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시베리아의 알타이 산에 25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진 파지릭 유적 2호분에는 55~60세 남성과 40대의 여성이 함께 매장되었다. 도굴되었지만 무덤의 크기나 남아 있는 유물, 미라처리된 시신 등으로 인해서 파지릭문화에서 가장 높은 계급의 인물들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파지릭문화는 스키타이문화(권)에서 알타이 지역에 속한 일종의 지역문화이다.

 

파지릭 유적의 2호분은 도굴되었다. 이미 남성과 여성 미라는 손상이 심한 상태여서 그들이 입고 있던 옷도 마찬가지이다. 여밈 없는 셔츠 두 벌이 확인되었는데, 하나만 복원되어서 그 형태를 알 수 있는 것인데, 남성의 옷이다(그림1). 인도산 면으로 직조된 직물로 만들어진 셔츠이다. 복원되지 못한 많이 찢겨진 셔츠는 너비가 44~45cm가량의 인도산 면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각기 4개의 천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것도 크기로 보아서 남성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림 1. 파지릭 2호분 출토, 남성의 상의, 여밈없는 셔츠, 에르미타주 소장

 

색도와 밀도가 다른 각기 3개의 천으로 만들어졌다. 전면과 후면의 판은 두 개 반쪽씩의 천으로 만들어졌다. 앞뒤면 하단의 가장자리는 쐐기모양으로 4조각을 앞뒤로 붙여서 아래로 갈수록 옷이 퍼지는 모양이다. 목선을 둥글고, 소매는 손목으로 갈수록 모아지는 형태이다(그림 2).

앞판의 가장 중앙에는 붉은 솔기 장식이 있고, 목, 밑단 및 팔목은 빨간색 레이스로 장식되어 있다(그림1). 전체 길이는 113cm이고, 어깨너비는 84cm, 하단의 너비는 125cm이다(그림2).

루덴코는 셔츠 두 장 모두 크기가 매우 커서 남성의 것으로 보고 있다.

소매, 목, 밑단 및 솔기 바닥의 마감은 여러 민족지 자료에서 보호의 의미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악령의 진입을 막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림 2. 파지릭 2호분 출토, 그림1의 패턴

 

우리가 이미 살펴본 얼음공주의 여밈없는 셔츠 역시 비슷한 스타일이다. 인도산 야생의 실크로 비슷한 형태이다. 이 무덤에서 출토된 셔츠와 같은 소재(인도산, 면)로 만들어진 옷을 입은 사람이 아크 알라하 5유적과 쿠트르쿤타스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의류가 남아 있는 파지릭문화의 무덤에는 셔츠가 확인된 유적은 몇 개 되지 않으며, 모피코트는 팔을 끼워서 착용하지 않고, 어깨에 걸친 채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수입직물로 만들어진 셔츠는 20세기 초 중앙아시아의 민족들에게도 흔한 의복이 아니었던 것으로 최상위 계급들만 입었는데, 그러한 경향은 이때부터 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루덴코는 남성의 셔츠와 여성의 셔츠는 성별에 관련없이 완전히 일치한다고 보았다. 여러 전통적인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보인다. 안에 입는 옷은 알타이 사람들은 남성, 여성, 아이들 없이 모두 같다(라돌로프 1989). 몽골의 여자아이 옷 또한 남자아이와 같다(비크트로바 1977). 시베리아의 많은 민족(축치, 코략, 토파족)들도 남성과 여성의 곳은 모두 같은 형태로 재단되었고 그 전통이 남아 있다(마레티나 1977).

알타이의 파지릭문화에서 확인되는 여밈없는 셔츠는 중국의 신강성 수바시 유적에서도 확인된다. 바느질, 마감, 색상 및 소재 등이 매우 유사하다.

 

파지릭 유적의 2호분에는 남성의 셔츠 외에도 아주 화려한 여성용 모피코트, 치마, 타이즈 등 완전하지는 않지만 그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는 유물이 많다.

