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환동해문화권: 러시아연해주, 북한, 중국/연구사'에 해당되는 글 3

  1. 2017.11.28 러시아의 오클라드니코프
  2. 2017.11.23 연해주와 아르세네프
  3. 2017.11.22 베이징 조약과 연해주


러시아인을 두고 ‘동양인의 사상을 한 유럽인’이라고들 한다.

필자는 그런 이야기와 꼭 맞는 예를 전공하고 있는 고고학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은 이제 000기념논총 이런 것이 거의 없어지다 시피 했다. 정년기념논총, 회갑기념논총 등 대학자 혹은 스승을 기리는 논문을 엮은 것이다.

그런데 러시아는 아직도 그런 것을 만든다. 어떤 면에서는 우리보다 더 보수적이다.
이런 인물 중에 한 명으로 오클라드니코프가 있다. 이 분은 돌아가신지가 30년이 넘었지만 필자가 유학할 당시 2008년에 탄생 백주년 기념논총을 보았다. 새삼 러시아에서 그 분의 위치를 알 수 있었다.


(그림1. 오클라드니코프 선생 탄생 백주년 기념논총)

대략 러시아 고고학의 아버지? 정도라고 하면 맞을 것이다.
소련아카데미 아카데미 학술회원이고 연해주를 포함해서 시베리아 전역을 누비며 수많은 조사를 하였다.


*한국에서 연구자는 대학교수가 되기를 바라지만, 러시아에서는 아카데미 학술회원이 되길 바란다. 소련시절에는 3D업종이 대학교수,의사였다고 하니...(아이러니 하게도 공산주의 시절에도 돈 많이 못 버는 직업이 가장 비 인기직종이었다. 두 그룹이 가장 돈 못 버는 계층이라고 한다. 현재는 그 정도는 아님). 연구자는 아카데미의 연구원을 거쳐서 아카데미 학술회원이 되는 것이 가장 큰 명예이다. 대학교수는 아카데미 연구원이 되지 못하면 가는 곳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러시아도 교육체계를 대학 중심으로 많이 바꾸고 있긴 하지만 러시아과학아카데미는 대학의 상위기관이다(학부제도가 없고 전문가 양성기관으로 대학원만 존재한다). 중국(사회과학원), 북한(사회과학원) 등 기타 공산국가들도 모두 이 제도를 표방하였다.

그가 조사한 유적은 시베리아의 부레티 동굴 유적부터, 앙가라 강의 신석기시대 유적, 아무르 강 하류의 사카치 알리안, 콘돈 유적, 루드나야 프리스탄, 수추섬, 시미파트나야, 수추 섬 등 다양하다. 아직도 각종 논문에서 거의 첫 장에 그의 이름이 발견된다. ‘이 유적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조사한 사람은 오클라드니코프 다’

(그림 2. 사카치 알리안의 오클라드니코프)

(그림 3. 메드베쥐야 소프카 유적의 오클라드니코프)

(그림 4. 세레미테보 암각화유적의 오클라드니코프)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아르세네프는 상트페테르부르그 출신으로 1902년부터 1910년까지 연해주를 조사한 사람이다. 장교이자, 탐험가, 지리학자, 고고학자로 알려져 있다. 1880년에 시데미 패총을 발굴한 얀콥스키 다음 세대의 연해주에서 유적을 찾은 사람이다.

(그림 1. 아르세네프)

1880년 베이징 조약 이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는 극동으로 사람들을 대거 파견하였다. 서양제국들이 식민지를 찾은것 처럼....

러시아에서 극동은 신비의 땅이었고, 지도도 작성해야 했고, 사람들에 대해서 파악도 필요했다. 이를 담당한 사람 중에 한명이 아르세네프이다.


지도는 아르세네프가 직접 그린 것으로 붉은 선은 그가 탐험한 경로를 그려 놓은 것이다.
우수리강과 시호테 일란 산맥을 직접 다니면서 지질, 지리조사 및 연해주의 성곽 유적을 대거 확인하고 기록에 옮겨 놓았다. 뒤에 책도 저술했는데, 『우수르 지방 탐험기(1921)』, 『데르수 우잘라(1923)』 등이 있고, 그 중 데르수 우잘라는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소련 자본으로 일인 감독이 제작했으며 소련 배우가 출현해서 소련영화이다. 필자는 이 영화를 아주 재미있게 보았다(쉽게 구할 수 있음). 데르수 우잘라는 팩트 소설인데,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있다.

(그림 2. 아르세네프의 탐험경로, 아르세네프 직접작성)

(그림 3. 영화 데르수 우잘라)

현재 러시아의 연해주 주립박물관 이름은 이 사람의 이름을 딴 ‘아르세네프 박물관’이다. 블라디보스톡에 가면 중앙광장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위치한다.

(https://www.google.co.kr/maps/dir/43.1161604,131.8820854/43.1161376,131.8820697/@43.1138917,131.8846935,16.46z

-->연해주 주립박물관 위치)

아르세네프카 조사한 연해주의 중세시대 즉 여진과 발해 성은 최근에 댜코바 박사가 다시 연구해서 저서가 출판되었다(필자가 번역했으나,,, 아직 출판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번역서는 스폰서가 없으면 출판사에서 꺼려한다고 직접들었다)
아르세네프가 확인한 유적은 발해와 여진의 성인데, 발굴을 직접한 것은 아니고, 성곽은 드러나 있는 유적이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해서 지도에 표시하는 정도이지만, 러시아 인들은 그의 연구에 대한 평가를 높이 샀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한반도 두만강 북쪽은 러시아의 연해주로 이어진다. 언제부터 연해주가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을까?
아편전쟁 이후 맺어진 베이징 조약(1860년)을 기점으로 연해주를 포함한 극동을 할양하였다.   그러나 그 이전 1858년 아이훈 조약으로 러시아와 청은 자기네 국경 관리를 시작하였다. 흑룡강의 좌안은 러시아령, 우수리강의 서쪽은 청, 동쪽은 러시아와 청이 공동관리 한다는 다소 애매한 조약을 맺은 적이 있다. 

(그림1. 베이징 조약 당시 러시아 총독으로 참가한 이그나티예프의 초상화와 오른쪽은 베이징 조약 당시를 그린 것이다)


(그림 2. 베이징 조약 이후 극동의 총독이었던 푸탸틴과 러시아의 극동지도이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서 러시아 연해주의 고고학 조사는 19세기 후반 부터 시작된다. 아마도 얀콥스키가 해안가의 패총을 발굴하게 되었는데 1880년이다. 그 후에도 20세기 초반에 들어서 모스크바에서 파견나온 지질학자이자 탐험가인 아르세네프가 연해주의 지질조사를 하면서 발견된 성을 기록에 남겨 놓았다. 이것이 연해주 고고학의 시발점으로 보고 있다.

얀콥스키의 패총발굴이야기와 아르세네프가 남긴 연해주의 발해와 여진 성 이야기는 다음으로..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