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3/04'에 해당되는 글 2

  1. 2023.04.28 나무끝에 달린 청동으로 된 남성10
  2. 2023.04.25 진짜 '파파이'일까?4

 

드네프르 강 유역에서 발견된 간두령 끝에 달려 있는 남성은 파파이(그림 1-1)로 여겨진다. 간두령은 자세히 보면 나뭇가지 모양으로 뻗어져 있고, 그 끝에는 새가 달려 있다.

 

이 유물은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채집된 것이기 때문에 연대를 알기 쉽지 않다. 그러나 다행히도 드네프르강 유역의 수많은 유적 중에서 알렉산드로프키폴 유적의 유물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납작한 원판을 흔들리도록 단 방법, 청동방울과 새를 간두령에 장식하는 방법? 혹은 행위 등은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그림 1-3,4,5,6)과 유사하다.

즉 기원전 4세기 유적에서 볼 수 있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유물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청동으로 된 남성이 파파이로써 만들어 진 것인지는 모른다.

 

 

그림 1. 스키타이 남성들

 

 

그런데 스키타이 연구자들은 세계수, 간두령을 생긴 모습으로 그 뒤의 정신적인 부분을 해석하고자 했다. 지팡이 혹은 막대기 끝에 끼워서 사용되는 청동으로 된 장식(간두)은 유목민의 세계관이 녹아 있는 유물이라고 라에프스키, 페레보드치코바 등이 이미 연구 한 바 있다.

나무가 뿌리내리고, 자라고, 뻗어있는 장소가 지하, 지상, 하늘이고, 나무의 구조대로 우주의 3세계가 구성된다고 하는 유목민의 관념 축소한 것이 간두령 혹은 간두장식이다. 그리고 이 유물은 전통적인 스키타이 유물이다.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발견된 이 청동 남성이 정말로 파파이 인지는 모르지만, 간두령 장식으로 사용된 점은 그냥 지나가는 남성은 아니었을 것이다. 특별한 사람 혹은 영웅일 수도 있다. 그러나 스키타이 여성형상물처럼 오랫동안 사용었거나, 특정인물이 반복적으로 나오는 것은 아니다. ‘파파이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물론 스키타이 남성들은 간두령에서만 발견되는 것도 아니다.

 

(, 파파이는 스키타이 신으로 남성신 중에 한명이다. 헤로도투스는 그를 제우스와 비교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전 지역으로 보았을 때 여성형상물은 시베리아, 동유럽 모두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출토된다. 그럼 남성형상물은 어떨까?

 

남성형상물은 시베리아 말타 유적에서는 여성형상물보다 숫자는 적지만 남성상징 모양으로 매우 간단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신석기시대와 순동시대에는 여성과 남성 등 성을 구분하지 않은 여성형상물이 출토되었다. 청동기시대 오쿠네보 문화에서는 여성형상물과 남성형상물이 모두 확인된다. 철기시대 스키타이 문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동유럽에서는 흑해북안의 스키타이 문화가 되면 남성형상물이 나오기 시작한다. 앞서서 이야기 했지만, 벨스크 성곽 유적의 주거지 내에서 출토된 토제로 된 것이다(그림 1). 이는 ‘파파이’라고 발굴자는 보고했다. ‘파파이’는 기록속에 나오는 스키타이 신 중에 한명이다. 헤로도투스는 ‘파파이’가 제우스라고 했다(IV.59).

 

그가 과연 파파이 일까?

파파이라고 추정한 이유는 기존에 알려진 유물 가운데 청동의 간두장식 위에 장식된 남성을 일컬어 ‘파파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또 벨스크 유적의 성곽 규모나 그 내부에서 나온 의례 흔적 들 때문이기도 하다. 너무 간단한 이유라고 할 수도 있지만, 또 아니라고 하기도 딱히 마땅치 않다. 아마도 시람코는 자기가 발굴한 유적이 대단하기를 바랬을 것이다. 필자라도 그랬을꺼 같다.

 

그림1. 기원전 7세기 벨스크 유적의 토제 남성형상물

 

 

 

그런데 간두장식 위에 달려 있는 남성(그림 2)은 왜 파파이가 되었을까?

사실 간두령이나 간두장식은 스키타이 유목민의 정신세계와 관련된 유물이다. 필자가 이야기 한 것은 아니고, 이미 많은 연구를 한 페레보드치코바나 라에프스키 등이 이에 대해서 적은 바 있다. 이 블로그에도 이미 소개되었다.

 

그림2. 기원전 5세기 드네프르강 하류에서 수집된 간두 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