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선사문화: 연해주 고고학 개론서』는 필자가 박사졸업후 10년간 연구한 논문을 바탕으로 쓴 책 이다. 개론서 이기 때문에 구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각 시대별로 고고문화를 소개한다.

 

  연해주는 우리나라의 중부지역 혹은 남부지역 일부와 함께 환동해문화권역으로 역사적 공간으로써 자리매김했다.  이 문화권은 신석기시대부터 시작되지만, 구석기시대도 설명한다. 사실 후기구석기시대는 시베리아와 문화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환동해문화권으로 분리하기는 근거가 부족하다. 그러나 연해주의 역사 시작이라는 관점에서 본고에서 설명하고자 하지만 연구자가 부족해서 유적조사가 많지 않은 점은 시베리아와 큰 차이점이다.

 

그리고 청동기시대 및 철기시대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 및 동강문화까지 포함된다. 러시아 학계에서는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를 뒷이은 폴체문화도 철기시대에 포함시키지만, 이미 역사 시대로 진입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필자가 생각하는 환동해문화권은 남한의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물질자료의 단순한 기원지가 아니라 같은 문화권역이다. 다만 전 기간이 그랬던 것은 아니고 각 시대별로 시간적인 추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백두대간 북쪽으로 연결되는 시호테 알린 산맥과 동해를 공유하는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한 생업형태가 같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동해문화권의 남부지역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은 강원도 영동지역에 많이 위치한다.

 

 반면에 청동기시대는 연해주 및 두만강 유역의 청동기 문화가 남한에서 강원도 영서 및 한강 유역 일대에서 발견되고 특히 남강 유역에서도 발견된다. 이는 연해주의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생업형태가 달랐기 때문이다. 연해주의 청동기시대는 본격적인 농경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고, 그 시작은 신석기시대 후기인 자이사노프카 문화부터이다. 각종 석기 및 곡물자료를 근거로 한다.

   그래서 환동해문화권 남부지역인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물질 자료는 신석기시대와는 달리 강원도 영서 및 한강 유역 심지어 남강의 충적대지에서도 발견된다. 남강 대평유적의 곡옥형 청동기는 비파형동검 이전의 자료로 최초로 발견된 청동유물이지만 출토당시에는 의심스러운 자료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청동기시대 조기인 정선의 아우라지 유적에서 청동유물이 발견되면서, 비파형동검 보다 이른 단계에 동검이 아닌 청동유물이 존재했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사실이다. 남강 대평의 곡옥형 청동기는 환동해문화권 북부의 시니가이 문화와 관련된 유물이라는 점은 분명하게 밝혀졌다.

   따라서 필자는 강원도 영서 및 한강 유역, 남강 유역의 유적에서 발견되는 청동기와 토기 중에 일부는 시니가이 문화 및 흥성문화의 물질요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남한의 청동기시대 형성과정 중에는 많은 요소가 있었을 것이며, 연해주 및 두만강 유역의 청동기시대 사람들 때문에 한강 이남지역에서 농경문화가 주요하게 자리잡았다는 의미는 아니다.

 

   환동해문화권의 철기시대는 얀콥스키 문화,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 폴체문화가 알려졌는데 본고에서는 제외하였다. 이미 단결 크로우노프카 문화의 III기(기원전 1~기원후 1세기)에 ‘옥저’라는 정치체가 있었다면, 이를 뒤이은 폴체문화는 철기시대에서 분리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환동해문화권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시대별로 권역의 차이가 있다(표 2). 주로 연해주 및 인접한 두만강과 목단강 유역은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이고, 우리나라 강원도의 영동과 영서를 비롯한 중부지역은 환동해문화권 남부지역이다. 시간에 따라서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에는 아무르강 하류도 포함된다.

환동해문화권의 북부지역인 연해주에서는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시베리아 카라숙문화의 청동유물과 같은 성분의 유물들이 발견된다. 또 철기시대 얀콥스키 문화에서는 카라숙 문화 및 타가르 문화의 동검을 모방한 석검 등이 발견되면서 시베리아 문화와 동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환동해문화권의 남부지역에서도 간접적인 시베리아 문화의 요소가 보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매우 일부이며, 연해주만이 주요한 길목이었던 것은 아니다. 남북분단이라는 정치적 상황 때문에 연구에 한계가 많다.

 

필자가 전고에서 밝혔듯이 ‘기원 찾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문제인식을 지닌 지역범위에 대한 별 다른 고민 없이 현대의 『국경』을 전제로 해서, 국경에 속하지 않으면 전부 외부로만 인식하고 있다. 문화의 원류, 기원, 계보 문제를 다루기 전에 최소한 문화의 범위는 지정학적인 위치가 아닌 『선사인의 생활권역』부터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필자가 연구했던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유적에서 확인되는 물질문화의 요소 찾기는 기원찾기가 아니라 문화권역을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그림 1. 사카치 알리안의 91번 돌에 그려진 배 그림(오클라드니코프 1971), 현재 이 돌은 없어짐. 아무르 강 하류의 현무암 바위에 그려진 암각화는 아무르강의 범람으로 오클라드니코프가 조사할 당시와 매우 위치가 달라져서 유적 파괴가 심각함. 유실된 돌도 많은편이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1,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선사문화: 연해주 고고학 개론서』, 진인진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