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성벽'에 해당되는 글 2

  1. 2021.08.22 드네프르강 유역의 벨스크 성곽
  2. 2018.07.24 암구강 유역의 성곽 1

벨스크 성곽은 동과 서의 개별 성곽과 이 두 성을 연결하는 또 다른 성벽 및 북쪽에 위치한 쿠즈민 성으로 이루어졌다. 동과 서의 성곽 이름은 따로 없고, 벨스크 성의 동쪽 성과 서쪽 성이다.

 

동과 서의 성곽은 축조되시 시작한 시점에 차이가 있다고 하지만 거의 비슷한 시점에 만들어졌다고 보는 것이 맞는 거 같다. 하지만 두 성의 구조차이는 크다.기원전 7세기 경에 만들어지기 시작해서, 기원전 3세기까지 유적에서는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이 있다.

 

서쪽의 성곽은 지점마다 성벽높이의 차이가 있지만 5~8m이고, 성벽의 가장 아래 너비는 22~32m이다. 해자의 깊이는 6m에 달한다.

 

그림 1. 벨스크 성곽의 서쪽 성

 

1985년에 성벽을 절개조사했는데(어느 지점인지는 정확하지 않음), 성벽을 4번에 걸쳐서 올렸던 것이 확인되었다.

 

그림 2. 벨스크 성곽의 서쪽 성벽의 단면도, 단면도에서 기호가 다른 것은 각 층을 이루는 흙을 설명한는 것이다. 

 

서쪽 성에서는 많은 구덩이가 확인되었는데, 집자리도 있고 토기들이 들어간 구덩이도 있다. 서쪽 성에서는 집은 땅을 파고 만든 집이지만, 동쪽 성은 상황이 다르다. 서쪽성과 동쪽성에서 모두 그리스 토기가 발견되지만, 그리스와 무역이 본격화 된 것은 기원전 5세기 경이라고 생각된다.

 

지금 필자가 참고하고 있는 책은 1987년에 출간된 것으로 이 후에 좀 더 자세한 자료가 축적된 것으로 보인다. 1987년에는 성의 평면도와 성벽 단면도 그리고 성 내의 구조물들이 보고 되기는 했지만, 성벽의 구조물에 대해서는 자세하지 못하다.

 

참고문헌

 

Шрамко Б. А. Бельское городище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город Гелон). К., 1987. (시람코 1987, 스키타이 시대의 벨스크 성곽: 헬온 도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암구 강은 높지 않은 산에서 발원하는데, 막시모프카 강과 암구 강으로 갈라진다. 이 강은 동쪽 방향으로 흐르는데, 중류역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꺾여서 동해(암구 마을)로 들어간다. 강의 길이는 거의 50km 이다. 이 강의 좌안은 레오노프카 강이고 우안은 헤르바토프카 강이다. 강의 입구는 넓은데, 자주 홍수가 난다.

 암구 강의 상류 유역은 시호테 알린 산맥의 동쪽과 관련되지 않았고, 마시모프카 강(크후친)의 상류가 그 경계이다. 이 강의 상류역에는 높이가 1400~1500m에 달하는 산(두만, 세르바타야)의 정상부가 이 강 유역의 상류쪽과 관련있다. 이 강 중류역의 산 높이는 500~800m이고, 하류역은 300m이다. 이 강 유역에는 많은 강이 흐르고 있다.


그림 96. 암구강 유역


1. 쿠댜 성곽


암구 마을에서 서쪽으로 4.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사진 57, 그림 96~98, 10, 30페이지 지도). 1974년에 댜코바가 이 성의 평면도를 작성하였다. 2001년에 아무르-연해주고고학탐사단이 지표조사 하였다. 쿠댜 강의 좌안에 위치한 언덕의 정상부에서 13개의 원형 수혈이 확인되었다. 언덕의 북쪽은 고개로 이어지는데, 이곳에 부채꼴 모양의 벽이 잔존한다. 이 성벽의 길이는 75m이다

 서쪽에는 독립된 벽이 남아 있는데, 언덕의 정상부를 따라서 길이 15m가량 남아 있다. 벽은 언덕의 정상에서 보이는 자갈로 축조되었다. 벽의 높이는 안쪽에서는 0.3~0.4m가량이고, 바깥쪽에서는 언덕의 경사면으로 바로 떨어지고 있다. 성벽의 너비는 1.5~2m이다.

  


그림 97. 쿠댜성곽 평면도


언덕의 정상부에는 시굴흔적이 남아 있는데, 다음과 같은 토층상황이 확인된다.


1.부식토층으로 두께 0.05m

2.쇄석이 혼입된 갈색 사양토 두께 0.1m

3. 갈색조가 혼입된 자갈층으로 생토

 

2층에서는 문양이 없는 연질 토기가 2점 확인되었는데, 토제 방추차도 확인되었다.


쿠댜 환호는 산지성으로 개방형이고, 성벽은 부채꼴 모양이다. 성의 안은 편평하고, 내성과 보루 등도 확인되지 않는다. 성벽에는 치와 같은 구조물은 없고, 성벽은 돌로만 축조되었다. 성의 용도는 취락을 방어하는 용도로 제작되었다. 청동기시대의 리도프카 문화로 기원전 1 천년 기에 축조되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