것은 차이가 크다. 그래서 당연히 둘은 구분되어야 하고, 무덤의 구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1번 기준이다.

중국의 저명한 고고학자인 곽대순은 이를 무시하고 ‘중심대묘’라는 거창한 이름하에 그림 1,2,3,5를 모두 같은 형식(카테고리)안에 묶었다. 이런건 바로 까야 한다.

 

2. 묘광의 단수

매장주체부가 지하로 들어가 있는 건 공통이지만, 한단파는것과 여러 단 파는 것은 당연히 차이가 크다. 역시 노동력과 드는 비용이다.(나는 그런식으로 생각하며, 이런 구분 기준을 마련한다.)

주로 나형식으로 구분된 무덤이 여러 단 판 것이다. 곽대순은 중심대묘라 부르는 것은 그림 3과 같이 양단을 판 것과, 그림 4번과 같이 한쪽 만 판 것을 계단식묘라 하여 구분했다. 그러나 나는 같은 카테고리로 보았다. 그림 2는 한쪽만 깊이 팠지만, 곽대순은 중심대묘라고 부르는걸 보아서 본인도 구분 기준이 모호하다.

필자가 그림 3과 그림 2,4를 같이 묶는 이유는 드는비용과 노동력이 한 단파는 것 보단 많이 들지만, 구체적으로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까지 설명이 안되기 때문이다. 즉 구분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보이는 대로 잘라서 설명하면 모든 유물과 유구는 그냥 다 다르다고 결론이 난다. 그러면 모든 유물과 유물은 그냥 인간생긴대로 다 다르다는 결론은 좋은 유추법이 아니다.

 

3. 석관의 벽석

무덤을 만들 때 토광을 파고 그 다음은 석관을 넣는다.

석관도 납작한 돌을 쓰는 경우와 덩어리돌을 쓰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 경우는 우하량 유적에서는 보이는 대로 구분은 되지만, 그 구분의 의미가 모호했다. 가령 그림1은 덩어리 돌을 사용했지만, 그림 2, 3과 4는 납작한 돌과 덩어리돌을 섞어서 썼다. 만약에 납작한 돌을 가령 좀 더 노동력이 더 투여된 무덤에서 주로 쓴다면 그림1~4번에 집중해서 썼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별꺼 없어보이는 그림 8과 같은 무덤에도 납작한 돌은 쓰인다. 또 이차장(뼈만 추려서 넣은 경우)무덤인 그림 7에도 납작한 돌은 사용된다. 그럼 덩어리 돌이 납작한 돌 보다 노동력이 더 투입되는 무덤에서 주로 쓰이는가?도 살펴보았으나, 답은 없었다.

그래서 이 유적에서는 납작한돌과 덩어리돌은 그렇게 좋은 구분의 기준은 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고, 그래서 벽석의 구분에는 여러 매를 쓰는 경우와 한 매를 쓰는 경우로 나누었다.

 

4. 석관묘없음

당연히 석관묘 없는 것은 따로 구분되어야 한다. 노동력과 석관제작에 드는 비용이 현저하게 적기 때문이다. 그런데 필자는 이 유적에서 무덤의 형식이 계급을 의미한다고 단정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가 이 토광묘 때문이다. 토광묘에서도 옥기가 출토되며, 사구통형기라고 했던 그 유물도 출토되기 때문이다. 만약 곽대순이 주장한바 대로 우하량유적에 묻힌 사람들이 홍산문화의 제사장무덤으로서 계급대로 묻혔다면, 토광묘에는 옥기가 없어야 한다. 반대로 석관묘에는 대부분 옥기가 있어야 하지만, 다 형식의 경우는 옥기가 없는 무덤이 허다하다. 가장 큰 그림 1에는 옥기가 하나도 없다.

 

5. 묘역

무덤의 가장자리를 묘역이라고 한다. 이것도 노동력과 축조비용이 듬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묘역도 단순한 석관묘와 토광묘에서 확인된다.

 

6. 일차장과 이차장

만약에 모든 무덤이 신체크기와 비슷한 크기였다면, 이 부분은 필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유적에는 이차장 무덤이 몇 기 확인되었다. 그렇다면 이 부분도 고려되어야 함으로, 일차장과 이차장도 나눌 수 있다. 크기는 작지만 대부분 석관묘이다. 구체적으로 다형식으로 보이는 석관묘이다. 그래서 다`라고 명명했다. 일차장과 이차장이 아니라면 거의 무덤구조는 같다고 보기 때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미래의 인디아나존스를 위해서.. > 고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oo하층문화와 oo상층문화  (0) 2019.09.04
고고학이란?  (0) 2019.08.14
홍산문화 우하량 유적의 무덤  (0) 2019.07.28
신석기혁명과 과제  (0) 2019.06.04
오늘 수업...  (0) 2019.04.16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