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1. 2. 3. 13:29 스키타이 동물장식

 

기원전 5세기의 흑해 지역에서 발견되는 간두령 장식은 가장 윗단에 붙은 동물장식의 변화가 보인다. 그리핀과 뿔이 화려하게 표현된 사슴장식이 톨스타야 마길라 유적에서 발견되었고 좀 더 늦은 시기인 체르토믈리크 유적에는 간소화? 도식화? 된 동물장식이 간두령 끝을 장식한다. 사실 말이 동물장식이지 거의 잘 알 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렇다면 기원전 5세기이후의 사슴모양은 대부분 추상화 혹은 도식화 혹은 간소화 되었다고만 볼 수 있을까?

 

기원전 5세기 유적 중에 한 곳인 두로프 쿠르간(그림 1)에서는 둥근 메달 모양장식판에 사슴이 표현되어 있다(푸지코바 1966). 앞다리의 무릎은 굽어있고 접은 앞다리와 서 있는 뒷다리의 굽은 서로 겹쳐져 있다. 사슴의 자세는 다리를 배쪽으로 접은 자세와는 차별이 있는 것으로 동물투쟁문양에서 확인되는 것이다.

 

그림 1. 두로프 쿠르간의 원형장식

 

이 시점의 청동 끝장식 중에 방울 바로 상단에 동물장식이 부착되도록 디자인 된 것도 있지만, 이미 몇 번 보았듯이 청동 유물이 지팡이 끝에 달리도록 슴베 부분이 만들어져 있고 그 아래에 방울이 달리도록 만들어진 것도 있다. 그 상단에 역시 동물장식이 있다.

 

(앞서 본 간두령과는 지팡이 혹은 막대 끝에 달리도록 만들어졌고, 소리가 난다는 점에서 같은 용도이지만 분명히 형태상으로는 다르다. 그림 2와 같은 유물은 기원전 5세기 이후에 나온다)

 

주로 그리핀이나 다른 동물들이 부착되지만 크라스노쿠트 쿠르간에서 발견된 유물은 그리핀이 다른 동물을 잡아 넣는 형상이다. 이 맹수는 그리핀처럼 보이지만 꼬리가 뱀처럼 말려 있어서 해마라고 여겨지며, 그리스적인 스타일이라라고 보고 있다(페레보드치코바 1994). 하지만 그리핀+해마의 과장된 눈과 표면을 처리하는 제작방법은 스키타이 스타일이다.

 

그림 2. 크라스노쿠트 쿠르간

 

그림 3. 크라스노쿠트 쿠르간

 

그림 4.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쿠르간

 

간두령 장식으로 크라스노쿠트 쿠르간, 알렌산드로프스키 쿠르간 등에서는 날개를 편 새가 발견되었다. 날개를 편채 실제 나는 모습처럼 보이지만, 스키타이 동물 스타일이라고 볼 수 있는 요소는 없다. 눈은 없고, 세부부위도 강조되지 못했다.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의 것은 부리와 눈 표현이 있기는 하지만 기원전 4세기경의 스키타이 스타일은 아니다.

 

간두령 장식은 스키타이 전통을 간직한 유물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기원전 4세기 경에는 그리스 스타일의 해마와 그리핀이 결합된 채 발견되기도 하고, 스키타이 동물 스타일이라고 볼 수 없는 날개 편 새가 달리기도 한다.

 

참고문헌

Артамонов М.И. 1966 : Сокровища скифских курганов в собран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Эрмитажа. Прага — Л.: Артия, Советский художник. 1966. 120 с

Полин С.В., Алексеев А.Ю. 2018 : Скифский царский Александропольский курган IV в. до н.э. в Нижнем Поднепровье. Киев, Берлин: «Видавець Олег Філюк». 2018. 930 с. («Курганы Украины». Т. 6)(폴린, 알렉세예프 2018, 드레프르강 하류의 기원전 4세기 스키타이 차르 무덤-알렉산드로프스키폴 무덤)

Пузикова А.И. 1966 : Новые курганы 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в Белгородской области. // КСИА. Вып. 107. М.: 1966. С. 80-91(푸지코바 1966, 벨고로드스키 지구의 스키타이 무덤 최신자료)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2. 2. 13:23 스키타이 동물장식

흑해의 스키타이 문화 기원전 7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 간두령 및 끝장식이라고 불리는 유물은 그리스 문화의 유물이 많아지는 기원전 5세기 및 기원전 4세기에도 발견된다. 방울 위에 동물을 부착하는 기본구조는 같지만 동물과 방울의 모양은 달라진다.

 

동물의 모양은 쿠반 강 유역의 세미브라트노예 유적에서 보이는 동물장식처럼 납작한 청동판에 음각을 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주로 사슴(그림 1-3, 4)과 그리핀(그림 1-1,2)이 많이 발견되는된다. 사슴의 뿔은 소용돌이 같고 견갑부는 나선모양이다. 톨스타야 마길라에서 출토된 방울은 사슴모양과 가깝지만(그림 2) 체르토믈리크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그림 3)은 거의 동물의 모습이 보이지 않고 나선문양, 뿔만 강조되었다.

톨스타야 마길라 유적의 청동방울에 달린 사슴(그림 1-3)은 눈의 모양이 원형이 아니라 옆으로 찢어진 모양이다. 그리핀(그림 1-1,2, 그림 2)은 날개를 위로 치켜올리고 있고, 턱 아래에는 알 수 없는 긴 수염?같은 것이 붙어 있다.

 

그림1. 톨스타야 마길라 유적(1~4)과 체르토믈리크 유적(5)

 

그림 2. 톨스타야 마길아 유적(그림 1-4와 동일)

 

그림 3. 체르토믈리크 유적

 

그런데 이 유적에서 발견된 장식패식(일종의 치레걸이)(그림4)에는 납작한 장식패에 새의 머리를 입체적으로 붙인 유물이 여러 점 발견되었는데 그리스 장인이 제작했다고 한다(모졸레프스키 1979). 비슷한 방법으로 표현된 유물이 간두령 장식에 부착되는 현상이 있다. 그래서 기원전 5세기경(알렉세예프 2003)에는 간두령 장식에 그리스적 요소가 가미되었다고 보았다(페레보드치코바 1994). 

 

그림 4. 톨스타야 마길라 유적의 장식패

 

그렇다면 간두령 장식은 스키타이 초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스키타이 이전의 청동기시대 후기 코반 문화의 청동장식이 붙어 있었다. 기원전 5세기가 되면 그리스적인 동물장식이 붙는 것이라고 단편적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기원전 4세기 후반 체르토믈리크 유적(알렉세예프 2003)의 간두령 장식(그림 3)은 그런 요소가 보이지 않는다.

체르토믈르크 유적의 간두령 장식은 톨스타야 마길라 유적 출토품에서 이어 받아서 추상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기원전 5세기 이후의 간두령 장식은 이러한 계통만 있는 것일까?

 

 

참고문헌

 

Алексеев А.Ю. 2003 : Хронография Европейской Скифии VII-IV веков до н.э.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03. 416 с(알렉세예프 2003, 기원전 7-4세기 유럽스키타이문화의 편년)

Мозолевській Б.M. Товста Могила. Київ, 1979, с. 40(모졸레프스키 1979, 톨스타야 마길라, 우크라이나어, 도면참고, )

Piotrovsky B., Galanina L., Grach N. 1986 : Scythian Art. The Legacy of the Scythian World: mid-7th to 3rd century B.C. Leningrad: Aurora Art Publishers. 1986. 184 p.

Е.В. Переводчикова 1994,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페레보드치코바 1994, 언어로서의 동물문양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