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1. 10. 11.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해발 2500m 높이의 알타이에 위치한 아크 알라하-3 유적 여성미라는 문신이 새겨져 있다. 물론 이 뿐만 아니라 파지리크 유적 2,5호분의 남성, 베르흐 칼쥔 II유적 남성도 문신이 있다. 바샤다르 유적에도 미라처리된 시신이 부장되었지만 상태가 좋지 않아서 알 수 없다. 이를 제외하고는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미라는 대부분 문신이 있다.

 

아크 알라하-3유적의 여성에게는 우측 어깨부터 손목까지 문신이 남아 있는데, 아름다운 사슴형 그리핀 아래에 팔 관절과 손목 사이에는 3마리의 동물그림이 있다. 그 중에 한 마리는 맹수의 발톱과 꼬리(그림 1-3)로 처리되어서 맹수의 변형처럼 보인다. 이 외에도 큰뿔양(그림 1-1)과 점박이 표범(그림 1-2)처럼 보이는 동물이 남아 있다. 큰뿔양은 파지리크 유적 2호의 남성 우측팔에서도 발견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는 어깨부터 차례대로 내려오는 동물(그림 2-1~3)은 머리 방향이 같은데, 큰뿔양(그림 1-4)을 기준으로 그 아래 동물은 삼각구도를 이루고, 맹수(그림 1-6) 및 사슴형 그리핀(그림 1-5)에 가깝다. 뿐만 아니라 파지리크 유적 5호의 여성미라 우측 손목 위에도 세 마리의 맹수가 3마리 굽동물을 공격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이곳에서 맹수 중에 호랑이와는 다른 점박이 표범(그림 1-7)이 발견된다. 아크 알라하-3유적 여성에게서 보이는 것과 같다.

 

그림 1. 파지리크 문화의 미라 우측손목 위에서 발견된 대립구도의 동물문양

 

그림 2. 파지리크 유적 2호 남성 우측 팔 문신

 

그래서 파지리크 문화(알타이 지역 스키타이 문화)에서 우측 팔목부근에는 세 마리 혹은 그 이상의 동물이 대립하는 장면이 새겨져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왜 거기에 그 문양을 그려쓴지 무엇을 염원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언제나 먹고사는 문제가 가장 큰 걱정거리이니 오늘 저녁 먹거리를 기원하며 그렸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려져 있다. 어쩌면 활의 시위를 당기면서 보이는 부분일 수 있으니 특별히 그렸을 수도 있다.

 

 

예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파지리크 문화에서 유기물질이 잘 남아 있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덤의 구조 때문에 생긴 무덤 아래 결빙층 때문이다. 그래서 일반사람들도 문신을 즐겼는지는 알 수 없다. 알타이의 추야 강 계곡에서 발견된 바르부르가지 I유적의 25호에서는 간단한 석관묘 유적에서 미라가 나왔다. 파지리크 유적이나 기타 대형 무덤에 비해서 대단히 소략한 무덤이지만 미라가 나와서 기원전 4세기 무렵에 시신을 미라 처리하는 것은 그 이전 보다는 일반인?들에게도 퍼졌다고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피부는 남지 않아서 문신의 여부는 알 수 없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