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환동해문화권: 러시아연해주, 북한, 중국/청동기시대'에 해당되는 글 16

  1. 2018.11.19 북한의 서포항 유적
  2. 2018.03.18 시니가이 문화8: 시니가이 문화가 속한 시간
  3. 2018.03.17 시니가이 문화 7: 시니가이 문화는 언제 부터?
  4. 2018.03.14 시니가이 문화 6: 동부지역의 석기
  5. 2018.03.12 시니가이 문화 5: 동부지역의 토기

북한의 서포항 유적

 

북한의 서포항 유적은 두만강 하구에 위치하고, 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까지 오랫동안 유적에서 사람이 산 흔적이 확인되어 두만강 유역 및 인접한 연해주의 선사시대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남한 연구자들이 북한 유적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200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남한의 유적들이 대거 발굴되었는데,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자료가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 필자가 석사과정에 들어가면서 북한 및 인접한 지역에 대한 자료의 호기심으로 인해서 러시아로 유학을 결심하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북한의 자료가 60년대 이후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았고, 절대연대가 측정(탄소연대측정법은 미국에서 1960년대 이후 개발되어 그 이후 자료에만 적용됨)되지 못했기 때문에 북한 자료의 연대문제에 대해서는 반드시 인접한 지역과의 비교가 필수이다.

 

필자는 이미 서포항 유적의 신석기시대 연대를 인접한 연해주 신석기문화와 비교해서 두만강 유역의 문화영역 및 연대를 밝힌바 있다. 이 논문은 그래도 한국에서 최고권위에 잡지인 한국고고학보에 실렸다(아래에 첨부함,,정말뿌듯했음. 유학당시에). 그리고 연해주고고학의 신석기시대 부분에서 설명한 바 있다.

01김재윤OK.PDF

 

 

올해 새롭게 쓴 논문은 이 유적의 청동기시대층과 관련된 것이다...이에 대해서 설명할 것인데,,어떻게 쉽게 설명할 것인지가 또 어렵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전고(김재윤 2017)에서 ‘전환기’라고 명명했던 한카호 유역의 3유형 가운데 레티호프카 04년 수혈, 아누치노 29유적은 시니가이 문화 중에서도 가장 이른 단계의 유적일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 수혈에서는 신석기 후기 문양이 그려진 토기()와 함께 이미 무문의 봉상파수토기가 출토된다. 신석기 문양이 그려진 토기라고 해도 높이가 60cm인 발형토기()는 신석기 토기와는 크기와 용량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 또한 석착, 편평석부, 성형석부, 석검 등은 마제석기가 다른 유적에 비해서 비중이 크다. 편평석부, 성형석부, 석검은 신석기시대 후기에서는 찾아 볼 수 없다(김재윤 ). 이 유적의 절대연대는 연해주 신석기 후기 가운데 가장 늦으며, 이미 연해주 해안가 유적에는 마르가리토프카 문화가 등장한 시기이다(표). 이 유적을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1유형으로 볼 수 있다. 서부 2유형은 앞서 살펴보았던 시니가이 A유적의 중층, 하린 유적이다.

 

따라서 시니가이 문화의 상한은 시니가이 문화 서부의 1유형에 해당되는 레티호프카 유적의 04년도 수혈(구덩이)를 참고로 할 수 있다. 이를 기준으로 상한연대를 삼을 수 있다. 현존하는 절대연대는 3600B.P.년까지 올라가 있지만 두만강 유역에서는 아직 신석기 시대 마지막 시기이다. 이 때 동부지역에서는 마르가리토프카 문화가 존재했는데, 이를 참고로 해서 3400 B.P.정도부터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 유적의 하한연대는 3200B.P.로 동부지역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하한연대 3300B.P.보다 약간 늦다(표1). 그렇다면 3300~3200B.P.년 경에 서부 1유형과 마르가리토프카 문화가 끝나고 서부2유형과 동부 1유형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유적

절대연대(B.P.)

