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19. 3. 30. 21:10 환동해문화권의 암각화

 

앞서 영남에 주로 분포하는 동심원문 암각화를 바탕으로 영남이 환동해문화권과 교류했던 것으로 보았다.

(새로 바뀐 글쓰기....전 너무 별로인듯....플러그인 시도하면 10번중 한번 되는 것 같음)

 

작년에 필자가 발표한 원고를 정리해서 논문투고 정리하던 중,  그곳에서 표가 잘못 올려진 것을 발견했다.

 

동심원문암각화의 유적은 대부분 영남 내륙에 위치한다(지도참고). 6500~6000년 전은 아무르강 하류와 동해안, 6000~5800년 전은 연해주와 동해안이 같은 문화권이라고 해도 이 연대를 영남 동심원문암각화연대의 제작시기로 바로 연결시키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앞서 제시된 연대는 토기를 근거로 한 것인데, 일상생활용품이다. 암각화는 정신적인 영역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 사카치알리안, 2. 세레미체보, 3. 쌍탑, 4. 지초리, 5. 영천보성리, 6. 포항 대련리, 7. 대구 진천동, 8. 대구 천내리, 9.고령 앙전동, 10. 고령 안화리, 11. 밀양 안인리, 12, 함안 도항리, 13. 동래 복천동(김재윤 2019)

 

영남에 그려진 동심원문암각화는 남해안신석기시대인이 그린 것으로, 어떤 형태로든지 환동해문화권사람들과 정신적인 교감으로 생겨났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최소한 영남에서 특히 내륙에 유적이 생기는 시점 이후에 암각화도 그려졌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영남의 내륙에 마을단위의 유적이 생기는 시점은 청도 오진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5000년 전 이후이며, 동심원문 암각화도 이후일 수 있다(표1).

표1. 시간에 따른 환동해문화권의 범위와 교류권 김재윤 2019

 

*게재되면 완성된원고는 첨부할 예정입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