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제작지'에 해당되는 글 2

  1. 2021.08.19 드네프르 강 유역의 기원전 7세기 헬론?
  2. 2021.05.14 스키타이 남성의 목걸이

 

이제까지 기원전 7세기 말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되는 도네츠 강 유역의 류보틴 성곽이 가장 오래되었다고 했는데 비슷한 시기 혹은 기원전 7세기 말이 아닌 초반부터 세워진 성곽을 하나 더 발견했다.

 

드네프르강의 왼쪽 지류인 보르스클라 강 변에 위치한 기원전 7세기~기원전 3세기 성곽 유적인데, 동유럽에서 가장 크다고 한다. 벨스크 성곽은 전체 면적이 15.4헥타르 이고 전체 벽의 길이가 33833m(약 34km)에 달한다. 동유럽에서 가장 큰 성곽 유적으로 20세기초에 발견되어 발굴되기 시작해서 지금도 발굴한다고 한다. 

 

이 거대한 성곽은 4개의 구조물이 함께 형성된 것이다(그림 1). 서쪽의 성곽(그림 1-1)이 따로 있고, 동쪽의 성곽(그림 1-2)도 별도로 존재하며, 북벽과 동벽이 마주하는 모서리에는 쿠제민 성곽(그림 1-3)이 있고, 이 세 개의 성곽을 연결하는 성벽이 하나로 합처서, 벨스크 성곽(그림 1-4)으로 구성되었다.

 

그림 1. 벨스크 성곽의 전체 평면도

 

그림 2. 벨스크 성곽, 구글 위성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벨스크 성곽은 구글지도에서 볼 수 있는데, 류보틴 성곽처럼 성의 벽면에 뚜렷하지는 않지만 그림1과 비교해서 보면 알 수 있다.

 

유적에서는 집 뿐만 아니라 청동기와 철기 제작장소가 발견되었고, 인접한 지역과 무역을 했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기원전 7세기말에 유일하게 성벽이 남아 있는 성곽이 류보틴이었다면 그 보다 더 오래된 기원전 7세기의 벨스크 성곽 유적은 그 당시에 성벽이 남아 있는 유적으로 알려졌다.

 

유적이 발견되었을 때 연구자들은 헤로도투스(4권, 108-109)가 말한 ‘헬론’을 연상했다. 헬론은 높은 성벽으로 둘러쌓인 목조 도시로, 각 벽은 5.5km에 걸쳐 뻗어 있고 목조주택이 있고, 신전이 있는 성으로 설명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반대 의견도 있다. 헤로도투스가 묘사한 전체 성벽의 길이는 22~25km에 달하는데,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의심스럽다는 주장이다. 

 

 

 

 

참고문헌

Шрамко Б. А. Бельское городище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город Гелон). К., 1987. (시람코 1987, 스키타이 시대의 벨스크 성곽)

Медведев А. П. 2002 Гелон Геродота: К проблеме соотношения античного нарратива и историко-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реалий (메드베제프, 2002, 헤로토투스의 헬론, 고대 신화기록과 고고학적 자료의 상관관계 문제에 대해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컬렉션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목걸이와 팔찌이다.

흑해지역의 기원전 4세기 유적 이후에서는 매우 많이 출토되고, 스키타이 문화 이후의 사르마트 시대에도 많이 출토된다.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컬렉션 가운데 목걸이를 코롤로바는 크게 3가지로 구분했다. 양 끝이 약간 열려 있으면서 동물장식이 붙은 것(그림 2), 후프가 나선형으로 돌아가도록 세팅 된 것(후프가 2~3번 감긴 것)(그림 5-2~4), 나선형(그림1)으로 꼬인 것이다.

 

그림1.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수집품, 나선형

 

그림2.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수집품, 양 끝이 열려 있으면서 동물장식이 붙은 것

 

그러나 이 분류법에서는 여러 층을 쌓아서 올린 목걸이 안이 빈 후프는 분류법에 빠져 있는데, 이 유물은 위에서 말한 유물과 제작방법이 전혀 다르다. 코롤로바가 분류한 목걸이의 후프는 금 테를 꼬아서 만든 것으로 내부가 꽉 찬 것이지만, 여러 층을 쌓아서 올린 목걸이의 후프는 속이 빈 형태로 구분되어야 한다.

 

이 유물들은 시베리아 황금 유물의 연대, 제작지 등을 알 수 있게 하는 단서가 되는 유물 중에 하나이다.

 

흑해 북안과 코카서스 북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기원전 7~6세기 전사의 석인상들은 대부분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는데, 앞이 열리도록 디자인된 목걸이, 완전히 막힌 목걸이 등 다양한 형식의 목걸이를 착용한 것이 발견되어서 이미 흑해 북안과 코카서스 북부의 스키타이 인들은 목걸이를 착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동물장식이 끝에 달린 목걸이다. 기원전 7~6세기 유럽의 스키타이 영토에서는 이러한 디자인의 목걸이와 팔찌 모두 확인되지 않는다.

 

1960년대에는 목걸이는 아니지만 중앙아시아의 아무다리야 퇴장유적의 유물로 알려진 팔찌가 아케메니드 궁전벽화에서 그대로 발견되면서 표트르 1세의 유물 중에 동물장식이 끝에 달린 목걸이도 비슷하게만 여겨졌고, 기원전 5~4세기로 보았다.

 

자료가 늘어가면서 동물 끝장식이 달린 목걸이가 출토되는 지역은 점 점 늘어났는데 우랄 남부지역, 흑해지역, 알타이, 카자흐스탄의 동부산악지역 등이다.

흑해를 제외하고는 18세기 당시에는 모두 시베리아로 지칭되었던 지역이다. 자료가 늘어가면서 표트르 1세의 유물은 점차 오리무중이 된다고도 할 수 있다.ㅋ

비슷하게 보이지만 동물의 표현도 다르고, 지역마다 제작한 소재도 차이가 있다.

 

그림 3. 우랄 남부, 스타로폴 퇴장지 출토품

 

그림 4. 알타이의 우코크 고원, 추야 강 계곡 유적에서 나온 목걸이 끝장식

 

그림 5. 카자흐스탄 이식(1) 유적, 2~5, 표트르 1세의 유물, 6-알타이 바르부르가지 I유적 26호 출토품

 

그림 6. 흑해지역에서 나온 목걸이 끝장식

 

 

스키타이 시대로 한정하지 않고 남성전사가 장신구를 착용하는 예는 좀 더 올라갈 수 있는데 시베리아 청동기시대인 안드로노보문화에서부터 청동으로 만든 장신구가 대량으로 출토된다. 흑해의 청동기문화인 코반 문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참고문헌

Петренко В.Г. Украшения Скифии VII-III вв. до н.э. М., 1978 // САИ. Вып. Д.4-5. С. 41.(페트렌코 1978, 기원전 7-3세기 스키타이의 장신구

Ольховский В.С., Евдокимов Г.Л. Скифские изваяния VII-III вв. до н.э. М., 1994(올호프스키, 에브도키모프 1994, 기우너전 7~3세기 스키타이 석인상)

Королькова Звериный стиль в оформлении гривен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й эпохи.

// Ювелирное искусство и материальная культура.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01. С. 68-95. (코롤코바 2001, 스키토-시베리아의 목걸이의 형성과 동물장식에 대해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