 

 

참고문헌

폴로스막, 바르코바 2005 Полосьмак Н.В., Баркова Л.Л. 2005 : Костюм и текстиль пазырыкцев Алтая (IV-III вв. до н.э.). Новосибирск: «Инфолио». 2005. 232 с.(폴로스막, 바르코바, 알타이 파지릭문화의 의복과 직조물)

라돌로프 Радлов В.В. Из Сибири. Страницы дневника. М. 1989. М.: Наука, 1989. 718 с.(라돌로프, 1989, 일기장, 시베리아로부터)

비크토로바 1977, Викторова Л.Л. Монгольская одежда // МАЭ. Л.: Наука, 1977. Вып. 32. С. 169-199.(비크토로바 1977, 몽골의 의복)

마레티나 1977, Маретина С.А. Одежда народов северо-западной Индии // МАЭ. Л.: Наука, 1977. Вып. 32. С. 5-26.(마레티나 1977, 인도북서부지역 사람들의 의복)

루덴코 1953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에는 사람이 죽으면 미라로 처리하는 장례풍습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안다.

필자가 나름 자세하게 공개했지만, 이미 한국에서도 서울과 부산에 다녀간 적인 있는 시베리아의 ‘얼음공주’가 대표적이다. 그녀는 아크 알라하 3유적의 1호분에서 확인되었다.

거의 훼손되지 않은 완벽한 모습으로 발굴되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

 

알타이에 미라가 있는 무덤이 있다는 사실은 그 이전에도 알려졌다. 1920년대 발굴된 파지릭 유적에서도 알려졌을테고, 아마 그 전에 도굴한 사람도 알았을 것이다. 러시아가 시베리아의 유물을 수집했을 그 당시인 17세기에도 알았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성한 미라는 그 존재가 귀했기 때문에 ‘얼음공주’는 공주라는 호칭까지 얻을 수 있었다.

 

루덴코는 도굴에 의해서 무덤이 큰 손상이 없다고 했지만,,, 내가 발굴자라도 그런말을 했을 것 같다. 얼마나 안타까웠을까. 도굴된 무덤의 모습..그 고생을 하면서 팠는데, 도굴당했다니.

나도 읽는 내내 안타까웠지만, 그래도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얼음공주에서 얻지 못하는 정보도 얻을 수 있다....에 만족? 혹은 불만인 상태이다.

 

파지릭 유적의 2호분은 여성과 남성이 모두 미라로 처리되었고 통나무관은 1개 뿐인 무덤이었다.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얼음공주 미라를 설명할 때 언급했지만 미라를 처리할 때 가장 큰 과제 중에 하나가 관절을 끊지 않는 것이다.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여성미라에 비해서 파지릭 2호분의 남성은 온몸에 절개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관절을 손상시키지 않고 방부처리용액을 삽입하기 위해서 다리와 팔 안쪽을 따라 길고 얕게 절단을 했다. 그런 다음 말총으로 그 상처들을 꿰맸다.

 

엉덩이, 다리, 팔, 어깨에는 1cm가량의 구멍이 있었는데, 근육조직에 보존액을 주입했던 것으로 보이며 칼로 예리하게 절단되었다. 남성의 머리와 피부는 소량의 오일과 왁스가 혼입된 소지를 발랐다(바르코바 고흐만 2001).

머리의 두피는 다른 피부를 연결해 놓았는데, 도굴로 인해서 시신이 훼손되면서 오른쪽에서 왼쪽 귀로 이어 지는 부분만 남은 상태이다.

 

형질인류학적인 분석에 의하면 몽골로이드의 특징이고 키는 176cm, 체형이 매우 견고하고 탄탄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몸은 문신으로 덮여 있었으나 1947년에 발굴된 미라의 몸은 완벽하게 복원은 되지 못했다. 머리외에 팔과 다리만이 남아 있고 문신을 한 부분의 피부만이 남아 있다.