보정연대(BC)

참고문헌

신석기후기

자이사노프카문화

한카호2유형(김재윤 2017)

보골류보프카-1 06년 주거지

3890±60 (SNU07-260)

 

가르코빅 2008

노보셀리쉐-4 주거지

3840±70(AA-13400)

3755±35(AA-36748)

 

얀쉬나. 클류예프 2004

청동기시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

글라조프카-2

3605± 35(AA 37114)

 

J.Cassidy 2003

3580± 40(UCR-3773)

 

J.Cassidy 2003

에프스타피-올렉 1

3615± 80(ГИН 6948)

 

J.Cassidy 2003

프레오브라줴니예1

3510±70(Вета-172568)

 

J.Cassidy 2003

자랴-3

3570±80(Вета-133846)

 

J.Cassidy 2003

3520±40(Вета-172570)

 

J.Cassidy 2003

3540±70(Вета-172573)

 

J.Cassidy 2003

모나스트르카-3

3420±40(ГИН-10218)

 

댜코프 1999

3340±40(ГИН-10219)

 

3400±40(ГИН-10220)

 

시니가이 문화

레티호프카 04년 수혈

3610±80(COAH-6108)

 

쿠르티흐 외 2008

3240±80(COAH-6109)

 

金材胤 2006

3200±100(COAH-6110)

 

노보셀리쉐-4 중간층(청동기시대층)

2980±50(ГИН-6951)

 

얀쉬나 클류예프 2004

수보로보-6

2960±90(ГИН-7234)

11-10

쿠즈민 외 2003

2935±50(СОАН-3023)

11-10

2320±55(СОАН-3022)

5-4

2540±40(АА-36623)

7-6

아누치노-14 청동기시대

2640±55(СОАН-4491)

 

Klyuev 2001

시니가이 A 중층(청동기시대층)

2875±45(СОАН-1540)

 

브로댠스키 1996a

2820±55(СОАН-1541)

 

리도프카 문화

리도프카 1의 상층

2610±45(СОАН-1390)

 

댜코프 1989

2535±40(СОАН-1424)

 

2570±60(СОАН-1388)

 

2450±50(СОАН-1389)

 

표1. 연해주 신석기후기~청동기시대 절대연대(유적의 위치는 http://eastsearoad.tistory.com/145에서 확인가능함)

그런데 현재 측정된 자료는 서부 2유형과 동부 2유형에 해당되는 유적으로 연대가 3000.~2500B.P. 집중된다(표1). 서부 2유형에서 연대를 참고 할 수 있는 것은 청동유물이다. 시니가이 A유적의 중층에서 출토되는데, 이를 직접 분석한 콘코바는 자바이칼 유역의 카라숙문화와 관련되어 있다고 보며, 기원전 13세기~9세기에 유라시아에서 동아시아로 전해졌다(강인욱 2017).  그렇다면 서부 2유형은 현재 측정된 절대연대 보다 좀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동부 1유형의 연대는 여기에 해당되는 유적의 측정연대가 없다. 그래서 2유형(그런데 시도렌코()는 동부 2유형에 해당되는 베트로두이 유적(테튜헤 유형)의 절대연대인 1~3세기를 하한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연해주 폴체문화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시료채취에서 문제가 있어 보이는데, 베트로두이 유적의 유물은 참고할 수 있으나 절대연대를 논하기에는 적당치 않다)에 속하는 연대를 수보로보-6유적의 연대  를 참고 할 수 있는데, 대략 3000B.P.에 2유형이 시작됨으로 이를 1유형이 끝나는 시점으로 볼 수 있다. 동부 1유형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가 끝나는 3300B.P.부터 동부2유형이 시작되는 3000B.P에 속할 수 있다.
시니가이 문화의 하한은 이 문화의 다음 시기에 해당하는 리도프카 문화가 2500B.P.부터 임으로 이를 참고할 수 있다.  

