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현재 우크라이나의 헤르손 지구에 질레노예(Зеленое, Zelenoye, 녹색이라는 뜻)마을에서는 기원전 4세기경 쿠르간이 발굴되었다. 질레노예 2유적 가운데서 2호 쿠르간의 2호묘는 부부합장무덤이다. 부부합장이라고 하는 것은 무덤 구덩이 입구가 하나여서 그렇고, 사실 부부는 각각 다른 방에 매장되었다. 북쪽에는 여성, 남쪽에는 남성이 안치되었다.

2022.06.29 - [사르마트 문화] - 우크라이나의 고대 여성전사 무덤

 

https://www.google.com/maps/d/edit?mid=1CaFajXSFeSvu-7eu96jRe4TImmu5nqc&usp=sharing 

 

북쪽에 매장된 여성(21~35세 가량)은 매우 다양한 유물과 함께 부장되었는데 그 중에서 기원전 5세기에는 없던 물건이 있다. 나무 상자인데, 비슷한 시기의 다른 스키타이 무덤에서 나온 유물보다 크다.

 

그림 1. 질료니예 2유적 2호 쿠르간의 여성 부장품.(34.0 x 22.0 cm, 높이 12.0 cm)

 

 

1990년대 발견된 기원전 4세기 말(기원전 4세기 3/4분기) 유적인 불가코보 마을의 쿠르간 2호에서 있던 5호묘에서도 나무관이 발견되었다. 2개가 발견되었는데 크기가 작고(8.0 x 6.0 x 6.0 cm), 채색까지 된 것이다. 검은색과 노란색을 사용한 일종의 락커 칠이다. 뚜껑의 중간에 여성이 쪼그려 앉아서 있는데, 옷을 입지 않았기 때문에 목욕하는 한 장면으로 추정한다(그림 2-1). 다른 상자는 13.0 x 7.0 x 2.0cm 크기로 납작한 모양인데, 뼈로 된 패스너가 닫힘장치 역할을 한다. 그리스 문자 12자가 세열로 배열되어서 남아 있었다(그림 2-2).

 

 

그림 2. 기원전 4세기경 나무상자. 1~2. 불가코보 마을의 쿠르간 2호 내부의 5호묘에서 출토. 3.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 4. 푸시킨 박물관 소장

 

그리스 문자가 남아 있는 나무상자는 그리스 공방에서 제작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림이 그려져 있는 상자에는 여성만 그려진 것이 아니라 그 외곽에는 네모난 칸을 그려 넣었다. 사실 이것은 스키타이 무덤 오구즈 유적에서 나온 상자(그림 3)를 참고로 할 수 있다(피알코, 불리크 1986). 이 상자에는 뼈로 된 네모난 장식판을 붙여서 장식했다. 질로니예 2유적의 유물(그림 2-1)도 스키타이 나무상자들처럼 골제 장식판을 흉내 낸 것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이 그려진 상자(그림 2-1)은 스키타이 사람 뿐만 아니라 그리스 사람들도 썻던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불가코보 유적은 기원전 4세기 말이지만, 올리비아의 그리스 공방에서 발견되는 상자들은 기원전 4세기 초의 유물들도 있다(피알코 2012).

 

그림 3. 오구즈 유적의 나무상자에 붙인 골제 판, 두께는 0.15~0.25cm가량. 흑해북부지역에서도 나무로 된 유물은 잘 남아 있지 않다.

 

그런데 나무 상자는 그리스에서만 사용되지 않았다. 남이탈리아 화병(푸시킨 미술관)속에는 한 여성과 청년의 그림이 있는데, 여성의 손에는 나무상자가 있었다. 뚜껑에는 네모장식판이 붙여진 것이었다(그림 2-4). 또 다른 꽃병에는 다리우스의 제단장면(기원전 350~325)(그림 2-3)이 그려져 있다. 이탈리아 남부에서 발견된 암포라이다. 두 유물은 각각 푸쉬킨 미술관과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들 꽃 병 속의 상자는 그리스 상자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스키타이 쿠르간에서 나오는 유물과도 흡사하다.

 

 

 

그림 4. 질료니예 2유적 쿠르간 2호의 2호묘 출토 나무상자안의 유물

 

흑해 북부의 아마조너스 여성전사 무덤에는 왜 이런 물건들이 들어가 있었던 것일까?

 

참고문헌

 

 

Фиалко Е.Е., Болтрик Ю.В. Ларец из кургана Огуз // СА. – № 2. – 1986. С. 241-247.(피알코 1986, 오구즈 쿠르간에서 나온 나무상자)

Фиалко Е.Е. Скифский курган с античными импортами у с. Зеленое// Боспор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 Вып. XХVI. /Отв.ред. В.Н.Зинько. –Симферополь-Керчь., 2012 (피알코 2012, 질로니예 마을의 스키타이 쿠르간 속의 그리스 고전기 수입품)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7. 1. 09:22 사르마트 문화

오늘날 우크라이나인 흑해 북쪽읜 초원지역에는 스키타이 문화의 마지막 시점과 사르마트 문화가 시작하는 시점에는 무덤이 아주 많아진다. 봉분이 있는 무덤, 혹은 없는 무덤 등 매우 많은 무덤이 생긴다. 그 중에 마마이-고라(Mamay-Gora)라고 불리는 유적에는 무덤이 317개가 확인되었고 그 중에 12개가 여성무덤이었다. 남성은 110명, 여성은 135명이 확인되었고, 일부 여성들은 무기를 부장한 여성전사들이었다.