 

미라가 남아 있을 수 있는 이유는 피부에 방부처리를 한 엠버링 처리도 중요했지만 무덤 아래에 형성된 영구동토층이 아니었다면 힘들었을 것이다.

 

우리가 관찰하고 있는 이 파지릭 유적의 2호분 남성은 얼음에서 남성의 신체가 드러나자 말자 분해되기 시작했다. 연구와 보존을 위해서 문신이 있는 피부를 보존하기 위해서 피부만을 벗겨내었다. 

오른쪽 어깨에서부터 손목까지 문신으로 덮여 있고 일부는 등에도 남아 있다. 왼 팔은 오른팔과는 달리 손목 약간 위에 까지 문신이 새겨져 있다(그림 1-1). 오른쪽 무릎아래에도 문신이 남아 있었으나 왼쪽 무릎 아래에는 없었다. 문신의 그림은 주로 상상의 동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하이브리드 형 동물이다.

 

그림 1. 파지릭 2호분 출토 남성 미라(김재윤 편집)

 

우선 눈에 띄는 동물은 왼쪽 등의 견갑골에서 확인되는 꼬리가 길게 말려 올라간 짐승(그림 1-2,6)이다. 뒷다리 및 길게 말려 올라간 꼬리만이 남아 있고, 머리는 없지만, 꼬리 모양과 발톱 등으로 보아서 호랑이 혹은 표범 종류임을 알 수 있다.

 

오른쪽 팔에는 미라처리를 위해서 근육과 지방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후 절단을 한 다음 힘줄과 함께 꿰매고 문신처리를 한 흔적이 남아 있다(그림 1-3). 이러한 예가 많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오른쪽 팔뚝에 새겨진 문신(그림 1-1~)3은 발굽이 있는 동물이 다른 동물과 결합된 모습이다. 독수리의 머리, 새의 부리가 있고 뿔이 있는 환상의 동물이 그려져 있다. 발굽이 달린 그리핀의 이미지는 표트르의 시베리아 황금 컬렉션 뿐만 아니라 흑해 북안부터 시베리아, 중국동북지방까지 널리 퍼져 있던 문양특징이다.

 그리핀은 여러 동물이 다양하게 합성된 것이 확인된다. 파지릭 2호분 남성미라 오른쪽 팔(그림 1-2의 네모안)에 그려진 그리핀 가운데서 호랑이 몸체에 날개가 달린 그리핀은 같은 무덤에서 나온 말의 덮개 장식(그림 2)과도 비슷하다. 세부적인 표현은 다르지만 꼬리를 하늘로 들고 있고 발 모양,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등이 그렇다. 

 

그런데 어제 필자는 파지릭 2호분 남성이 매장 당시에 손을 겹치고 있었을 것이라는 루덴코(1953)의 설명을 그대로 전한바 있다. 그 근거는 파지릭 5호분의 남성이었다. 그러나 파지릭 2호분의 남성이 죽은 후에 미라 절개 후에 문신을 처리했다면 이는 불가능하다. 위의 그림대로 팔은 양팔을 뻗은 모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아마 루덴코는 이 부분을 놓친 듯 하다. 루덴코가 5호분 남성과 많은 연관을 시킨 이유는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는데, 차차 설명하기로 한다.

 

그림 2. 파지릭 2호분 출토 안장덮개

 

 

그림 3.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여성미라(얼음공주)

 

