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반지'에 해당되는 글 1

  1. 2020.12.14 스키타이 어느 유적에서 나온 반지와 도장2
2020. 12. 14. 12:56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아무다리야 퇴장지에서는 동물장식이 달린 팔찌 외에도 반지도 여러 점 출토된다. 단순한 링모양이 아니라 반지의 윗 부분(실드)에 타원형 장식이 달려 있다. 타원형판은 음각으로 표현된 것과 양각으로 표현된 것이 있다. 대부분 음각표현에는 동물과 인간이 새겨져 있고, 양각표현에는 기하학적 문양이다. 타원형 원판은 일종의 ‘도장’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믿어졌다. 타원형 원판의 크기가 대부분 1.6~1.7cm로 매우 작은데 세밀하게 조각되었다.

 

타원형 원판(직경 2.4cm)에 십자형으로 배열된 4개의 정사각형은 ‘십자가’형태이다. 시베리아 청동기시대 안드로노보 문화 연구가인 쿠즈미나(1977)는 이 모티브가 현재 아파카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까지 퍼져 있던 안드로노보 문화의 문양에서 온 것으로 생각했다. 이 지역의 안드로노문화의 토기문양과 반지의 문양이 유사했기 때문이다(그림1).

 

그림 1. 아무다리야 퇴장지에서 출토된 안드로노보 문양의 십자가 반지, 금제품

 

 

반지의 실드가 음각으로 처리되며 동물장식이 표현된 유물은 그리핀, 황소, 사슴 등이 있고 아케메니드 왕조의 문양으로 생각된다(그림 2). 특히 관을 쓰고 수염을 기른 사람의 얼굴이 달린 그리핀에는 문자가 새겨져 있다(그림 3의 왼쪽). 반지의 고리 부분이 매끈하지 않고 체인형인 유물도 (그림 2의 오른쪽) 있다.

 

그림 2. 아무다리야 퇴장지에서 출토된 반지 가운데 아케메니드 왕조의 문양반지.

 

그런데 동물이 표현된 반지 가운데 실드부분(직경 3.6cm)은 대부분 음각으로 표현되지만 양각으로 표현된 유물이 1점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반지에 비해서 매우 크다. 몸을 말고 있는 맹수장식으로 날개가 달려 있다. 스키타이 황금 유물을 제작한 방법으로 제작되었다고 앞서 포스팅했다. 이 유물 역시 일종의 도장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림 3).

2020/12/10 -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 스키타이 핸드메이드 제작기술: 두드리고, 깍고, 잘라내기

 

그림 3. 아무다리야 퇴장지에서 출토된 반지 가운데 스키타이 양식의 문양이 있는 반지

 

위에서 소개한 유물들은 그림 1의 안드로노보 문양 십자가 반지는 기원전 5세기, 다른 유물들은 기원전 4~3세기 유물로 생각된다(제이말 1979)

 

흑해지역의 스키타이 유적에서는 기원전 5세기 경에 도장이 달린 반지모양의 고리들이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원통형의 대롱모양의 돌에 인간과 동물을 음각한 유물이 있다. 이 유물은 점토판에 굴리면 음각된 표현이 점토판에는 양각으로 나타나서 도장의 역할을 한다.

 

시베리아의 청동기시대에 가장 많이 확인되는 유물이 링 모양의 귀걸이, 반지, 목걸이다. 그러나 알타이의 스키타이 무덤에서는 반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대신에 흑해지역에서는 도장역할을 하는 반지가 있는데, 양 지역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도장은 결국 어떤것의 상징이다. 이런 도장이 있다면 상징은 많이 만들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베리아에서 상징물은 결국 동물문양장식이니 그 제작방법이나 담긴 생각등이 다를 수 있다.

양 지역의 차이점은 인접한 지역과 관련성에서 나온 것일 수 있다. 흑해지역에서는 그리스, 페르시아 문화를 많이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Кузьмина E.E. Семантика изображения на серебряном диске и некоторые вопросы интерпретации Амударьинского клада. — В кн.: Искусство Востока и античности. М., 1977, с. 16-25(쿠즈미나, 1977, 아무다리아 퇴장지에서 출토된 은제 원판모양에 새겨진 상징에 대한 해석)

Е.В. Зеймаль 1979, Амударьинский клад: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제이말 1979, 아무다르리아 퇴장지: 전시도록, 에르미타주 박물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