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중부/사카문화'에 해당되는 글 8

  1. 2021.07.09 카자흐스탄 황금인간의 쿠르간1
  2. 2021.07.08 유라시아 초원에서 쿠르간을 만드는 이유는...2
  3. 2021.07.07 스키타이 시대 카자흐스탄의 동과 서쪽

 

카자흐스탄 동부에 위치한 사카 문화는 거대한 쿠르간과 황금유물로 유명하다. 사카문화는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카자흐스탄 동부의 지역문화 중에 한 곳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베스샤타르 유적 외에도 이식 유적이 있다.

 

특히 이식 유적은 화려한 복장을 입은 남성이 그대로 확인되어서 여러모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식 유적의 남성은 ‘황금인간(그림 2)’이라는 별칭이 있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신생국가로서 자신의 문화적 유산을 잘 이용했는데, 1974년 이래로 황금인간은 모든 박물관에서 전시되었고, 황금인간 모자의 형상은 국가 상징물로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어김없이 이 유적도 도굴된 채 발굴되었다. 정확하게 무덤 구조는 알 수 없지만 한 봉분 아래에 여러 방이 있는 구조였을 것인데 발굴될 때 당시에는 중앙과 남쪽 측면에 두 개의 무덤방이 확인되었고, 중앙은 완전히 도굴당해서 전모를 알 수 없다. 중앙에서 남쪽으로 15m가량 떨어진 곳에 장방형의 무덤방이 하나 더 발견되었는데, 이곳에서 황금인간이라고 불리는 십대 소년이 매장되었다. 이곳도 매장주체부의 상단은 거의 없어진 상태였고, 나무방(3.3×1.9m, 높이 1.3~1.5m)은 통나무로 덮개가 철제 꺽쇠로 고정된 채 발견되었다(그림 1).

 

 

그림 1. 이식 유적 황금인간의 무덤방 출토상황, 위-남쪽 측면 무덤방, 아래-통나무 덮개가 내려 앉은 모습

 

 

그림 2.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이식 박물관에 전시중인 황금인간

 

 

모자와 의복을 갖춘 소년의 머리(서벽)위에는 토기 16점, 은제품 2점, 숟가락 1점이 발견되었고, 소년의 우측(남벽)에는 자작나무로 만든 잔, 접시, 국자가 있었는데, 그나마 남아 있는 것은 국자와 접시 2점 뿐이다.

 

이식 유적에는 150여기의 쿠르간이 구성되어 있는데,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후 17세기까지 이곳은 무덤으로 사용되었다. 직경은 20~10m, 높이 1.5~15m 규모의 쿠르간이다.

 

황금인간의 무덤은 완전히 파손된 채 발견되어 봉분의 높이를 알 수는 없지만 그나마 남아 있는 쿠르간은 높이 6m, 직경 60m이다. 베스샤타르 유적과 마찬가지로 봉분은 쇄석과 점토를 섞어서 겹겹이 쌓아서 지상의 무덤주체부를 덮었고 위는 편평하다. 황금인간의 무덤도 같은 구조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황금인간이 나온 무덤은 무덤방이 최소 2개인 것을 생각하면 베스샤타르 유적의 매장주체부와 완전히 같다고도 할 수 없다. 다만 봉분을 쌓은 방법은 같다고 볼 수 있다.

 

이식 유적이 전면 보고된 아키세프의 저서에는 황금인간이 출토된 간단한 경위와 유적에 대한 설명만 간단하고 전부 의복에 장식된 황금장신구와 관련된 내용이다. 하지만 여전한 의문점은 많다.

 

참고문헌

Акишев К.А. 1978 : Курган Иссык. Искусство саков Казахстана. М.: «Искусство». 1978. 132 с.(아세세프, 1978, 이식 쿠르간, 카자흐스탄 사카 사람의 예술)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권 내에서 카자흐스탄 동부지역에 위치한 지역문화는 사카 문화이다. 사카 문화의 대표적인 유적 가운데 베스샤타르 유적은 일리 강을 끼고 형성된 유적으로 평지에 위치한다. 쿠르간 31개가 남북2km, 동서 1km 내에 자리잡고 있으며 그 중에 돌로 덮은 봉분은 21기, 그 외는 10기는 흙으로 덮은 것이다.

 

매장주체부로 생각되는 지상 위의 목조 구조물(3.6×3.3m)은 3면은 16개의 통나무를 가로로 세워서 쌓았고(높이 4m), 동쪽면은 복도처럼 생긴 문 시설이 있는 구조이다. 세로로 통나무를 두 줄을 세우고 그 사이를 가로로 통나무로 눕힌 것이다.

 

그림 1. 베스샤타르 유적 1호의 지상위 목조 구조물의 평면도

 

북쪽에 큰 쿠르간이 모여 있는데 그 중에서 1~10호, 14호가 지상 위에 연도가 있는 매장주체부를 만들고 그 위를 돌로 덮은 것이다. 무덤의 크기는 각기 다르다.

지하에 카타콤 시설이 따로 있는 무덤은 6호 뿐인데, 정확하게 용도는 알 수 없다. 매장주체부가 지상에 있는 무덤에 남겨진 유물은 거의 없다.

 

봉분을 돌로 덮는다고 해도 그 내부의 구조는 다를 수 있는데, 25호와 같은 무덤이다. 직경이 8.5m, 높이는 1.08m인데, 지하에 타원형 모양의 구덩이를 파고(3.5×2m) 매장주체부를 만들었다. 인골 2구가 발견되었는데, 왼쪽에는 고리트, 오른쪽에는 철검을 착장했다(그림 2).