드네프르 강 하류에 위치한 스켈키 라고 불리는 유적은 봉분이 없는 무덤이다. 53개의 무덤에서 22명의 전사가 남아 있었다. 그 중에 절반은 여성인데, 11명 가운데 무기를 가지고 있는 여성은 4명이다. 팔코는 전사 22명 가운데 두 번째는 여성 전사이고, 세 번째는 무기를 소지한 여성전사로 계산하기도 한다. 스켈키 유적은 스키타이 무덤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이다. 돈 강 유역에서도 엘리자페토프스코예 유적에서 147개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그 중에 35개는 여성의 집단 무덤이다(팔코 2010).

 

이 시점의 무덤에서 발견된 여성전사들은 연령도 다양했다. 절반은 25~25세의 여성이지만 가장 어린 여성은 16세 정도이고 가장 나이든 여성은 60세도 있었다. 젋은 여성가운데 어린아이와 함께 매장된 경우가 4명 정도 발견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여성들은 미혼으로 판명되었다.

 

여성전사들이 발견되는 유적은 주로 아조프 해 연안에서 많이 발견된다. 돈강 유역에 자리 잡았던 사르마트 사람들이 서쪽으로 몰려 오면서 처음 정착한 곳이 드네프르강 하류의 아조프해 지역으로 여겨진다. 특히 여성전사들이 몰려 왔다고 한다.(헤로도투스에 따르면)

고고학적으로도 이곳에서 여성전사 무덤들이 집중되어서 기록과 비슷하다고 생각도 들었지만, 발굴이 많아지게 되면서 돈 강 유역에도 여성전사들의 무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팔코 2010). 그냥 여성들 무덤이 (남자들 생각보다) 많은 것이다.

 

질료니예 2 유적의 남녀합장 무덤 가운데 여성은 매우 특별한 존재였다고 여겨진다(그림 1). 남성보다 많은 부장품 때문이다. 이러한 예는 여성가운데 권력자의 존재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이 유적 뿐만 아니라 체르토믈리크 유적에서도 매우 거대한 무덤 속의 주인공은 여성이었다. (포스팅)

 

그림 1. 질로니예 2유적의 2호 쿠르간 2호묘, 북쪽이 여성무덤

 

 

 

2020.11.08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체르토믈리크 유적] - 흑해 기원전 4세기의 스키타이 무덤과 그리스

 

흑해 기원전 4세기의 스키타이 무덤과 그리스

스키타이 문화에서 기원전 4세기는 시베리아 알타이 뿐만 아니라 흑해 지역에서도 자신의 특징이 흐렷해진다. 우랄남부의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도 이 유적 보다 늦은 사르마트 문화에서 빈번하

eastsearoad.tistory.com

2020.11.0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체르토믈리크 유적] - 흑해 스키타이 무덤에서 나온 아킬레스

 

흑해 스키타이 무덤에서 나온 아킬레스

흑해 북안의 드네프르 강 유역의 기원전 4세기 스키타이 유적인 체르톰리크 무덤은 매우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졌다. 중심무덤방이 어딘지 모를 정도로 방 옆에 또 다른 방 들이 만들어진 구조이

eastsearoad.tistory.com

1

 

여성들이 군인으로써 전쟁에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무엇보다도 잘 보여주는 것은 그들의 몸에 있는 상처이다. 크게 3가지 상흔이 남아 있다. 화살에 맞은 상처, 사자의 손실 또는 골절, 두 대골과 사지가 모두 잘린 상처 등이다. 화살에 맞은 상처는 주로 두개골의 관통상처가 치명적인 것이다.

무기 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뼈에 남은 상처로 인해서 남성과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군인으로써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팔코 2013)

 

흑해지역에서 스키타이 문화의 남성전사들은 주로 기원전 7세기 초부터 발견된다. 여성전사는 주로 기원전 7말 혹은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아주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발견된다. 하지만 가장 많이 나오는 시기는 기원전 4세기경 무덤으로 스키타이 문화와 사르마트 문화의 경계상에 있다.

 

헤로도투스는 아마존이라고 불리는 여성전사 부족이 남편을 살해한 것으로 묘사했지만 고고학적으로는 이를 증명할 수 없다. 기원전 4세기경에 매우 혼란한 시점에 남성은 모두 전장에 나갔을 테지만 여성은 집(노인과 어린아이)을 지켜야 했다. 그 과정 중에 여성들은 똘똘 뭉쳐서 집단으로 대항했을 수 밖에 없다. 이를 두고 역사가는 오해를 한 것은 아닐까. 혹은 여성들에게서 얻고 싶은 것을 못 얻었거나. 또 일부는 남성들처럼 동등하게 전쟁에 참여했는데, 이를 용감한 여성대신 잔인한 여성으로 묘사했는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그는 초원인이 아니라 그리스 사람이니 삐딱하게 보았을 것이다.

 

참고문헌

Андрух С. И. 2001. Могильник Мамай-Гора. Кн. 2. Запорожье(안드루흐 2001, 마마이 고라 유적)

Фиалко Е. Е. Погребения амазонок из могильника Мамай-Гора // Stratum plus. Археология и культурная антропология. — 2010. — № 3. — С. 187—196.(팔코 2010, 마마이-고라 유적의 아마조너스 여성무덤)

Fialko E. E. 2013 a Ukrasheniya v kostyume skifskikh amazonok. In: V. V. Klyuchnikov (ed.), Pricherꠓnomorye v antichnoye i rannesrednevekovoye vremya. Sbornik nauchnykh trudov. posvyashchennyy 65-letiyu prof. V. P. Kopylova (pp. 231–241). Rostov-na-Donu: Nauchno-metodicheskiy tsentr arkheologii YuFU.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