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형식- 고개 산성(산성은 구릉성, 고개, 봉우리, 절벽 등으로 분류된다.)
이 형식의 산성은 주로 산의 고개마루에 지어지는데, 큰 강의 유역에서부터 다른 교통로로 이어지는 곳을 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각된다. 2형식에 해당하는 산성은 모두 4개인데, 베뉴코보스코예 산성, 포드네베스노예 산성, 말라야 카리마 산성과 카라민스키 흐레베트 산성 등이다.
베누코프스코예 산성은 시호테 알린 산맥의 서쪽 경사면으로부터 동쪽으로 이어지는 길목에 축조되었는데, 이 교통로는 제르칼나야 강까지 이어지고, 다시 하류에서는 동, 남, 북쪽으로 지류를 따라서 나누어진다.
북쪽 방향은 지류는 제르칼나야 강에서부터 테튜헤 고개를 통해서 루드나야 강 유역의 모나스트르카 강까지 이어진다. 남쪽과 동쪽 방향은 브루실로프카 강과 사도비 클류치 강의 상류와 연결된 교통로이다. 이 세 방향은 제르칼나야 강과 통하게 되어 있다.
포드네베스노예 성곽은 시호테 알린 산맥의 서쪽 경사면의 아무르 강 유역에서부터 동쪽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길은 볼샤야 우스르카 강의 지류와 드지기토프카 강의 지류인 이르티스 강을 통해서 동해안의 드지기트 항구까지 이어진다.
말라야 카르마 성곽과 카라민스키 흐레베트 성곽이 위치한 곳도 지보피스나야 강 유역의 암구 유역에서부터 들어오는 북쪽 문지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고개마루에 위치하고 있는 산성은 그 평면형태로 크게 3가지로 구분가능한데, 방형(장방형), ㄷ자형, 다각형 등이다.
A. 하부형식 1
포드네베스노예 성곽은 방형(장방형) 평면형태로 평면적은 24,000㎡(155×160m)이다. 방향은 성의 벽면이 동서남북과 일치한다(그림 132).
평면형태-아주 단순하고 그 내부 시설도 내성, 보루, 건축지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성벽-동쪽 성벽에서는 치가 확인되는데, 성벽은 흙과 돌을 섞어서 사용하였다. 성문은 아주 단순한데, 5m가량의 절개면이 남아 있다.
용도-방어와 감시역할을 위한 성지이다.
그림 132. 포드네베스노예 성곽
B. 하부형식 2
‘ㄷ’자형 평면형태로 말라야 카르마(그림 133의 좌)와 베뉴코프스코예 성지(그림 133의 우)가 해당되며, 평면형태는 1000㎡와 4800㎡이다(그림 133).
평면형태-아주 단순하고, 내성, 보루, 건축지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그림133. 말라야 카리마(좌), 베뉴코프스코예(우)
C. 하부형식 3
카라민스키 흐레베트 성곽과 같은 다각형의 성지로 그 평면크기는 1000㎡이다.http://암구강 유역의 성곽 6
가. 평면형태-아주 단순하고, 내성, 보루, 장대(將臺)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나. 성벽-단순한데, 치, 해자 등이 없고, 문지가 단순하다.
다. 용도-고개를 지키고 감시하기 위한 성지이다.
라. 기원-3가지 평면형태의 고개 산지성은 중국의 축조건축기술을 따랐는데, 성의 입지는 중국과는 다르다. 방형 혹은 장방형 성지는 평지에 축조되는 것은 중국의 전통인데, 이와 같은 평면형태의 성곽이 산의 고개에 위치한 것은 특이하다. 이는 교통로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자연적인 입지를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즉 자연적인 입지를 그대로 살리면서 평지성의 특징을 그대로 유지했다.
고개 산지성의 기본적인 용도는 교통로를 통제하기 위한 장소로써 아무르 강에서부터 동해로 들어가는 길을 관장하기 위함이다. 아마도 이 길목과 길은 아주 예전 선사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계속해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이러한 교통로의 주요 지점에 건축물을 것은 발해로 최초로 8세기를 넘지 않는다.
새로운 지역에서 적응하기 위해서 고아시아족과 퉁구-만주족을 받아 들여야 했고, 외부의 적과 물자교류에서 얻을 수 있는 세금을 걷기 위해서 이러한 곳을 통제했을 것이다.
중국식의 똑바른 방형의 평지성은 러시아 극동에서는 발해에 의해서 처음으로 축조되었는데, 처음에는 발해가 평안할 때는 주로 강 주변에 축조되었다. 그 뒤에 발해가 국난에 휩싸이고, 주변 국가들에 의해서 어려워 질 때, 자연지형을 이용하는 성지 등이 새롭게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평지성의 평면형태가 산위에 축조되는 것으로 보인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번역서2: 연해주 영동지역 고대 부터 발해및여진의 성곽연구 > 3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해주 동북지역 성곽 분류: 발해 평지성 2 (0) | 2018.08.08 |
---|---|
연해주 동북지역 성곽의 분류: 발해 평지성 1 (0) | 2018.08.08 |
연해주 동북지역 성곽의 분류 4: 산지성 중 절벽산성 (0) | 2018.08.07 |
연해주 동북지역의 성곽 분류 3: 산지성 중 봉우리 산성 (0) | 2018.08.07 |
연해주 동북지역 성곽의 분류 1: 산지성 중 구릉성 산성 (0) | 2018.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