철검은 스키타이 단검이라고 불리는 것이고, 청동제 화살이 50개나 들어간 고리트였던 것으로 보인다. 화살은 모두 같은 형식은 아니라고 12개의 형식이다. 허리에 철제장식이 있는 허리띠를 착장했다. 인골주변에서 구슬이 나왔는데, 목걸이를 착용했던 것처럼 보인다.

 

그림 2. 베스샤타르 유적 25호의 무덤과 출토유물

 

베스샤타르 유적에 수혈(구덩이)을 파지 않은 무덤은 목조 구조물로 무덤방을 지상에 만들었고, 구덩이를 판 무덤은 목조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았다.

두 무덤의 차이는 결국 장례치르는 사람이 목제와 인력을 수급능력 즉 경제력의 차이와 관련되었을 것이다.

유적을 발굴한 아키세프는 가장 큰 무덤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약 4만명 정도의 인력이 동원되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흑해 지역에도 평지에 높은 봉분을 만드는 무덤이 유행했다. 기원전 7세기 코스트롬스카탸 유적도 지하시설이 있지만 지상위에 목조구조물을 만드는 구조였다. 그리고 기원전 5~4세기 이후에도 높은 봉분을 만들었다. 카자흐스탄의 타스몰라 문화도 마찬가지이고 사카 문화도 높은 봉분을 경쟁적으로 만들었다.

아마도 스키타이 문화권의 공통적 특징중에 하나도 이 높은 봉분이 있는 유적도 포함될 것이다. 누구를 위해서 왜 만들까? 결국 보여주기 위해서일 텐데.....

 

참고문헌

К.А. Акишев, Г.А. Куш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саков и усуней долины реки Или.// Алма-Ата: 1963. 320 с.(아키세프, 쿠샤예프 일리강 변의 고대 사카문화)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А.X. Маргулан, К.А. Акишев, М.К. Кадырбаев, А.М. Оразб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Алма-Aтa: 1966. 436 с.(마르구란 외 1966, 카자흐스탄 중분의 고대 문화양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시대에 카자흐스탄에는 서부 평지에 위치한 타스몰라 문화와 동부 산악 지대의 사카 문화가 존재한다.

 

앞서 설명한 대로 타스몰라 문화는 ‘콧 수염이 달린 쿠르간’이라고 불리는 무덤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외관은 다른지역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이지만 그 내부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나무구조물이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구덩이만 남아 있다.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그런데 같은 카자흐스탄 국경 안이지만 동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유적은 무덤의 구조와 출토유물은 상당한 차이가 있고, 사카 문화라고 불린다.

대형고분은 이식, 베스샤티르, 실릭티 유적 등이 있는데, 실릭티 무덤의 구조는 이미 살펴본 바 있다.

 

2021.03.05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중부/천산산맥] - 카자흐스탄 새장식이 출토된 무덤의 구조

 

카자흐스탄 새장식이 출토된 무덤의 구조

스키타이 문화에서 자주 애용된 새 문양 장식은 두 날개를 핀 형태부터 다양하게 있었다. 흑해 유적에서는 얼굴을 측면으로 돌린 형태이다. 다른 문양요소가 가미되지 않은 순수한 독수리 혹은

eastsearoad.tistory.com

 

 

이식 유적은 황금인간이라고 불리는 남성과 관련된 유물 때문에 박물관이 따로 만들어질 정도유명해졌지만, 안타깝게도 무덤구조는 잘 남아 있지 않은 상태로 세간에 알려졌다. 인접한 지역에 베스샤타르 유적(기원전 6~5세기)을 통해서 무덤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직경 105m, 높이 17m로 지상 위에 목제로 구조물을 만들고 그 위를 돌로 덮은 것이다(그림 1). 그런데 특이한 점은 목조구조물의 아래, 지하에 카타콤이라고 불리는 비밀스러운 통로가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는 점이다(그림 2, 그림 3). 목조구조물로 들어가는 묘도는 무덤의 서쪽에 따로 있고, 지하의 카타콤은 봉분의 북서쪽 아래에서부터 시작된다(그림 3).

 

그림1. 베스샤타르 유적의 무덤 평면도 및 단면도

 

그림 2. 베스샤타르 유적의 무덤 단면도, 위-동서 단면도, 아래:북서-남북 단면도

 

 

그림 3. 베스샤타르 유적의 무덤 얼개도

 

그림 4. 베스샤타르 유적의 매장주체부 목조구조물의 각 벽

 

베스샤타르 유적은 지상위에 거의 집을 짓는 것처럼 매장주체부를 만들고 나무무덤방을 만들어서 그 위를 여러겹의 돌로 덮어서 축조한 것이다.

 

카자흐스탄 국경내에서 타스몰라 문화와 사카 문화는 무덤구조가 거의 비슷하지 않다. (물론 카자흐스탄 동부산악지대의 북과 남쪽에도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묶는 이유는 동물문양장식 때문이다.

 

참고문헌

К.А. Акишев, Г.А. Куш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саков и усуней долины реки Или.

// Алма-Ата: 1963. 320 с.(아키세프, 쿠샤예프 일리강 변의 고대 사카문화)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А.X. Маргулан, К.А. Акишев, М.К. Кадырбаев, А.М. Оразб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Алма-Aтa: 1966. 436 с.(마르구란 외 1966, 카자흐스탄 중분의 고대 문화양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