우코크 고원의 여성미라와 비교해 보면, 파지릭 2호분의 미라는 훨씬 넓은 범위에 그림이 그려졌다. 양쪽 가슴과 등에도 문양이 있으며, 무릎 아래에도 그림이 있다. 여성미라에는 가슴에는 그림이 없고, 이 남성처럼 온몸에 절개가 남지도 않다. 특히 파지릭 2호분의 남성미라는 복부에 절개가 많았던 것으로 전해지는데, 피부 밑의 지방을 제거하기 위한 흔적으로 생각된다. 여성미라에게는 없었다. 뿐만 아니라 남성의 등에는 가운데 척추를 따라서 작은 구멍이 2줄로 왼쪽에는 11개, 오른쪽에는 3개 있다(그림 1-8의 척추). 이 구멍은 남성이 살아생전에 의료 목적으로 치료를 한 흔적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바르코바, 고흐만 2001, Баркова Л.Л., Гохман И.И. 2001 : Ещё раз о мумиях человека из Пазырыкских курганов. // АСГЭ. [Вып.] 35. СПб: 2001. С. 78-90(바르코바, 고흐만 2001, 파지릭 유적의 미라인간에 대해서 다시 한번)

폴로스막 2001, Полосьмак Н.В. Всадники Укока. — Новосибирск: Инфолио-пресс, 2001. — 336 с.(우코크의 말타는 전사들) 이 책은 2016년에 한국어로 출판되었다. N.V.폴로스막 2016,『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루덴코 1953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Scythians: warriors of ancient Siberia. [British Museum. The BP exhibition. Organiz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St Petersburg, Russia] Ed. by St John Simpson and Dr Svetlana Pankova. London: Thames & Hudson Ltd. 2017. 368 p.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오늘은 사진이 좀 그렇습니다....그래도 양해바랍니다..

 

 

 

시베리아의 알타이 산맥의 파지릭 유적 2호분에는 여성과 남성이 함께 묻힌 무덤이다. 안타깝게도 도굴로 인해서 유물의 위치와 시신의 위치는 정확하지 않지만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지난번에 살펴본 우코크 고원의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일명 ‘얼음공주’는 미라였다. 파지릭 유적은 얼음공주보다도 무덤의 크기나 부장품으로 보아서 상위계급에 속한다고 학자들은 평가한다. 얼음공주는 전직 샤먼이었다.

 

파지릭 유적의 2호분 남성은 55~60세 가량이고, 여성은 40대 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앞에서 필자가 공개한 유물의 위치를 자세히 살펴보면 여성과 남성의 신체가 여기 저기 흩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물론 매장할 당시에 그렇게 된 것은 아니고 도굴꾼의 소행으로 생각된다.

 

그림 1. 파지릭 유적 2호분의 남성미라 출토위치

 

남성의 목걸이는 자세하게 남아 있지 않지만 이 여성의 목걸이는 잘 남아 있고, 필자가 공개한 바 있다. 남성도 목걸이를 했을 가능성이 큰데, 아크 알라하 1유적의 두 남성이 모두 목걸이를 착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이 무덤의 여성과 남성은 모두 목이 잘려진채 확인되었다. 특히 여성미라는 훼손이 심한데, 팔찌 등을 가져가기 위해서 오른손 뿐만 아니라 무릎관절 아래가 다 잘려진채 확인되었다. 덕분에 무덤에 관이 하나인데 어떻게 시신을 안치했는지 대한 궁금증은 영원한 미스테리이다.

 

관 통째로 도굴꾼이 가져 간 것이 아니냐고? 그럴 수 없는 것이 무덤관이 놓일 장소가 없다. 파지릭 유적 뿐만 아니라 아크 알라하 1유적의 예로 보아서 무덤방에 관이 2개인 경우 관은 나란히 놓인다.

 

그런데 왜 도대체 시신을 심하게 훼손했을까?

 

루덴코는 여성이나 남성의 미라에서 먼가를 얻기 위한 행위로 생각한다. 그 예로 든 것이 파지릭 5호분의 남성미라인데, 이 남성미라의 손이 오른손이 아래로 왼손은 위로 가게 해서 ‘×’모양으로 교차하고, 생식기 위에 피부를 뚫고 실로 고정시킨 것에 착안했다. 만약에 이 무덤의 미라가 같은 자세로 처리되었다면, 그리고 도굴꾼이 탐을 낸 것이 목걸이나, 팔찌 였다면?(이 유적에서 확인된 혹은 미처 못 가져나간 여성용 목걸이는 목제였다)

