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1. 1. 13. 13:41 스키타이 동물장식

스키타이 동물장식 가운데 두 마리 동물이 특정 구도를 이루면서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두 가지인데,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된 것으로 마치 데칼코마니 기법처럼 만들어진 것이다. 다른 하나는 특정 동물이 다른 동물을 물어 뜯는 장면으로 투쟁장면이라고 불린다. 대부분 힘쎈 맹수가 자신의 먹이가 되는 굽동물의 목을 무는 장면이다. 투쟁장면의 동물은 아주 역동적으로 표현되어서 두 동물의 신체는 S자를 이루며 옆으로 눕혀서 표현된다.

 

데칼코마니처럼 마주보도록 된 동물의 표현이 가장 먼저 관찰되는 유물은 흑해 지역의 기원전 7세기 고분인 켈레르메스 유적(그림 1-3)과 멜구노프 유적의 검집 끝에서 발견된다. 두 유물은 매우 유사하며 의례용으로 제작된 유물이다.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사자의 모습이다. 오스트라야 토마콥스카야 마길라 유적의 검날 멈치에서도 확인된다. 몸이 면으로 처리되고, 눈, 귀, 주둥이가 강조되는 스키타이 동물양식의 특징이 있다.

 

그림 1. 켈레르메스 유적 출토  검집장식

 

마주보는 동물 구성장면은 스키타이 문화의 형성기 유적인 이란의 지비예 유적에서도 검집 끝장식에서 발견되었다(그림 2-1). 하트모양의 귀, 크고 둥근 눈, 과장된 주둥이 등이 강조되었고, 다리는 스타일화 되었다. 맹수는 상체만 표현되었는데, 흑해지역에서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그림 2. 스키타이 문화의 인접 지역에서 발견되는 검집장식

 

두 동물이 싸우는 동물 투쟁문양은 기원전 5세기에 스키타이 문화에서 등장한다. 이 시점에는 그리스, 페르시아 지역과 매우 많은 교류가 있었던 시기이다.

페레보드치코바는 동물투쟁문양은 그리스와 페르시아 양식을 따르는 것으로 보았다. 쿠반 강 유역의 세미브라트노예 유적의 무덤 4호에서 출토된 각배에 부착된 금속판에 새겨진 동물장식은 맹수가 사슴을 공격하는 장면이 표현되어 있다. 이 유적의 2호에서 출토된 토기의 덮개판에는 비슷한 그림이 표현되어 있었다. 각배의 금속판에 그려진 동물장식은 맹수는 아직 스타일화 되지 않은 채 원근법이 살아 있는 사실적으로 표현되었고, 사슴은 스키타이화 된 것이다. 몸통을 면각으로 두드러지게 표현했고, 사슴의 자세와 굽의 위치, 견갑부의 형태 모두 사실적이라기 보다는 스키타이 스타일화 된 것이어서, 이웃한 지역의 동물장식을 차용하면서 혹은 인용하면서 동물투쟁문양이 생겼다고 보았다(페레보드치코바 1994).

기원전 5세기에 스키타이 문화에서 널리 사용되는 동물투쟁문양은 특히 파지리크 유적에서 많이 확인되는데, 두 동물은 모두 이미 ‘스타일’ 화 되었기 때문이다.

페레보드치코바는 동물투쟁문(세미브라트노예 유적의 각배 장식판)에서 나타난 사실적 맹수+스타일화 된 사슴이 가장 먼저라고 보았던 것이다. 사실적 표현이 먼저이고 스타일화(규격화되면서 추상화됨)된 동물장식이 나중이라는 의미이다.

사실적 표현이 먼저고 추상화된 스타일이 나중이라는 점은 동의한다. 그러나 이 유물이 세미브라트노예 유적의 각배 장식판에만 나타났다고는 볼 수 없다. 파지리크 유적의 유물을 보고하면서 아주 간단하게 보고된 유물 가운데 나무에 새겨진 두 동물이 있는데, 카탄스키 유적의 유물로 보고되었다. 두 동물의 표현은 원근법이 살아 있고 사실적이다. 페레보드치코바의 의견대로라면 카탄다 유적의 유물에 표현된 사실적 동물 2마리 표현이 더 먼저 일 수 이지 않을까? 뿐만 아니라 금속의 동물투쟁문양은 기본적으로 네모 플레임 안에서 구현되는데 이를 카탄스키 유물은 이를 따르고 있다.

 

그림 3. 세미브라트노예 유적의 각배 장식판

그림 4. 알타이 카탄다 유적의 유물

 

페레보드치코바는 이와 같은 마주보는 구도의 동물장식은 기원전 5세기 파지리크 유적에서나 관찰된다고 여겼다(페레보드치코바 1994).

하지만 새로운 유적의 발견으로 같은 구도의 동물장식이 검에 표현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아르잔-2호 주인공무덤인 5호묘의 남성 칼의 검날멈치에도 호랑이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장면이 확인된다. 호랑이는 몸을 거의 말고 있는 형태이다.

