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카라숙문화'에 해당되는 글 2

  1. 2022.01.23 유라시아 초원의 고대 호랑이 문양
  2. 2021.11.07 천전리 암각화는 누가 그렸을까?
2022. 1. 23.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스키타이(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철기시대, 기원전 9~4세기)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 가장 뚜렷한 것은 동물문양장식이라는 점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주로 맹수류(호랑이, 늑대, 사자), 맹금류, 굽동물(뿔 달린 동물)이다. 또한 빼 놓을 수 없는 여러 동물의 집합체인 합성동물인 그리핀도 있다. 그리고 매우 한정적으로만 발견되지만 물고기를 모티브로 한 것도 발견된다.

하지만 물고기 문양은 다른 동물장식에 비해서 수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유행한 문양은 아닌 것 같은데, 어떤 이유에서 문양을 사용했는지는 알기 쉽지 않다.

 

 

그런데 맹수류, 굽동물, 맹금류 등은 철기시대 스키타이 문화권에서만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시베리아 청동기시대 카라숙 문화에는 스키타이 문화의 동물장식처럼 이미 ‘양식’화 되어서 나타난다. 쉽게 말하면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아닌 ‘스타일’화 해서 발견된다. 이 생각은 필자가 고안한 것도 아니고 이미 스키타이 동물문양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지적한 바 있다. 대표적인 연구자인 페레보드치코바, 아르잔-1호를 발굴한 그랴즈노프도 그렇게 생각했다. 그 외에도 많은데 일일이 열거하기는...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은 흑해지역부터 중앙아시아 스텝지역, 시베리아와 몽골의 서부 지역까지도 포함되며, 하가점상층문화의 일부 유형에서도 발견된다. 그 중에서 시베리아에는 여러 문화가 있으나 미누신스크 분지에는 타가르 문화가 알려져 있고, 거대한 쿠르간(살브익 유적, 이미 포스팅 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타가르 문화의 바로 직전의 청동기시대 문화가 카라숙 문화이다. 카라숙 문화의 동물문양은 무기의 장식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이 외에도 암각화 유적, 사슴돌에서도 발견된다.

(청동기시대 카라숙 문화와 타가르 문화의 동검을 모방한 석검이 연해주의 철기시대 얀콥스키 문화에서 발견된다. 연해주도 결국 초원문화의 영향 속에 있었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시점이 늦으며, (다른 지역에 비해)미미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몽골에서 발견된 청동기시대 사슴돌 가운데에는 몸을 말고 있는 호랑이가 그려진 것이 발견된 바 있다. 바얀 불락에서 발견된 것이다(그림 1).

 

그림 1. 몽골의 사슴돌, 바얀불락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1. 7. 09:22 환동해문화권의 암각화

 

울산 대곡천변에 위치한 반구대 암각화에서는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흔적이 남아 있다. 특히 배 그림은 아마도 사람들이 바다로 나가서 낚시를 했던 증거로 볼 수 있다.

다만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에서는 마스크형 그림과 함께 발견되고, 울산에서는 고래와 함께 그려진다는 점은 차이가 있다.

 

그런데 같은 강에 위치하지만 천전리 암각화에는 많이 다른 양상이다. 선사시대만 국한되지 않고 통일신라시대 사람들의 글 까지 남아 있어서 제작연대도 차이가 있다. 왜 천전리에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흔적을 남겼는지 모르겠다.

 

또 수수께끼 같은 것은 이해하지 못할 동물문양이나 사람도 아닌 동물도 아닌 반인반수의 표현등 괴기한 문양 등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같은 주제이지만 반구대암각화에서는 볼 수 없는 형상으로 그려진 것이다.

 

그림 1. 동일주제이지만 반구대 암각화와 다른 표현의 천전리 암각화

 

필자는 천전리 암각화 중에 몸통이 선처럼 표현된 동물문양과 손을 말고 있는 사람은 시베리아 카라숙문화의 사슴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시베리아 카라숙 문화는 기원전 14~10세기에 존재했던 문화로 그 문화의 청동 유물은 연해주에서 발견된다. 연해주의 그 문화(시니가이 문화)는 한반도에서 발견된다. 한반도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카라숙문화의 흔적이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오쿠네보 문화의 그림도 있지만(그림 2) 오쿠네보 문화가 존재했던 시기는 카라숙 문화 보다 더 오래된 기원전 25~19세기로 이때 우리나라에는 신석기시대이다. 시대성을 떠나서도 우리나라에서는 오쿠네보 문화의 존재가 발견된 바 없다. 그래서 천전리 암각화에서 오쿠네보 문화의 그림은 어떻게 남는지 알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카라숙문화와의 직접적인 관련성도 좀 더 근거가 필요하다.

 

 

그림2. 천전리 암각화에서 발견된 시베리아 암각화의 요소

 

 

 

그럼 천전리의 그림은 누가 그린 것일까?

 

천전리 암각화를 그린 사람들은 대부분 영남에 살던 청동기시대 사람이었을 것이지만 어떻게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발견된 그림이 천전리에 남아 있는지 아직은 확언하기 힘들다. 누군가 보고 와서 머릿속에 남은 기억으로 그린 것인지, 그 누군가가 시베리아에서 온 사람인지 아니면, 영남에 살던 청동기시대 사람이 보고 들은 바를 그린 것인지 불분명하다. 앞으로의 연구성과를 기다려 볼 수 밖에 없다. 아직까지는.

 

필자는 울산 대곡천의 반구대와 천전리 암각화는 같은 강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지만 매우 성격이 다르다 라는 말을 하고 싶었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1, 「반구대암각화와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배 문양 암각화 비교검토」, 『인문사회과학연구』,제 22권 제 2호.

김재윤, 2021, 「시베리아 청동기시대와 천전리 암각화의 비교고찰-오쿠네보 문화와 카라숙문화 암각화를 중심으로」, 『고고학』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