 

파지릭 2호분의 남성은 전투용도끼에 세 번 맞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눈썹에는 칼자국이 있고, 오른쪽 관자놀이에도 미세하게 찢겨져 있었다. 머리의 두피는 벗겨진 상태이다. 나머지 모발은 미라 처리시 뇌 제거를 위해서 구멍을 뚫기 전에 깎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두개골에는 뼈가 제거된 흔적이 1곳 이상에 남아 있다. 고대에는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뼈를 제거하기도 했겠지만 파지릭 2호분의 남성 두개골은 뇌조직을 제거하고 뇌를 토양, 소나무껍질 및 낙엽송 등으로 채워서 미라로 처리하는 과정에 의한 것이다. 우코크 고원의 얼음공주 미라도 그 내부가 전부 흙과 나무로 채워져 있었다. 그러나 두개골에 천공한 위치는 다르다.

 

그림 2. 파지릭 유적 2호분의 미라 두부(루덴코 1953)(위-남성, 아래 여성)

 

그림 3. 파지릭 유적 2호분의 남성미라 두부, 그림 2의 상단과 같은 미라.

 

 

2호분의 남성미라의 두부는 소련과학아카데미 군의학 치과부서에서 이바첸코(G. M. Ivashchenko)가 분석했다. X선 촬영결과 오른쪽 턱 아래의 첫 번째 어금니가 망가졌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치아에는 낭포가 생겨서 여포성낭종을 알았을 가능성이 크다. 첫 번째 어금니의 압력 때문에 남자는 평생동안 치아가 아팠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남성은 몽골로이드로 전체 얼굴높이는 146mm이다.

 

참고문헌

 

루덴코 1953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Scythians: warriors of ancient Siberia. [British Museum. The BP exhibition. Organiz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St Petersburg, Russia] Ed. by St John Simpson and Dr Svetlana Pankova. London: Thames & Hudson Ltd. 2017. 368 p.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필자는 요즘은 향수를 쓰지 않지만, 한때 향수를 상당히 좋아했던 적이 있다. 요즘은 향수가 없어도 허전하다는 생각이 안 든다. 식탁 위에 디퓨저가 있는데, 유칼리투스 향이 약간씩 난다. 가끔 상상해본다. 집에서 나무 향이 나면 얼마나 좋을까?

자작나무로 된 무덤방도 아늑했을 것 같다.

 

우리는 현재 시베리아의 파지릭 유적에서 2호분을 살펴보는 중이다. 도굴 때문에 손상이 많이 되었지만 그래도 쏠쏠하게 재밌는 유물들이 있다. 그리고 피곤하기도 하다. 너무 많기 때문이다. 빈 공간안에 다 채우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흥미를 끄는 유물이 많다.

파지릭 유적의 2호분에도 금으로 된 유물은 그렇게 많지 않지만 나무, 펠트, 가죽 등으로 제작된 유물이 많다. 무덤구덩이를 팔 때부터 쓰던 나무망치, 나무쐐기 등이 들어 있는데, 과히 나무로 칠갑을 두른 듯 하다.

 

잠시 파지릭 유적의 2호분과 재밌는 인연이 있는 유물을 소개하고자 한다.

에르미타주에 소장된 표트르 1세가 수집한 콜렉션의 유물이다. 버클장식으로 길이 15.2cm, 너비 12.1cm,무게는 459.3g정도이다.

큰 나무 아래에 세 사람이 있는데, 여성은 앉아 있고, 남성 한 명은 그녀의 무릎 위에 누워 있다. 그녀의 무릎을 만지고 있다. 누워 있는 남성의 다리 쪽에는 한 남성은 앉아 있는데 말 두 마리의 고삐를 꽉 쥐고 있다. 말은 재갈과 굴레장식이 착장되었으며 안장까지 착용한 상태이다. 말과는 반대쪽으로 말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얼굴이 매우 둥글고 독특한 머리장식을 한 여성이 앉아 있다. 누워 있는 남성은 그녀의 무릎을 만지고 있다.

