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이제까지 보여드린 스키타이 여신인 거울을 들고 있는 여신인 티파티가 표현된 네모꼴의 장식판은 여성의 베일에 달렸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거울을 들고 있으면서 몸을 돌리고 있는 여성이 있는 긴네모꼴의 장식판은 머리를 장식한 것이다.

그럼 어떻게 착장했을까?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여성장식판은 긴 베일에 장식된 것으로 모두 58기가 출토되었다.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주요매장자는 여성인데, 그녀는 장식판에 표현된 모습과 흡사하게 치장되어 매장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림 1. 체르토믈리크 유적(기원전 4세기)에서 나온 장식판

 

그림 2. 무덤에서 나온 장식판, a- 크라스느이 페레콜 22호 쿠르간 2호묘, b-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주요 여성피장자와 출토유물(부분 복원), c-노보셀라흐 쿠르간 4호(기원전 4세기)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여성은 머리띠를 두르고 있고, 베일을 쓰고 있으며 관자놀이에 둥근 장식을 달았고, 목걸이, 팔찌, 반지 등을 착장했고 거울도 발견되었다. 베일에 붙은 장식판에 자신과 닮은 여성이 표현된 있었다(그림 1). 앞머리와 베일 사이에는 삼각형 장식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다른 유적에서 출토되기 때문이다(아래포스팅 참고).

 

그림 3. 스키타이 여성 머리장식 복원

 

그림 3에서 이용된 머리장식은 이미 소개한 바 있는데 카라고데야쉬흐 무덤에서 출토된 장식판 자체가 삼각형이기도 했고, 거기에 표현된 여성도 같은 형식의 머리장식을 하고 있었다.

포스팅(쌍두마차, 1224)

 

그럼 사하노프스키 쿠르간에서 출토된 긴 네모꼴의 장식판(그림 8)은 어떻게 착용한 것일까?

 

미로시나는 이 납작한 장식판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이미 우리가 본 적이 있는데 아르김파사 가운데 가장 덜 정교하게 만들어진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에서 출토된 여성은 마치 머리를 붕대를 감은 모습처럼 하고 있었다(그림 4). 그리고 체르토믈리크 유적에서 출토된 또 다른 장식판에는 베일을 쓴 여성이 있는데, 이 여성의 머리스타일(그림 5)은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의 여성과 거의 비슷하게 끝이 편평하다. 뿐만 아니라 알타이 파지리크 유적 5호에서 남녀가 등장하는 카펫속에서 여성의 머리장식 모습이 머리끝은 편평하지만 삼각형 장식이 있는 모습이었다(그림 6).

 

그림 4.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의 머리장식(기원전 4세기)

 

 

그림 5. 체르토믈리크 유적(기원전 4세기)에서 출토된 황금장식판

 

그림 6. 알타이 파지리크 5호(기원전 5세기)의 카페트

 

그림 7. 동유럽 스키타이 머리장식 티아라 

 

그림 8. 사흐노프스키 쿠르간(기원전 4세기)

 

그래서 머리끝이 편평하며 모자같이 생긴 장식이 있고 그 아래 이마를 가로질러 띠처럼 두르도록 하는 장식이 필요한데 이때에 사용된 장식판(그림 8) 일 수 있다.

 

그런데 머리끝이 뾰족한 여성모자는 흑해지역에서는 기원전 5~4세기대에 나오지만, 시베리아에서는 기원전 7세기 아르잔-2호의 여성에게서 이미 확인되었다. 이 점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Мирошина 1981 — Мирошина Т.В. Некоторые типы скифских женских головных уборов IV-III веков // СА. №4.(미로시나 1981, 기원전 4~3세기 스키타이 여성 머리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0. 12. 13. 13:20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현재 타지기스탄 국경으로 추정되는 아무다리야 퇴장지의 유물 중에 한 그룹은 인간형상물이다. 평면형과 입체형으로 구분되고, 거의 남성이다. 각 유물에 표현된 남성의 의상과 모자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 민족을 대표하지 않는다.

