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2. 2. 20.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알타이의 해발 1500m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고대 오리엔트 지역(아케메니드 왕조)의 문양으로 의심케 하는 유물들이 있다. 그런데 앞서서 밝혔지만 대게 그 보다 이른 앗시리아에서 흑해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에서 기원전 7세기경에 이미 발견되었다. 그 이 후에 기원전 5세기경에 알타이에서 발견되었다. 이 시점에는 이미 흑해지역부터 시베리아, 몽골서부까지 스키타이 문화권이 서로 공유되었다. 알타이에서 발견되는 문양이 구지 고대 오리엔트 지역일까 싶다. 더욱이 그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재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파지리크 유적 2호에서는 연꽃 문양(그림 1)이 확인된다. 대부분 펠트 소재로 정교하게 재단된 것으로 양모로 된 제품(의복, 안장덮개)등에 붙여서 사용되었다. 특히 2호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루덴코는 이 문양도 아케메니드 왕조에서 전해진 것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알타이에서 고쳐서 사용한 것으로 보았다.

기원전 4세기 흑해 지역의 유적인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철제 검의 손잡이에도 연꽃 문양이 발견되었다. 특히 이 유물은 스키타이 단검과는 다른 것으로 아케메니드 왕조와의 관련성을 증명하는 유물이라고 포스팅했다(포스팅참고).

 

2020.12.25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흑해의 전사] - 스키타이 검, 페르시아 검자루와 그리스 검집

 

스키타이 검, 페르시아 검자루와 그리스 검집

스키타이 문화와 페르시아 문화가 함께 유물 속에서 표현되는 예는 흑해에서도 종종 출토된다. 그림 1의 검은 손잡이와 검신의 제작지가 다르다. 손잡이(그림 1)는 페르시아 단검에 원래 달렸다

eastsearoad.tistory.com

 

그림 1. 파지리크 유적 2호에서 발견된 연꽃

 

 

알타이에서 발견된 기원전 6~5세기 무덤에서는 주로 물싸리 꽃이 발견된다. 파지리크 유적, 바샤다르 유적, 아크 알라하 3유적 등에서 실제로 발견된 바 있다. 폴로스막은 투엑타 유적과 파블로프 유적에서 발견된 굴레장식 가운데는 실제 식물을 모델링한 유물이 있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알타이의 추야강 계곡에 무덤에서 발견된 피장자의 머리맡에는 금박 장식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대부분 모자장식으로 물싸리 꽃을 형상화 했거나 동물장식이다. 실제로 울란드리크-1 유적에서도 물싸리 꽃이 분석되었다(포스팅 참고).

 

2020.10.1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울란드리크 강의 유적] - 알타이 스키타이 문화 통나무관과 부활의 의미

 

알타이 스키타이 문화 통나무관과 부활의 의미

알타이에서 고대로부터 자연교통로가 된 추야 강에는 북쪽으로 유스티드 강, 남쪽방향으로는 울란드리크 강이 흐른다. 울란드리크 강 유역에는 8개의 스키타이 문화 유적이 남아 있다. 그 가운

eastsearoad.tistory.com

 

 

또 베갯잎을 채운 식물 가운데는 타임과 지지포르(Ziziphora interrupta)가 있다. 후자가 향이 훨씬 강한데 멘솔향과 가깝다고 한다. 타임은 알타이 전 지역에서 자라고 지지포르는 알타이에서는 딱 한 곳에서만 자란다고 한다.

알타이의 무덤에서 발견된 동물과 식물은 알타이의 자연을 반영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연꽃 문양은 어떻게 된 것일까?

 

실제로 연꽃은 무덤 안에서 발견되지 않았지만 유물 속에는 남아 있다. 특히 파지리크 유적 2호의 여성 물건(신발, 의류, 주머니)과 무덤 벽을 장식한 일종의 프리즈에도 있다.

알타이의 모든 유적에서 발견되는 문양은 아니기에 또 흥미롭기도 하다. 연꽃이 유적 내에서 발견되지 않았는데, 유물 속에 남아 있다는 사실은 문양이 전해졌다고 보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갈기가 표현된 사자머리와 같이 아케메니드 왕조에서 온 문양이다.

 

참고문헌

Полосьмак Н.В. Всадники Укока. — Новосибирск: Инфолио-пресс, 2001. — 336 с.(우코크의 말타는 전사들) 이 책은 2016년에 한국어로 출판되었다. N.V.폴로스막 2016,『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