표2. 시니가이 문화의 연

따라서  연해주의 청동기시대는 단절적이지 않고 신석기 후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변화된다. 3600년경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가 연해주 동부지역에서 먼저 시작된다. 3400B.P.년경 시니가이 문화로 서부에서 먼저 변화되며, 3300B.P.마르가리토프카 문화가 끝나는 시점에 동부지역에서 시니가이 문화가 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니가이 문화의 유적은 연해주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지만,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유적은 연해주의 동부지역(해안가)에만 위치하고 있다(http://eastsearoad.tistory.com/145?category=737917의 그림 1 참고). 현재의 자료로는 시니가이 문화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 사이의 공백기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고고학 현상과는 차이가 있다.
  연해주 내륙의 신석기 후기 단계에는 레티호프카 유적, 시니가이 A유적, 아누치노-14, 노보셀리쉐-4유적 등 신석기시대 후기 유적에서는 반드시 그 상층에서 시니가이 문화 청동기시대 층이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는 신석기시대 토기가 주거지 바닥에서 확인된다. 레티호프카 유적의 절대연대는 이어지는 시니가이 문화의 연대와 이어지고 있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가 단절적이지 않은 점은 여러 가지 정황이 확인된다.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변화는 토기에서 확인된다. 신석기시대 외반 구연의 발형토기(그림1-1,2)는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에서는 토기 기형의 기고가 짧아지면서 발형에서 많이 변형되었다(그림1-8). 이 변화는 전고(김재윤 2011)에서 뇌문토기 기형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았다. 뿐만 아니라 시니가이 문화의 토기도 신석기시대 외반 구연 발형토기가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구연부가 좀 더 외반하면서 옹형(그림 1-9)화되었다. 일부 토기는 경부가 좀 더 길어지고 호형으로 변하며, 무문화되었다(그림 1-12). 

그림1


 뿐만 아니라 구연부에서도 변화가 보인다. 신석기후기의 구연부에 돌대를 부착하거나 구연단에 접해서 이중구연(그림 2-1~3)처럼 붙는 제작방법은 청동기시대문화(그림 2-4~9)에서도 이어진다. 호형토기의 구연부는 외반하면서 약간씩 접고 그 상단을 손으로 눌러서 마무리 하면서 퇴화 이중구연(그림 2-10)처럼 보인 것도 있고, 일부는 구연단화 되어 홑구연(그림2-11)이다. 

그림 2

 이를 신석기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자연스러운 변화를 직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유적은 레티호프카 유적와 아누치노 29이다. 레티호프카 유적 04년도 수혈과 아누치노 29 유적에서 무문 봉상파수부 토기(그림 3-1~6)가 모두 출토되었으며, 이는 서부 2유형인 시니가이 A유적의 중층에서도 출토되었다. 또한 이와 함께 신석기 문양이 그려진 높이 60cm 가량의 구연부 외반된 발형토기(그림 1-6)가 유사한 기형으로 문양이 없는 토기(그림1-7)가 시니가이 서부 2유형에서 출토된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42?category=737917의 그림 1-2)이 토기는 기고보다는 동최대경이 훨씬 더 큰 독특한 기형으로 청동기시대에도 그대로 유지된다.
 만약 몇 백년간 단절이 있었다면 거의 유사한 형식의 토기가 비슷한 지역에서 출토되는 것이 가능할까?

그림 3

 특히 직접 발굴에 참가한 바 있는 레티호프카 유적의 04년도 수혈에서는 편평 석부, 성형석부, 환상석기, 석검의 봉부 등은 이 지역 신석기시대에서는 출토되지 않는 마제석기(그림4- 6~12,15,17~19)가 수혈의 바닥에서 출토되었다. 아누치노 29 유적에서도 다른 신석기후기 유적에서 확인되는 타제석촉과 함께 마제석부, 마제석착(그림 4-5,13,14,16) 등이 출토된 바 있다. 필자는 레티호프카 유적이 이미 신석기시대 후기가 아닐 가능성도 있음을 밝힌 바 있고, ‘전환기’라는 용어를 사용했다(김재윤 2004, 김재윤 2017).
 토기 뿐만 아니라 곡물자료도 레티호프카 유적의 시대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04년 수혈에서는 조와 기장이 출토되었는데, 그 형태와 수가 신석기후기의 다른 유적에서 출토되는 것과는 다르다(세르구세바)는 점도 이를 뒷받침 한다.