 

그림 5. 아르잔-2호 5호묘

 

마주보는 두 동물의 구도는 1990년대의 연구성과와는 달리 기원전 7세기 경부터 스키타이 문화에서 흑해지역부터 시베리아까지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검 집 장식으로 돌아가 보자. 검집 장식 가운데는 두 동물이 마주보는 장면도 있지만 이란에서 발견된 것과 같이 서로 몸을 꼬고 있는 장면도 발견된다. 로스토프체프(1929)는 루부르 박물관에 있는 상아로 된 유물(그림 1-7)을 주목한 적이 있다. 이집트에서 발견된 것이다. 현재는 이 유물이 검집장식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지만 당시에는 전혀 알 수 없었고, 생긴모양으로 보아서 앗시리아에서 기원했다고 생각했다. 이 유물의 용도를 알 수 있게 한 것은 페르세폴리스의 궁전 벽에 새겨진 조각 덕분(그림 2-4~6)인데, 모두 검집 끝을 장식했다. 이 검집 끝장식은 어떤 동물인지 알 수 없으며, 머리로 보아서 굽동물이고, 몸은 매우 추상화되었다.

하지만 여러 연구자들은 이 동물 장식의 원형(原形)은 스키타이 몸을 말고 있는 맹수장식으로 보았다(Bernard 1976, 페레보드치코바 1994).

 

비슷한 동물장식이 시리아 북부의 테베 –규욱(그림 2-8), 박트리아(그림 2-9) 등에서 발견되었다. 그럼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페르세폴리스에 검집 장식(그림 2-4~6)으로 새겨질 수 있었을까? 이 궁전은 페르시아가 이를 지을 당시에 인접한 국가 들의 장인을 모두 불러 보아서 만들었을 것이다. 그 장인들이 자신이 새긴 검집 장식의 원형(原形)에 담겨진 주제를 이해하지 못했을까?

검집장식이 삼각형에 가까워서 몸을 말고 있는 맹수장식과는 다르다는 의견도 있지만, 항상 원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기원전 7-6세기 테미르-고라(그림 6-1) 등에서 발견된 유물은 원(圓)형은 아니라 삼각형에 가깝다.

 

그림 6. 흑해 지역에서 발견된 원형의 맹수장식

 

Bernard는 페르세폴리스에서 발견된 검집장식과 이집트에서 발견된 상아제 검집장식은 모두 아케메니드 시기로 보았다. 이 생각은 이집트에서 발견된 검집장식이 페르세폴리스의 조각 보다 먼저 일것이라고 본 것을 부정한 것이었으며, 검집장식에 표현된 동물장식이 일정한 발전방향으로 모양이 변하면서 생겼을 것이라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었다. 그는 이집트의 검집장식은 그 지역에서 재생산된 것으로 보았다. 페레보드치코바는 아케메니드 왕조에서 궁전을 지었던 일은 매우 큰 사건으로 이웃한 지역에 매우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고, 여러 장인들은 이를 또 인용(차용, 모방)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대로 인용했을 수도 있고 자신의 전통에 맞게 고쳐서 해석했을 수도 있다. 만든 각자의 장인들은 상호간의 전통을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도 있었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상대의 언어를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그 전통은 교류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물장식은 그 매개가 된 것이다.

페레보드치코바는 페르세폴리스의 건조가 스키타이 동물양식이 폭발적으로 주변지역으로 전달된 사건으로 보았다. 그래서 기원전 5세기경에 스키타이 동부지역에서 서부지역까지 서로가 서로의 문양을 공유한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더보기

그러나 앞서 이야기 했지만 이미 그러한 계기가 된 어떤 이유는 기원전 7세기(아르잔-2호) 경에 나타났을 수 있다. 물론 페르세폴리스의 건조도 더 증폭되는 계기가 되었겠지만.

원형의 호랑이 장식과 S자형 호랑이 장식은 시베리아에서 먼저 나타났다. 동물투쟁문양도 카탄스키의 예를 볼 때 알타이를 배제할 수 없다. 동물투쟁문양에 S자형 동물장식이 가미되는 것도 알타이에서 먼저 관찰된다. 그러나 완전히 다른 두 동물의 결합인 하이브리드형 동물은 흑해 지역에서 켈레르메스 유적의 은제 거울 보다 이른 유물은 아직 없다. 두 동물이 마주보는 구도의 동물장식은 좀 더 숙제가 남아 있다. 몸을 말고 있는 원형의 맹수상 만큼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널리 사용된 예는 아직 없다. 

 

페레보드치코바의 생각처럼 발전적인 양식을 따르지 않고 어떤 큰 사건을 계기로 폭발적으로 인접한 지역으로 전달된 것은 맞지만, 마주보는 동물구도를 검집 끝에 장식하는 방법이 변형된 방법으로 변화되는 것은 발전 혹은 진화론 적인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참고문헌

Rostovtzeff M. The Animal Style in South Russia and China. Princeton, 1929

Е.В. Переводчикова 1994,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페레보드치코바 1994, 언어로서의 동물문양장식)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