 

 

 

 

그림 1. 에르미타주 소장 버클 장식, 표트르 시베리아 콜렉션

 

그림 2. 그림 1의 상세

 

 

이 버클 장식을 보면서 이미 필자가 공개한 바 있는 2호분의 유물 가운데서 생각나는 유물은 없나요?

 

....

 

말 굴레 장식?

아직 2호분의 것은 공개하지 않았다.

 

여성을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다. 그녀의 독특한 헤어스타일이다.

 

그림 3은 파지릭 유적 2호에서 출토된 것인데, 출토된 위치는 그림 4에서 확인가능하다.

 

그림 3. 파지릭 유적 2호 출토, 머리장식. 높이 40, 직경 17.8cm(참고문헌인 영국박물관에서 나온 책에 이 유물이 파지릭 5호분의 것이라고 잘못 표기되어 있었다. 이 유물은 2호분의 것이다. )

 

그림 4. 파지릭 유적 2호분, 머리장식의 출토위치

 

 

 

파지릭 2호분의 머리장식은 나무, 가죽, 머리카락, 펠트, 실크를 조합한 것이다.

이 독특한 머리 장식은 머리에 닿는 부분인 기초 부분은 나무로 나들어졌다. 전체적으로 원통형이지만 귀의 위쪽에는 직사각형의 홈을 파고 다시 나무를 덧대어서 둥글게 만들어 진 것이다. 현재는 오른쪽만 남아 있다. 이 나무원통의 덮개는 가죽으로 덮여 있다. 뒷쪽에는 1.5~2cm가량의 원형 구멍이 2개 있고, 구멍이 4개 더 있다. 그 중 두 개는 원통형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나무로 된 아래의 받침대로부터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구멍은 실크로 덮여 있었다. 뒤쪽 중앙의 구멍에는 하늘로 솟아 오르도록 설계된 땋은 머리카락이 붙어 있다. 이 꼬리모양의 머리장식은 가운데는 사람의 머리카락이고 말의 총으로 쌓아서 힘을 받도록 만들어졌다. 말의 모는 머리카락 전부를 감찬 것은 아니고 아랫단 부분만 쌓다. 꼬리 모양 머리카락 장식은 나무머리모자의 구멍 아래서 관통시켜서 펠트로 감싼 것이다. 이 머리카락은 길이가 총 38cm가량이다.

 

그림 1의 시베리아 콜렉션 유물과 비교했을 때 아주 비슷한 유물이어서 추정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아시다시피 2호에서 이 유물은 위치가 제자리가 아니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여성의 것인지 남성의 것인지 알 수 없었다. 하지만 벨트 장식에서 볼 때 여성의 머리장식이다. 그리고 이것을 쓴 여성은 삭발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은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콜렉션 유물이 알타이 지역에서 갔을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앞서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얼음공주도 아주 높은 머리가발 장식을 썼는데, 그녀도 삭발을 하고 그 가발 장식을 썼다.

 

그리고 상상해 본다. 혹시 머리를 매일 감을 수 없어서, 삭발을 했나? 그래도 머리스타일은 중요하니 머리장식을 썼나? 아니면 이런 높은 머리장식을 쓰기 위해서 삭발을 했나?

 

참고문헌

 

루덴코 1953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Scythians: warriors of ancient Siberia. [British Museum. The BP exhibition. Organiz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St Petersburg, Russia] Ed. by St John Simpson and Dr Svetlana Pankova. London: Thames & Hudson Ltd. 2017. 368 p.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 남부의 알타이 산 파지릭계곡에는 2500년 전 무덤이 수십기 존재한다. 그 중에서 가장 큰 고분 5개는 1920년대 그랴즈노프와 1940년대 후반에 루덴코가 발굴했다. 무덤의 구조와 유물은 세계학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이 무덤은 시베리아의 초기 철기시대로 기원전 9~8세기부터 시작되어 유라시아 전역에 퍼져 있던 스키타이 문화권의 한 일종이다. 알타이 지역에 위치한 문화를 파지릭문화라고 하는데, 이 문화의 명칭은 이 유적에서 유래된 것이다.