 

그 중에서 페르시아인으로 추정되는 은제 입상(높이 14.8cm)(그림 1)이 있다. 이 남성은 머리에 모자를 쓰고 있는데, 정수리가 낮은 스타일이다. 끈으로 뒤쪽으로 묶은 것으로 원통형 모자로 계단형으로 만들어서 티아라로 만들었던 생각된다. 특히 입상의 뒷면은 머리카락을 뒤로 말아서 접은 형태이다. 머리카락은 타래모양으로 말려 있다. 윗 옷은 긴 주름, 매우 넓고 느슨한 소매로 보아서 페르시아 복장이다. 발등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그림 1. 아무다리야 출토 은제 입상

 

B. Goldman(1974)은 전체적으로 보아서 불균형적으로 큰 머리, 짧은 팔, 긴 다리, 납작하고 단단한 입체상 등으로 보아서 기원전 5세기의 페르시아 귀족으로 생각했다. 기원전 5세기의 페르시아 귀족 복장이라는 점은 달턴도 지적했다.

 

그런데 달턴(1905, 1964)은 모자 상부에 고리가 돌아가면서 계단처럼 생기는 모양으로 보아 Achaemenid 왕조의 왕 중에 한명( Cyrus II)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바르네트는 달턴이 이 입상이 시러스II세를 입증하지 못한다고 생각했고, 거쉬만도 이 입상을 페르시아 왕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손에 들려 있는 물체가 신성함을 의미하는 나뭇가지 한 다발이 아니라 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 제이말도 거쉬만을 지지했다.

 

 

원통형 모자를 쓴 은제 입상은 얼굴생김새도 평면판에 등장하는 스키타이 인과 다르다. 큰 눈과 코 끝이 화살표처럼 생긴 모습도 그러하고, 수염 스타일도 스키타이 인이 턱 전체를 덮는 것과는 달리 턱 아래만 길게 길렀다.

실제로 페르시아 왕(남성)의 입상으로 추정하는 석상에는 뒷머리 스타일이 비슷한 유물이 발견된다. 라피스라줄리(청금석)에 조각되었는데(그림 2) 아파다나 궁전 벽에 새겨진 왕(그림 3) 들의 티아라는 원통형 끝에 이빨처럼 뾰족하게 표현되어 있다.

그림 3의 페르시아 남성들의 모자 혹은 티아라는 가장 상단이 이빨처럼 표현되어 있긴 하지만 그 표면도 굴곡이 있다. 그림 2의 티아라가 표면이 매끈 한 것과는 다르다. 그림 3에 나오는 모자는 금속이 아닌 두터운 직물로 제작되었다면 가능하지만 금속으로 저런 표현이 되는지 알 수 없다. 있다면 구부러지는 것이 쉬운 물질일텐데...

뿐만 아니라 그림 2의 입상이 남성인지도 의심스럽다. 유물 속의 페르시아 남성들은 수염을 기른 상태인데, 라피스 라줄리의 입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림 2. 페르세폴리스 32번 방 출토, 높이 6.6cm, 너비 6cm

 

그림 3. 아파다나 궁전벽에 새겨진 페르시아 남성들

 

그래서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적의 은제 입상은 모자 끝이 납작하고, 머리를 뒤로 말고 있는 스타일, 타래모양의 머리카락, 의복 등을 보아서 페르시아 인 일 가능성이 크지만 확실히 모자의 표현은 아파다나 궁전에 나오는 형상과는 차이가 있어서, 왕으로 추정하기는 힘들다. 

 

참고문헌

Goldman B. Origin of the Persian Robe. — «Iranica Antiqua», Leiden, 1974, vol. 4, fasc. 2, p. 133-152.

Dalton O.M. The Treasure of the Oxus with Other Examples of Early Oriental Metal-work. 2nd edition. London, 1926; 3rd edition. London, 1964.

Barnett R. The Art of Bactria and the Treasure of the Oxus. — «Iranica Antiqua», Leiden, 1968, vol. 8, p. 34-53, pl. II-XIV.

Е.В. Зеймаль 1979, Амударьинский клад: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제이말 1979, 아무다르리아 퇴장지: 전시도록, 에르미타주 박물관)

Curtis, N. Tallis. Forgotten empire: the world of ancient Persia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