그림4

이 문제는 시니가이 문화의 연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측정된 연대로만 시니가이 문화의 시작시기를 알 수 없다. 현재 이 문화는 연해주에서 유적조사가 그렇게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이다.

 언제 시작되었을까?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니가이 문화의 동부지역에서는 1유형과 2유형 모두 타제석기가 서부지역에 비해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 이전 시기인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동부 1유형(루드나야 프리스턴 2층)에서도 타제석기와 함께 마제석부(http://eastsearoad.tistory.com/145 의 그림 2 참고)도 확인되었다.


 동부 2유형 석기는 타제(때려서 만드는 방법)로 제작된 석촉(그림 1-1), 뚜르개(그림 1-2), 긁개(그림 1-3) 등은 1유형에서부터 계속 확인되며 석부, 석촉형 석기, 석촉, 석창, 석도 등 마제(갈아서 만드는 방법)석기의 종류가 늘어난다. 석부(그림 1-4)는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에 가깝게 각이 져 있다. 석촉형 석기는 끝부분이 둥글게 처리되었으며, 단면은 편평하다. 반면에 석촉(그림 1-6)은 중앙에 석촉의 중앙에 홈이 파져 있으며 끝부분이 들어가 있다. 석도(그림 1-7)는 반파된 것으로, 호선모양에 날이 마연되어 있다. 석창(그림 1-8)은 슴베가 부러진 것인데, 중앙에 능이 있다.

(그림 1. 시니가이 문화 동부지역의 석기, 1유형-상단, 2유형-하단)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니가이 문화는 연해주 해안가에도 유적이 확인되고 있다. 이를 시니가이 문화의 동부유형이라 할 수 있고, 1유형과 2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1유형과 2유형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구분한 것이다. 이를 알 수 있는 것은 루드나야 프리스턴 유적에서 층위를 이루며 확인되고 있다.
 

(그림 1. 1-시니가이 A, 2-레티호프카, 3-아누치노 4, 4-아누치노 14, 5-쿠르글나야 돌리나, 6-블라고다트노예-1, 7-보다라즈젤나야, 8-루드나야 프리스턴, 9-수보로보 6, 10-리도프카 1, 11-에피스타피-1, 12-졸로타리 유적)


동부 1유형에 해당되는 토기특징은 신석기시대 문양이 남아 있는 토기와 함께 무문양으로서 구연부위가 벌어진 옹형토기(그림 2-1)이다. 이 토기의 구연은 점토가 하나 더 붙어 있는 이중구연이다. 구연단을 접은 것(그림 2-3)과 구연단 부근에 돌대를 부착한 것(그림 2-2)이 있다. 돌대나 이중구연단에 여러 가지 도구로 문양을 새기거나 문양을 새기지 않은 것도 있다. 문양을 새긴 것은 신석기시대 시문도구로 각목한 것, 단치구에 의한 단순한 각목이 있으며 파상으로 접은 것도 있다.


(그림 2, 시니가이 문화 동부 1유형 루드나야 프리스턴 2층(상단), 동부 2유형 루드나야 프리스턴 3층(하단)

동부 2유형 토기양상을 알 수 있는 곳은 루드나야 프리스턴 유적의 3층, 수보로보 6, 보도라즈젤나야, 베트로두이 유적 등이다. 발형토기 뿐만 아니라 옹형과 경부가 길어진 호형토기(그림 2-4)가 출토된다. 서부지역과 마찬가지로 마연된 토기이다. 구연부 제작방법은 홑구연도 있고, 구연단을 접은 이중구연토기(그림 3-1)도 출토된다. 구연단 상단에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1유형에서 확인된 단치구로 찍어서 새긴 각목(그림 3-7)도 확인되지만, 새로운 문양이 관찰된다. 삼각형(그림 3-6), ∩(그림 3-5), 완전 관통된 공열문(그림 3-3), 반관통된 공열문(그림 3-4) 등인데, 시니가이 문화 동부지역의 2유형에서만 보인다.


(그림 3. 시니가이 문화 동부 2유형)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