 

파지릭유적의 유물은 우리나라에도 한 번 온 적이 있다. 지난번에 소개해 드린 얼음공주와 그 유물은 우코크 고원의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 출토된 것으로 1995년에 서울과 부산에 다녀갔다. 파지릭 유적의 유물은 1991년 10월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스키타이 황금’이라는 이름으로 특별전을 한 적이 있다.

아마 어린 학생들은 잘 모르겠지만, 특별전은 예전 총독부 건물을 개조해서 사용했던 지금은 없어진 옛날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되었다. 고르바초프가 한국에 다녀간 해에 파지릭유물특별전은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파지릭 유적에서는 우코크 고원과 마찬가지로 무덤을 만들 때 말도 함께 매장한다. 파지릭 유적의 대형고분인 1~5호에서는 말이 함께 매장되었다.

러시아학자들은 얼음공주가 있었던 아크 알라하 유적이 있던 우코크 고원의 발굴 이전부터 말의 영양상태와 꽃가루 및 나무절단시기 등으로 무덤의 매장 시기를 추측했다.

 

파지릭유적에서 시도되었다.

파지릭 유적의 말은 털이 아주 고운 상태로 유지되어 묻혔는데, 겨울에는 볼 수 없는 상태이다. 즉 무덤은 겨울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말의 영양상태와 관련해서 5호분에서 재밌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9마리 말이 매장되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화려한 굴레장식 한 말이 다른 말 보다 영양상태가 매우 좋았다. 그런 말의 상태는 겨울동안에도 잘 먹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3호분에서는 무덤방을 덮은 자작나무 껍질 사이에서 꽃(Scabiosa achroleuca L.)이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여름 상반기 즉 6월말 또는 7월 초에 피는 것으로 그 때 무덤에 들어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꽃 뿐만 아니라 이끼(Hylocomium)종류도 확인되었는데, 봄-여름동안에 자라는 것이다.

 

말 뿐만 아니라 나무도 무덤만드는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부분적으로 절단된 자작나무와 무덤방을 덮은 자작나무 껍질(그림1)은 여름이 끝나고 가을에 껍질이 넓어지는데, 가을에는 껍질이 거의 벗겨지지 않는다. 즉 자작나무 껍질을 벗겨내는 기간은 봄과 여름이다.

 

파지릭 2호분에서는 어린 말이 매장되었는데, 송곳니로 살펴본 나이가 3살 반이라고 하며, 가을에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즉 무덤은 늦봄 혹은 여름초입부터 초가을에 만들어졌다. 재밌은 현상은 알타이에서 발굴할 수 있는 기간과 일치한다.

 

기억하시는지 모르겠지만 2호분은 말의 매장하는 위치가 앞에서 살펴본 유적들과는 달리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무덤방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말의 매장 위치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이 부분은 좀 더 다른 유적과의 비교관찰이 필요하다.

 

그림1. 파지릭 유적의 2호분 무덤 단면도(왼쪽은 발굴당시, 오른쪽은 복원)

 

그림 2. 파지릭 유적의 1~4호분에 매장된 말의 방향(하단 왼쪽에 2호분의 것이다.)

 

말이 7마리 매장되었는데, 3마리 씩 2열로 배치되고 나머지 한 마리는 방향을 달리해서 배치되었다.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일정하게 매장되었는데, 화살표의 끝방향이 말의 두향이다. 6마리는 동쪽을 향하고 있고 나머지 한 마리는 남쪽방향이다. 그러나 말이 놓인 상태가 아주 일정하게 규칙적이지는 않다. 당시에 무덤구덩이에 죽인 말을 넣는 방법은 밧줄로 매어서 하강시켰을 터인데,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말은 이마를 타격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