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1. 11. 22. 09:22 책소개

 

인쇄 중인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선사문화: 연해주 고고학 개론』에서 아직 블로그에 공개되지 않은 부분을 소개하고 있다.

 

그 중에 한 부분은 환동해문화권 고고자료와 고아시아족 문제와 관련된 부분이다. 사실 이 부분은 오클라드니코프가 자신이 발굴한 고고자료를 민족과 접목하면서 생긴 것이다. 그가 민족지자료로 고고자료를 해석하려 한 점은 어떤 부분에서는 공감할 부분도 있다. 예를 들면 아무르강 하류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토제 인간형상물의 용도가 민족지 자료로 보아서 집과 관련된 제의적인 유물일 수 있다는데 동의한 부분이다. 또한 무덤에서 나온 자료를 민족지자료와 비교해서 얻은 성과도 상당하고 필자도 한국고고학에서 이러한 부분은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림 1. 바이칼 유역의 글라스코보 문화와 민족지자료의 비교, 1~23: 우스티 우다 4호 출토품, 24: 나나이족 샤먼의 모습

 

하지만 정정되어야 할 부분도 있다.

 

오클라드니코프는 여러 논고를 통해서 고아시아족을 아무르강 하류의 신석기시대 사람들로 생각했다가 고고학 자료가 증가하면서 기원전 일천년기의 철기시대 폴체문화와 관련시켰고, 다시 만주-퉁구스족으로 정정했다.

그가 최초로 언급한 고아시아족인 나나이족, 울치족은 현재는 만주퉁구스어군으로 분류되고, 고아시아족 혹은 고시베리아족 혹은 니흐브족이 해당된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시간이 흐르면서 연구성과가 쌓이면서 생긴문제이기 때문에 오클라드니코프의 탓으로 돌리기는 어렵다. 그는 당시에 충실하게 연구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클라드니코프는 아무르강과 연해주의 신석기시대 주민이 고아시아족의 원류임을 전하면서 한국을 언급했는데, 동삼동 유적의 토기 및 패총을 들어서 연해주와 한국의 신석기시대 주민이 밀접하게 접촉했을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오클라드니코프 1965).

문제는 이 연구관점이 한국에서도 받아들여져서 한국민족의 원류가 퉁구스 및 예맥인이 아닌 고아시아족이라는 관점일부에서는 아직까지도 인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가 고아시아족으로 예를 든 바이칼 유역의 글라스코보 문화는 신석기시대가 아니고 순동이 확인되는 시대이며, 한국동삼동 유적과 연해주의 신석기문화는 관련성이 크지 않다. 물론 연해주와 강원도는 환동해문화권이지만 동해안의 양양 오산리 이남의 자료인 죽변, 세죽과 같은 출토품은 오산리 유적과 관련성이 더 많다.

오클라드니코프의 논저 당시에는 알려진 동삼동 유적의 예는 미국인 샘플이 조사한 것을 주로 참고했을 것인데, 그 이후에 동삼동 유적은 다섯 번에 걸쳐서 재조사되었다.

오클라드니코프는 연해주 신석기인과 한반도 신석기인의 ‘관련성’을 ‘접촉’이라고 표현했다. 하지만 이를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원류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 고아시아족으로 해석한 것은 문제가 있다.

 

한반도 소백산맥 이동의 남부지역에는 독자적인 신석기문화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고, 남부지역 신석기문화가 단계적으로 발전된 사실은 자명하다.

따라서 환동해문화권의 동심원문 암각화가 소백산맥 이동에서 확인된다고 해도 이는 환동해문화권 사람들과의 교류 흔적이며, 환동해문화권이 고립적인 지역이 아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지, 한반도 남부지역 신석기문화 전체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할 수 없고, 더욱이 아무르강 민족문제와도 관련시키기도 힘들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1,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선사문화: 연해주 고고학 개론』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