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포항 청동기시대로 보고된 것은 6기와 7기이지만 5기는 유물의 특성상 청동기시대로 보고 있다. 5~6기를 인접한 연해주 청동기문화와 비교한 결과 크게 4단계로 나눠진다. 시니가이 문화 서부 1유형의 성격으로 보이는 서포항 5기는 서포항 청동기1단계, 시니가이 문화의 동부 1유형과 서부2유형이 공존하는 서포항 청동기 2단계, 동부2유형과 서부 2유형이 공존하는 서포항 청동기 3단계, 리도프카 문화단계의 성격인 서포항 청동기 4단계가 확인되었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서포항 청동기시대 연대는 3300년 전부터 리도프카 문화가 존재한 시기 2300년 전까지이다(표3).
http://eastsearoad.tistory.com/268
그렇다면 서포항 유적은 신석기시대는 5000년 전부터 3800년 전(김재윤 2009b), 청동기시대는 3300년 전~2300년 전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크다. 연해주에서 청동기시대 가장 이른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인데, 이와 관련성이 보이는 동북한 유적은 범의구석1호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적색마연대부토기와 보이스만-2유적의 최상층에서 출토되는 적색마연토기이다. 이 기형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토기로 이어지며 이 문화 보다 이른 3800~3600년에 해당된다.
서포항 유적에서 빠지는 기간은 있지만 동북한 청동기시대의 시작은 범의구석 1호주거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두만강 유역 및 연해주 해안가에서는 단절 기간 없이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또한 서포항 청동기 3단계에 해당하는 6기-2와 7기-1가 존재한 시간은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과 동부 2유형이 공존하는 특징이다. 그 존속시간은 시니가이 문화 동부1유형과 서부2유형이 공존하는 시간보다 늦고 리도프카 문화가 시작되기 전으로 자리매김 되었으나, 하한의 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단순히 리도프카문화 보다 이른 시기에 끝났음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시니가이 문화의 연대가 세밀하지 못한데, 발굴된 유적이 적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본고에서 거론되지 못한 범의구석, 오동, 송평등 자료로 좀 더 세분해 하면 서포항 3단계 뿐 만 아니라 이 보다 앞 선 좀 더 확실하게 설명될 수 있다. 두만강 내륙에 위치한 흥성유적과의 관련성도 있음으로 종합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필자는 연해주의 시니가이문화의 연대가 더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연해주 및 북한의 새로운 자료가 앞으로 증가한다면 이 부분은 충분히 보완될 수 있다고 본다.
*본고는 올해청동기학보에 출간되었습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환동해문화권: 러시아연해주, 북한, 중국 > 북한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서포항유적의 청동기시대 편년 (0) | 2018.12.01 |
---|---|
북한의 서포항 유적 청동기시대 1 (0) | 2018.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